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267)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두 번째 절기. 내용 小暑와 立秋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에 들고, 양력으로는 7월 23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120°가 되는 때이다. 이 시기는 대개 중복(中伏) 때이며 더위가 심한 시기이다. 옛날에는 논의 김을 매어주었으나 지금은 제초제를 뿌리고 논김은 매지 않는다.그러나 밭김은 매어주고 논밭두렁의 잡초베기와 퇴비장만 등이 이 무렵에 계속된다.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입기일(大暑入氣日)로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끊어서 삼후(三候)로 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이 변하여 반딧불이 되고, 중후(中候)에는 흙이 습하고 무더워지며, 말후(末候)에는 큰비가 때때로 내린다고 하였다. 이 무렵은 몹시 더우며, 소서 때부터 장마전선이 한반도에..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한 번째 절기. 내용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에 들며, 양력으로는 7월 7일이나 8일께가 된다. 태양이 황경 105°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이 시기에는 장마전선이 우리 나라에 오래 자리잡아 습도가 높아지고, 장마철을 이루는 수가 많다.예전에는 한 절기 앞선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내고, 모를 낸 20일 뒤 소서 때는 논매기를 했으나, 지금은 제초제를 뿌리고 논김은 매지 않는다. 팥·콩·조들도 가을보리를 한 하지 무렵에 심고, 소서 무렵에 김을 매준다. 또, 이때 퇴비(堆肥) 장만과 논두렁의 잡초깎기도 한다. 소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므로 온갖 과일과 소채가 풍성해지고 밀과 보리도 먹게 된다. 특히, 음력 5월 단오를..

헬스장에는 러닝머신만큼이나 남녀노소 꾸준한 사랑을 받는 운동이 몇 가지 있다. 대표적으로 팔뚝살을 위한 '킥 백', 어깨 운동인 사이드 '래터럴 레이즈', 허벅지 안쪽을 단련하는 '힙 어덕션'과 엉덩이 운동인 '사이드 레그 레이즈' 등이다. 이런 운동들은 비슷한 점이 있는데 첫째는 힘이 많이 안든다는 점, 둘째는 해당 운동이 많은 이들이 컴플렉스로 느끼는 부위의 운동이라는 것이다. 이번 회차에서는 이 가운데서 여성들에게 특히 사랑받는 운동인 사이드 레그 레이즈에 대해 알아본다.난이도는 매우 낮다.순서대로 따라한다면 중둔근(엉덩이 근육)에 정확히 콕콕 박히는 자극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1. 운동방법사이드 레그 레이즈를 할 땐 옆으로 반듯하게 누워야 한다. 중심을 잡기 힘들 땐 손으로 땅을 짚어도 된다. ..
티스토리를 하면서 서식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때 중복되는 단어를 한꺼번에 바꿔주는 기능이 절실했습니다.한글이나 스크리브너 등 문서 편집 프로그램에서는 Ctrl+F로 바꿀 단어를 찾아 한꺼번에 바꿔주는 게 가능한데, 웹창에서는 방법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하여 그동안은 Ctrl+F로 바꿀 단어를 찾아 일일이 수동으로 '복붙'해 바꿨었는데, 이번에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앱을 찾았습니다. 크롬 확장프로그램 'Find & Replace for Text Editing'입니다. 웹에서 글 쓸 때 글자를 한꺼번에 바꿔줄 수 있는 프로그램 'Find & Replace for Text Editing' 앱은 일명 '텍스트 편집을 위한 찾기 및 바꾸기' 프로그램으로서 구글 웹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글 쓰는 ..

건강의 敵 '내장지방'을 빼려면? 肥滿은 심뇌혈관질환 등 致命的인 질병을 誘發할 수 있다. 같은 肥滿이라도 체지방이 어디에 많이 분포해 있느냐가, 體重이나 체지방량보다 疾病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뱃속 내장 사이에 끼어있는 내장지방은 혈관과 心臟 · 腦 등의 장기를 망가뜨린다.◇내장지방의 주범은 과식 · 음주내장지방은 뱃속에 蓄積된 지방이다. 체지방에서 내장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남성 20%, 여성 6%로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다. 그러나 여성이 폐경이 되면 내장지방 축적을 막는 여성호르몬이 부족해지면서 내장지방 축적이 가속화된다. 내장지방은 왜 생길까? 과식 · 음주 · 신체활동 부족 등이 원인이다. 특히 술은 내장지방 축적의 주범이다. 동국대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팀이 건강한 남성 951..
파렴치(破廉恥) 파렴치(破廉恥)란 염치를 깨뜨리는 것이니, 곧 부끄러움을 부끄러움으로 알지 못하는 뻔뻔스러운 행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출전 管仲의《管子》 내용 管鮑之交로 有名한 管子의 牧民篇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나라에는 네 가지 강령이 있으니,그 가운데 하나가 끊어지면 (나라가) 기울고, 두 가지가 끊어지면 위태로워지고, 세 가지가 끊어지면 뒤집어지고, 네 가지가 끊어지면 망한다. 기우는 것은 바로잡을 수 있고, 위태로운 것은 안정시킬 수 있으며, 뒤집어지는 것은 일으켜 세울 수 있지만, 망한 것은 다시 일으킬 수 없다.國有四維, 一維絶則傾, 二維絶則危, 三維絶則覆, 四維絶則滅. 傾可正也, 危可安也, 覆可起也, 滅不可復錯也. 무엇을 일러 네 가지 강령이라 하는가? 첫째는 예(禮), 둘..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 번째 절기. 내용 芒種과 小暑 사이에 들며, 양력으로 6월 21일께가 된다. 북반구에 있어서 낮이 가장 길며, 정오의 태양 높이도 가장 높고, 일사 시간과 일사량도 가장 많은 날이다.북극지방에서는 하루 종일 해가 지지 않으며, 남극에서는 수평선 위에 해가 나타나지 않는다. 동지에 가장 길었던 밤시간이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여 이날 가장 짧아지는 반면, 낮시간은 14시간 35분으로 1년 중 가장 길다. 남부지방 농촌에서는 단오를 전후하여 시작된 모심기가 하지 이전이면 모두 끝난다. 강원도지역에서는 파삭한 햇감자를 캐어 쪄먹거나 갈아서 감자전을 부쳐 먹는다. 옛날 농촌에서는 흔히 하지가 지날 때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기우제를 지냈다.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일곱 번째 절기. 내용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들어 있으며, 양력으로는 대개 5월 6일 전후에 해당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45°에 이르렀을 때이다.이 무렵이면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를 잡아 농사일이 좀더 분망해진다. 여름이 다가온 것을 알리는 입하는 신록을 재촉하는 절기이다.그래서 입하가 되면 농작물도 자라지만, 아울러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까지 자라서 이것들을 없애는 작업도 많다.송파지역에서는 세시행사의 하나로 입하 무렵 쑥무리를 절식(節食)으로 마련하기도 한다.

gqkorea.co.kr의 글이 내게 생각과 실천을 촉구하는 듯하여 옮겨 둡니다.2025.6.15 탐고루주 백 매일 조금씩이라도 달리기를 하면 생기는 일 달리기는 인간의 본능적인 움직임이다. 매일 달리면 단순히 체력이 좋아지는 것을 넘어서 인간으로서 ‘본래의 상태’에 가까워지는 변화들이 생긴다. 본능을 되찾는 과정에서 우리의 몸과 마음은 정화되고 정렬된다. 아래는 인간이 매일 달려야 하는 이유와 달리기를 통해 생기는 변화들이다. 생각이 단순해진다 달리는 동안 뇌는 ‘생존 모드’에 가까워진다. 태초에 먹잇감을 쫓던 그 상태의 인간이 되는 것이다. 고민과 걱정 따위의 생각 대신 지금 숨 쉬고 있는 나에 집중하게 된다. 인간의 뇌는 걷고 달릴 때 가장 자연스럽게 정리된다. 달리기는 명상의 한 형태다..
정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 내용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며, 양력 5월 21일께가 된다. 태양이 황경 60°의 위치에 올 때이다.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滿)는 의미가 있다.서해안과 강원도의 일부 산간지역을 제외하면 이 무렵부터 거의 여름 날씨를 보이기 시작한다. 보리가 익어가며 산에서는 부엉이가 운다.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런 푸른 시절이 보릿고개의 마지막 고비이기도 했다. 감자꽃이 피기 시작한다. 그리고 모내기 준비에 바빠지고 모내기, 가을보리 먼저 베기 등을 하며, 죽순을 따다 별미로 고추장이나 양념에 살짝 묻혀먹고, 또한 냉잇국도 늦봄이나 초여름에 많이 먹는다고 한다.특이사항으로 소서와 소설 · 소한은 모두 대서 · 대설 ·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