목록논어집주 (501)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 第五章 公山弗擾以費畔,召,子欲往。 公山弗擾가 費邑을 가지고 반란을 일으키고 孔子를 부르니, 孔子께서 가려고 하셨다. 弗擾,季氏宰。 弗擾는 季氏의 家臣이다. 與陽貨共執桓子,據邑以叛。 陽虎와 함께 桓子를 잡아 가두고 費邑을 점거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子路不說,曰: 「末之也已,何必公山氏之之也。 子路가 기뻐하지 않으며 말하였다. “가실 곳이 없으면 그만이지, 하필이면 公山氏에게 가시려 하십니까?” 末,無也。 末은 없는 것이다. 言道既不行,無所往矣,何必公山氏之往乎? 道가 이미 행해지지 아니하여 갈 곳이 없으나 하필 公山氏에게 가시려 하십니까라는 말이다. 子曰: 「夫召我者而豈徒哉? 如有用我者,吾其為東周乎?」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부르는 자가 어찌 하릴없이 하겠느냐? 나를 써 주는 자가 있다면, 내가 어찌..
▣ 第六章 子張問仁於孔子。 子張이 孔子에게 仁을 물었다. 孔子曰: 「能行五者於天下,為仁矣。」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능히 다섯 가지를 天下에 행할 수 있으면 仁이 된다.” 「請問之。」 “그것에 대해 묻겠습니다.” 曰: 「恭、寬、信、敏、惠。 恭則不侮,寬則得眾,信則人任焉,敏則有功,惠則足以使人。」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함〔恭〕, 너그러움〔寬〕, 믿음〔信〕, 민첩함〔敏〕, 은혜로움〔惠〕이니, 공손하면 업신여김을 받지 않고, 너그러우면 사람들을 얻고, 미더우면 남들이 의지하게 되고, 부지런하면 공이 있게 되고, 은혜로우면 충분히 남들을 부릴 수 있다.” ▶敏: 勉而不惰. 黽勉 行是五者,則心存而理得矣。 이 다섯 가지를 행하면 마음이 보존되고 이치대로 행하여질 것이다. 於天下,言無適而不然,猶所謂雖之夷狄不可棄者。..
▣ 第七章 佛肸召,子欲往。 佛肸(필힐)이 부르니, 孔子께서 가려고 하셨다. 佛肸,晉大夫趙氏之中牟宰也。 필힐은 晉나라 大夫인 趙氏[趙簡子]의 中牟땅 邑宰이다. 子路曰: 「昔者由也聞諸夫子曰:親於其身為不善者,君子不入也。 佛肸以中牟畔,子之往也,如之何!」 子路가 말하였다. “옛날에 제가 夫子께 들었사온데, ‘몸소 자신에게 착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자에게는 君子가 들어가지 않는다.’라고 하셨습니다. 필힐이 지금 中牟邑을 가지고 배반하였는데 夫子께서 가려고 하시니, 어찌해서입니까?” ▶논어에서 공자를 夫子라고 직접 부른 곳은 여기뿐이니 僞書로 보는 端緖 중 하나이다. 子路恐佛肸之浼夫子,故問此以止夫子之行。 子路는 필힐이 孔子를 더럽힐까 걱정하였다. 그러므로 이것을 여쭈어 孔子께서 가시려는 것을 저지한 것이다. 親,猶自..
▣ 第八章 子曰: 「由也,女聞六言六蔽矣乎?」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由야! 너는 六言과 六蔽를 들어보았느냐?” 對曰: 「未也。」 대답하였다. “아직 듣지 못하였습니다.” 蔽,遮掩也。 蔽는 가려지는 것이다. 「居!吾語女。 “앉거라. 내 너에게 말해 주리라.” 禮:君子問更端,則起而對。 禮에 君子가 질문할 때에 그 話題를 바꾸면 일어나서 대답하는 것이다. 故孔子諭子路,使還坐而告之。 그러므로 孔子께서 子路를 깨우치고자 다시 앉게 하여 일러주셨다. 好仁不好學,其蔽也愚; 好知不好學,其蔽也蕩; 好信不好學,其蔽也賊; 好直不好學,其蔽也絞; 好勇不好學,其蔽也亂; 好剛不好學,其蔽也狂。」 仁을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어리석음이 되고〔愚〕, 지혜〔知〕를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방탕함이..
▣ 第九章 子曰: 「小子!何莫學夫詩?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어찌하여 詩를 배우지 아니하느냐? 小子,弟子也。 小子는 弟子이다. 詩,可以興,感發志意。 可以觀,考見得失。 可以群,和而不流。 可以怨, 怨而不怒。 邇之事父,遠之事君。 詩는 마음을 흥기시키고 감동시키는 것이다. 살펴보아서 得失(잘잘못)을 고찰하는 것이다. 어울려서 和하면서도 방탕한 데로 흐르지 않는 것이다. 이치에 맞게 원망하되 성내지는 않는 것이다. 가까이는 어버이를 섬길 수 있게 하며, 멀리는 임금을 섬길 수 있게 한다. 人倫之道,詩無不備,二者舉重而言。 人倫의 道理가 詩에 갖추어지지 않음이 없으니, 이 두 가지는 소중한 것을 들어서 말씀한 것이다. 多識於鳥獸草木之名。」 새와 짐승, 풀과 나무의 이름을 많이 알게 한다.” 其緒余又足以資多識..
▣ 第十章 子謂伯魚曰: 「女為周南召南矣乎? 人而不為周南召南,其猶正牆面而立也與?」 孔子께서 伯魚에게 이르셨다. “너는 周南과 召南을 배웠느냐? 사람으로서 周南과 召南을 배우지 않으면 아마도 바로 담장을 마주하고 서 있는 것과 같을 터이다.” 為,猶學也。 爲는 學과 같다. 周南召南,詩首篇名。所言皆修身齊家之事。 周南과 召南은 《詩經》의 첫머리 篇名인데 그 내용은 모두 자신을 닦고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일이다. 正牆面而立,言即其至近之地,而一物無所見,一步不可行。 바로 담장을 마주하고 선다는 것은 지극히 가까운 곳에 나가서도 한 물건도 볼 수가 없고 한 걸음도 나갈 수 없음을 말씀한 것이다.
▣ 第十一章 子曰: 「禮云禮云,玉帛云乎哉? 樂云樂云,鐘鼓云乎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禮다, 禮다 하지만, 玉帛을 이르는 것이겠는가? 樂이다, 樂이다 하지만, 鍾鼓를 이르는 것이겠는가?” 敬而將之以玉帛,則為禮;和而發之以鐘鼓,則為樂。 공경하고서 玉帛을 받들면 禮가 되고, 조화하고서 鍾鼓로 나타내면 樂이 된다. 遺其本而專事其末,則豈禮樂之謂哉? 근본을 빠뜨리고 오로지 그 말단을 일삼으면 어찌 禮樂이라고 일컫겠는가? 程子曰: 「禮只是一個序,樂只是一個和。 只此兩字,含蓄多少義理。 天下無一物無禮樂。 且如置此兩椅,一不正,便是無序。 無序便乖,乖便不和。 又如盜賊至為不道,然亦有禮樂。 蓋必有總屬,必相聽順,乃能為盜。 不然,則叛亂無統,不能一日相聚而為盜也。 禮樂無處無之,學者須要識得。」 程子가 말씀하였다. “禮는 하나의 질서〔序..
▣ 第十二章 子曰: 「色厲而內荏,譬諸小人,其猶穿窬之盜也與?」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대인이) 외면에 위엄이 있으나 마음이 유약한 것을 小人에게 비유하면 벽을 뚫거나 담장을 넘는 도적과 같을 것이다.” 厲,威嚴也。 厲 위엄이 있는 것이다. 荏,柔弱也。 荏은 유약한 것이다. 小人,細民也。 小人은 백성이다. 穿,穿壁。 穿은 벽을 뚫는 것이다. 窬,踰牆。 窬는 담장을 넘는 것이다. 言其無實盜名,而常畏人知也。 실상이 없으면서 명예를 훔쳐서, 남들이 알까 항상 두려워함을 말씀하였다.
▣ 第十三章 子曰: 「鄉原,德之賊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鄕原은 德의 賊이다.” 鄉者,鄙俗之意。 鄕은 鄙俗의 뜻이다. 原,與願同。荀子原愨,注讀作願是也。 原은 愿과 같으니, 《荀子》에 原慤이라는 말을 註에서 原을 愿으로 썼으니, 바로 이것이다. 鄉原,鄉人之愿者也。 鄕原은 시골 사람 중에 근후한 자이다. 蓋其同流合污以媚於世,故在鄉人之中,獨以愿稱。 流俗을 함께 하고 더러움에 영합하여 세상 사람들에게 잘 보이기 때문에 시골 사람들 중에서 홀로 근후하다고 칭송을 받는 것이다. 夫子以其似德非德,而反亂乎德,故以為德之賊而深惡之。 孔子께서는 有德者와 비슷하나 有德者가 아니어서 도리어 德을 어지럽히기 때문에, 德의 賊이라고 말씀하여 매우 미워하셨다. 詳見孟子末篇。 상세한 것은 《孟子》末篇(盡心篇)에 보인다.
▣ 第十四章 子曰: 「道聽而塗說,德之棄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면 德을 버리는 것이다.” 雖聞善言,不為己有,是自棄其德也。 비록 좋은 말을 들었다 하더라도 자기의 소유로 삼지 않으면 이것은 스스로 자신의 德을 버리는 것이다. 王氏曰: 「君子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道聽塗說,則棄之矣。 王氏가 말하였다. “君子는 前人들의 훌륭한 말씀과 행실을 많이 알아서 자기의 德을 기르니,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면 德을 버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