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雜同散異 (97)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賜暇讀書란 무엇인가 1. 정의 조선시대에 국가의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고 문운(文運)을 진작시키기 위해서 젊은 문신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한 제도. 2. 내용 세종은 1420년(세종 2) 3월에 집현전을 설치한 뒤 집현전 학사들 가운데 재행(才行)이 뛰어난 자를 선발, 휴가를 주어 독서 및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하고 그 경비 일체를 국고에서 부담하도록 하였다. 사가독서제도가 최초로 실시된 것은 1426년 12월로서, 왕은 권채(權採)·신석견(辛石堅)·남수문(南秀文) 등 3인을 선발하여 관청공무와 관계없이 연구에만 몰두하게 하였는데, 그 규범은 대제학 변계량(卞季良)의 지시를 받게 하였다. 이 때 독서를 한 장소는 자택이었다. 1442년에는 신숙주(申叔舟) 등 6인에게 ..
曺와 曹 두 글자는 본래 같은 글자이며, 음은 '조'이다. 曺는 한국의 성씨인 창녕 조씨로 사용된다.중화권에선 曹의 異體字로 취급하며 거의 쓰지 않으며, 성씨를 포함해 기타의 의미로 쓸 때도 본자인 曹를 사용한다. 曹는 '무리・관청'을 뜻하는 한자이며 중화권의 성씨로도 쓰인다. 결국 曺는 한국에서 창녕조씨를 표기할 때만 쓰이고, 曹는 曺의 本字로서 중국의 姓에서뿐만 아니라 단어에서도 많이 쓰인다. 曹操・曹參 등은 성으로 쓰인 것이고, 兵曹・吏曹・法曹界・曹溪宗 등은 성이 아닌 용례이다. 兒曹: 아이들我曹: 우리 =五等
연도를 간지로 환산하는 법 서기 0001년은 辛酉년이다. ① 해당년도 ÷ 10 ... 나머지의 순서에 해당되는 천간② 해당년도 ÷ 12 ... 나머지의 순서에 해당되는 지지 예 1 : 1919년① 1919÷10...나머지가 9이므로 辛에서 9번째 천간은...己 ② 1919÷12...나머지가11이므로 酉에서 11번째 지지는...未 ⇨ 己未년 예 2 : 1945년 ① 1945÷10...나머지가 5이므로 辛에서 5번째 천간은...乙 ② 1945÷12...나머지가 1이므로 酉에서 1번째 지지는...酉 ⇨ 乙酉년 3 : 1960년① 1960÷10...나머지가 0이므로 辛에서 10번째 천간은...庚 ② 1960÷12...나머지가 4이므로 酉에서 4번째 지지는...子 ⇨ 庚子년 간지를 연도로 환산하는 ..
마지막 수업-어느 알사스 소년의 이야기 알퐁스 도데(Alphonse Daudet) 그날 나는 등교가 무척 늦어졌어요. 게다가 아멜선생님이 분사법(分詞法)에 관해 질문하겠다고 하셨는데, 나는 전혀 모르고 있었기에 책망을 들을까 봐 꽤 겁이 났어요. 그래서 나는 차라리 학교를 가지 않고 벌판이나 싸다닐까 하고 생각해 보기도 했어요. 날씨는 활짝 개어 있었어요. 숲 가에서는 티티새가 떼 지어 지저귀고, 제재소 뒤 리뻬르 들에서는 프러시아 군대들이 훈련하는 소리가 들려왔어요.이것들이 나에게는 분사법보다 더 마음에 들었지만, 나는 참고 학교로 뛰어갔어요.면사무소 앞을 지나는데, 사람들이 철책을 두른 게시판 앞에 모여 있는 것이 내 눈에 띄었어요. 이태 전부터 패전이니 징발이니 하는 프러시아 군사령부의 여러 가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HYEF/btsL4IZWHBn/VqZkMGpkJHTuu0RYK7jq1k/img.png)
뫼는 높으나 높고- 허강(許橿) 【현대어 풀이】 산은 높디높고 강물은 길고 길다. 높은 산 긴 물에 갈 길은 끝이 없다. 임이 그리워서 눈물로 젖은 소매는 언제 마를 것인가? 【감상】 이 시조의 작가 허강(許橿. 1520. 중종 15∼1592. 선조25)은 좌찬성(左贊成) 자(磁)의 아들로, 어렸을 때부터 학문을 즐겼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아버지가 이기(李芑)의 전자(專恣)를 척언(斥言)한 탓으로 평북 홍원(洪原)에 귀양갔다. 영달(榮達)을 마음에 두지 않았고, 강호에 노닐며 부름을 듣지 않고 1592년 임진왜란 때 토산(兎山)으로 난을 피하다 죽었다. 강호를 벗 삼아 산수를 즐기던 지은이의 생활로 미루어 있을 만한 노래라 하겠다. 이런 생활에는 때로 고독이 따르는 것이니, 그 감정이 님에 대한 그..
만파식적의 유래 제31대 神文大王의 이름은 金政明이다.아버지 문무대왕을 위하여 동해 가에 感恩寺를 세웠다.이듬해 임오 5월 초하루에 海官 波珍湌 朴夙淸이 아뢰었다."동해 중의 작은 산 하나가 물에 떠서 감은사를 향해 오는데, 물결에 따라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합니다." 왕이 이상히 여겨 日官 金春質을 명하여 점을 치게 했다. "돌아가신 부왕께서 지금 바다의 용이 되어 三韓을 수호하고 계십니다. 또 金庾信公도 33천의 한 아들로서 지금 인간 세계에 내려와 대신이 되었습니다. 두 성인이 덕을 함께 하여 이성을 지킬 보물을 내어주려 하시니, 만일 폐하께서 바닷가로 나가시면 반드시 값으로 칠 수 없는 큰 보물을 얻으실 것입니다."왕은 기뻐하여 그달 7일에 利見臺로 나가 그 산을 바라보고 사자를 보내어 살펴보도록 ..
http://blog.naver.com/cobalue/100056445317 부인, 보내주신 편지를 읽고 난 뒤 얼마나 죄송했는지 모릅니다. 제가 지금까지 전했던 이야기들이 하나같이 너무 처져 있더군요. 그저 저 자신이 원망스러울 따름입니다. 그래서 오늘만큼은 아주 즐거운, 배꼽이 빠질 정도로 재미난 얘기를 해드려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생각해 보니 제가 왜 기분이 처져 있었는지 모르겠더군요. 파리의 숨 막히는 안개를 벗어나 춤과 포도주의 고장에서, 그것도 햇빛 찬란한 언덕 위에 살고 있는 제가 말입니다. 제 주위에는 따사로운 햇빛과 감미로운 음악이 넘쳐흐릅니다. 저를 위해 도요새는 연주하고 깨새는 합창을 하죠. 아침에는 마도요의 노랫소리, 정오에는 매매의 울음소리가 제게 손짓한답니다. 게다가 목동들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lNmQr/btsL47ENK2p/KTXlAY7dVgEuAbHU3psfo1/img.png)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 孩提 2-3세웃을 줄 알고 손으로 이끌고[提] 다닐 수 있는 어린아이 兒提・孩子・孩兒・孩童・孩稚도 비슷하다. ▶ 孩(해): 어린 아이. (어린 아이가)웃다 ▶ 提(제): 끌다 沖年10대의 나이. 志學 15세.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論語・爲政篇의 '十有五而志干學' 破瓜 여자 16세, 남자 64세瓜자를 파자하면 八이 2개가 나오는데, 그것을 더하여 여자의 나이 16세를 칭하고, 곱하여 남자의 나이 64세를 칭한다.事文類聚 弱冠20세남자 나이 스무 살禮記論語의 '二十曰弱冠' 芳年 20세 여자 나이 스무 살禮記 妙齡20세젊은 여자의 꽃다운 나이. 妙年 而立 30세인생의 기초를 세우는 나이論語의 '三十而立' 不惑40세사물의 이치를 터득하고 세상 일에 흔들리지 않을 나이論語의 ‘四..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cG0Dx/btsL4yXjg5t/reiMHWe22dKmFptkRSKDFk/img.jpg)
梅花詞-安玟英 梅花詞(매화사)1) - 安玟英(안민영)余於庚午冬 與雲崖朴先生景華 吳先生岐汝 平壤妓順姬 全州妓香春 歌琴於山房. 先生癖於梅 手栽新筍 置諸案上 而方其時也 數朶半開 暗香浮動 因作梅花詞 羽調 一篇八絶.나는 경오년(1870) 겨울에, 雲崖 박선생 景華, 오선생 岐汝, 평양기생 順姬, 전주 기생 香春과 더불어 산방에서 노래와 거문고를 즐겼다. 운애선생은 매화를 매우 좋아하여 손수 새순을 심어 책상 위에 놓아두었다. 마침 그때 몇 송이가 반쯤 피어 그윽한 향기가 퍼지니 이로 인해 ‘梅花詞’ 羽調 한 편 8절을 지었다.1)작자가 1870년 겨울 스승 박효관의 거처인 雲崖山房에서 거문고와 노래를 즐기던 중 마침 반쯤 핀 盆梅를 보고 지은 작품이라 함. 제1수매화 그림자 어린 창에 고운 미녀 함께 앉아..
常用四字吉語 博雅達觀 筆歌墨舞 寵辱不驚 道法自然 登山臨水 淡泊明誌 典雅淸麗 大巧若拙 大智若愚 淸氣若蘭 放下便是 浮生若夢 觀海聽濤 中庸和諧 和風朗月 和氣致祥 厚德載物 厚德載福 厚積薄發 惠風和暢 惠風祥雲 和風細雨 海納百川 景氣和暢 江山入畫 室雅蘭香 積健爲雄 君子不器 兼聽則明 境由心造 境隨心轉 漸入佳境 開卷有益 寄情山水 虛懷若竹 臨海聽濤 蘭氣隨風 樂天知命 樂此不疲 敏事愼言 妙造自然 明月淸風 明月入懷 寧靜致遠 紫氣東來 品茗撫琴 品茗聽琴 淸風朗月 氣若幽蘭 曲徑通幽 人淡如菊 仁者不憂 珠聯璧合 素心若雪 室雅人和 天道酬勤 天朗氣淸 踏雪尋梅 溫故知新 物華天寶 萬事隨緣 唯善是寶 虛懷若谷 心靜夢舒 心曠神怡 閑心逸趣 仁者不憂 雲鶴遊天 篤行致遠 韻雅趣幽 遊目騁懷 逸致閑情 煙雲供養 悠然雅靜 怡然自得 知足常樂 知足不辱 知人者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