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자 한문 공부/한문의 허사 (173)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 일람(ㅎ) 하(何) :(代名詞) 무엇. 어디. 왜. 어느 것. 어떻게. 어째서. (副詞) 얼마나. 무척. 하거(何渠) :(代名詞) 왜. 하거(何遽) :(代名詞) 왜. 하등(何等) :(代名詞) 어떤. 하물(何物) :(代名詞) 어떤 사람. 어느 것. 하수(何誰) :(代名詞) 누구. 누구의 것. 하약(何若) :(代名詞) 왜. 어떤. 무엇. 하여(何與) :(代名詞) 如何와 같음. 하여(何如) :(代名詞) 왜. 어떤. 무엇. ∼에 비하면 어떠한가. 하적(何適) :(副詞) 어찌∼에만 그치랴. 하허(何許) :(代名詞) 어느 곳. 어디. 함(咸) :(副詞) 모두. 전부. 합(盍) :(代名詞) 왜. 어떻게 (항상 不과 연용). 합(闔) :(代名詞) 왜. 어떻게 (항상 不과 연용). 합호(闔胡) :(代名詞)..
한문의 허사 일람(ㅊ-ㅍ) 차(借) :(接續詞) 설사 ∼하더라도. 만약 ∼이 된다면. 가령 ∼일지라도. 차(嗟) :(感歎詞) 아!. 차(且) :(語氣詞) 아!. 차(差) :(副詞) 약간, 조금, 비교적, 대략(정도를 나타냄). 차(此) :(副詞) 이(것), 이러한, 이렇게, 여기. 차(且) :(副詞) 장차. 장차 ∼하려 하다. 머지않아 곧. 잠시. 잠깐. (接續詞) 뿐만 아니라. 또한 ∼, 한편으로는 ∼ ∼뿐만 아니라. 아울러. 하물며. 또한. 더욱. 조차. 또한. 혹은. 만일 ∼가 된다면. 설사 ∼라 하더라도. (語氣詞) 夫와 비슷하다. 차래(嗟來) :(感歎詞) 아!(고통을 나타냄). 차방(且方) :(副詞) 마침. 바야호로. 차부(且夫) :(接續詞) 다시 말하면. 하물며. (語氣詞) 해석 않음.(의..
한문의 허사 일람(ㅈ) 자(者) :(代名詞) 그(들). 그것(들). (助詞) ∼의. ∼하는 사람. ∼와 같다. (語氣詞) 제지와 정지를 나타냄.(번역 않음.). 자(藉) :(接續詞) 설사 ∼하더라도. 만약 ∼이 된다면. 가령 ∼일지라도. 자(玆) :(代名詞) 이. 이것. (副詞) 더욱더. 한층. (接續詞) 꼳. ∼하자마자. 그래서. (語氣詞) 아! 자(自) :(代名詞) 자기를. 스스로. 스스로 자신을 ∼하다. (副詞) 손수. 자기 스스로. 본인이. 자연스럽게. 본래. 원래. 당연히. 물론. (前置詞) ∼로부터. ∼로 말미암아. (接續詞) 설사 ∼하더라도. 가령 ∼일지라도. 자(滋) :(副詞) 더욱더. 자고(玆故) :(接續詞) 이로 인하여. 是故와 같다. 자내(玆乃) :(接續詞) 그래서. 따라서. 자무(..
한문의 허사 일람(o) 아(啞) :(代名詞) 어느 곳. 어디에. 어느 방면. (感歎詞) 아! 아(雅) :(副詞) 여태까지. 한결같이. 매우. 충분히. 안(安) (賓語) 무엇, 어디, 어찌하여 어떻게, 어째서. 안(案) :(接續詞) 무엇, 어디, 어찌하여. 안(按) :(接續詞) 무엇, 어디, 어찌하여. 야(耶) (語氣詞) ∼입니까? ∼인가? ∼인데. ∼이면. 야(也) (語氣詞) 구말에 쓰고 어떤 사물의 확인을 나타냄. ∼하다. ∼하자. ∼면. ∼는. ∼이. 야부(也夫) :(語氣詞) ∼하는 구나! 야사(也邪) :(語氣詞) ∼인가. ∼입니까. 야야(也耶) :(語氣詞) ∼인가. ∼입니까. 야여(也與) :(語氣詞) ∼입니까? ∼이지요. ∼인가. 야여(也歟) :(語氣詞) ∼입니까? ∼이지요. ∼인가. 야여재(..
한문의 허사 일람(ㅅ) 사(思) (語氣詞) ∼면. ∼는. (번역 않을 때도 있음). 사(邪) (語氣詞) ∼입니까? ∼인가? ∼인데. ∼이면. 사(使) :(接續詞) 만일∼한다면. 사(乍) :(代名詞) 어떤 것. 어떤 때. (副詞) 갑작히. 돌연히. 막. 방금. 사(斯) :(代名詞) 이. 이런. 이것. 여기. (接續詞) 곧. 그렇다면.(助詞) 是와 통함. (語氣詞) 兮와 같음. 상(相) :(副詞) 서로. 함께. 상(尙) :(副詞) 아직도. 여전히 ∼이지요. ∼할까요. ∼하라. (接續詞) 또한. 더욱. ∼까지도. 만일∼한다면. 상(嘗) :(副詞) 일찍이 ∼한 적이 있었다. 상(常) :(副詞) 항상, 평소에, 일찍이. 상복(尙復) :(副詞) 오히려. 상상(常常) :(副詞) 항상, 평소(번역할 필요 없다). 상여..
한문의 허사 일람(ㅁ-ㅂ) 막(莫) :(代名詞) 아무도 없다. 아무것도 없다. (副詞) ∼해서는 안 된다. ∼하지 말라. ∼이 아니다. 대략. 대개. 막약(莫若) :(副詞) ∼에 미치지 못하다. 차라리 ∼하는 게 낫다. 막여(莫如) :(副詞) ∼만 못하다. 망(亡) :(副詞) ∼이 아니다. ∼이 없다. 망(妄) :(接續詞) 그렇지 않으면. 아직도.(副詞) 무턱대고. 멋대로. 망(罔) :(代名詞) 아무도 없다. (副詞) ∼이 아니다. 필요 없다. ∼해서는 안 된다. 바리지 않는다. 망기(妄其) :(接續詞) 그렇지 않으면. 아직도. 역시. 망기(亡其) :(接續詞) 혹시 그렇지 않으면. 아직도. 망기(忘其) :(接續詞) 혹시 그렇지 않으면. 아직도. 망의(亡意) :(副詞) 혹은∼일지도 모른다. 아마도. 매(每..
한문의 허사 일람(ㄴ-ㄹ) 나(奈) :(代名詞) 어떻게. 나하(奈何) : (代名詞) 어떻게. 어찌. 왜. 내(迺) :(代名詞) 너(너희들) 이. 이렇게. (副詞) 바로. 바로. 곧. 이에. 비로소. 막. 비로소. 단지. 겨우. 오히려. 마침내. 의외로. (接續詞) 그러나. 뿐만 아니라. 내(乃) :(代名詞) 너(너희들) 이. 이렇게. (副詞) 바로. 바로. 곧. 이에. 비로소. 막. 비로소. 단지. 겨우. 오히려. 마침내. 의외로. (接續詞) 그러나. 뿐만 아니라. 내(柰) : (副詞) 어떻게. 내(耐) :(助動詞) 충분히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副詞) 乃와 통함. (接續詞) 而와 통함. 내금(乃今) :(副詞) 비로소. 내수(乃遂) :(副詞) 대개. 바로. 이에. 내약(乃若) :(接續詞) ∼..
한문의 허사 일람(ㄱ) 허사를 일람하는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라서, 예문은 달려 있지 않습니다. 가(可) : (助動詞) ∼할 수 있다. ∼하면 된다. ∼해도 된다.해야 된다. 마땅히∼해야 한다.대략.설마∼일 리가 있겠는가. 어떻게.가(加) : (副詞) 다시. 더욱이. 한층.(接續詞) 게다가. 가(假) : (接續詞) 설령∼이라도. 만일∼가 된다면. 가득(可得) : (助(動詞) ∼할 수 있다. 가령(假令) : (接續詞) 설사∼하더라도. 가령∼라도. 가설(假說) : (接續詞) 설사 ∼하더라도. 만일 ∼가 된다면. 가이(假而) : (接續詞) 만일 ∼이 된다면. 설령 ∼이라도. 가이(可而) : (助動詞) 해석 않음.∼해야 한다. 마땅히 ∼해야 한다. 가이(可以) : (助(動詞) 해석 않음. ∼해야 한다. 마땅히 ∼..
https://blog.naver.com/seok9437/221529463538 한문은 원전으로 읽고 싶어한다우리가 서양 고전을 말할 때 그 원전을 별로 염두에 두지 않지만, 중국 고전을 말할 때는- 그래도 식자 층이라면- 그것을 원전으로 읽고 싶어한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것은 우리 문화와 중국 문화의 역사적, 지리적 근접성에서 찾을 수 있을 터이다. 한문의 특징古漢語 즉 漢文을 포함한 중국어는 다른 언어와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발음이 한정적이어서 同音異義語가 많다.격 변화와 어미 변화가 전혀 없다.규칙성이 떨어지기 마련인 慣用語와 成語의 활용이 많다.첫 번째 특징에 대한 대안으로 聲調變化의 발전이 있었다고 생각된다.두 번째 특징인 격 변화와 어미 변화가 없다는 점은 필연적으로 ..
한문의 허사(虛詞) 會會當 반드시 ~할 것이다會는 부사로서 현대 중국어에서도 여전히 쓰이고 있는 글자로 “실현 가능성이 있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조동사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他会来[그는 올 수 있다] ,他不会来[그는 올 수 없다], 他会不会来[그는 올 수 있는가?]와 같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용법은 이미 멀리 魏晉時代에도 있었다. (1) 會는 양한시대 이전에는 단지 부사로서 “때마침” ,“공교롭게도”의 의미로 쓰였다.會得白鹿, 屬文長作表. 表上, 永陵喜. 《袁宏道: 徐文長傳》-때마침 흰 사슴 한 마리를 잡자, 문장에게 명하여 황제에게 표를 지어 바칠 것을 분부했다. 표를 지어 바치자, 가정황제[世宗(1522-1566)]께서 보고 기뻐했다.陳勝吳廣皆次當行, 爲屯長. 會天大雨, 道不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