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253

한문의 허사(虛詞) 同

한문의 허사(虛詞) 同 同然 함께 “同”은 현대 중국어에서도 몇 가지 용법이 있는데, 부사 이외에 전치사 용법도 있다. ① “当下受了他两拜,有同他拜了两拜” 《儒林外史二回》 [그로부터 절을 두 번 받는 즉시, 바로 그에게 두 번 절한다.]에서 “同他拜”는 “向他拜”를 뜻한다. ② “他们二人同他抬轿子”《豊子愷: 아들로부터 계시를 받다》 에서 “同”은 “替他抬轿子”즉 “그를 위해 가마를 들었다”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③ “病势渐退,已经同常人一样”《老残游记》 [병세는 점차 호전되어 이미 건강한 사람과 같게 되었다.]에서는 비교를 나타내는 전치사로 쓰이고 있다. ④ “从今以后,我再不同他们一处吃 酒闲 逛如何”《紅樓夢35回》 [나는 앞으로 그들과 함께 어울려 술을 마시거나 빈둥거리는 일은 없을 것이다.]에서 전치..

한문의 허사(虛詞) 獨

한문의 허사(虛詞) 獨 獨唯 오로지 非獨 비단 ~ 뿐만 아니라 豈獨 어찌 ~ 뿐이겠는가 (1) 獨은 부사로 쓰여, 동작이나 행위가 단독으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홀로” “단독으로” ¶ 人皆有兄弟, 我獨亡. 《論語 顔淵》 ○ 남들은 모두 형제가 있는데 나만 홀로 형제가 없구나. ¶ 四方有羨, 我獨居憂. 民莫不逸, 我獨不敢休. 《詩經 小雅 十月之交》 ○ 사방의 백성들 모두들 잘 살건만, 나만 홀로 근심에 싸여 있네. 백성들 모두 즐기는데, 나만 홀로 감히 쉬지 못하네. (2) 獨은 상기 목의 “홀로”라는 뜻에서 引伸되어 “단지” “다만” “오로지”의 뜻으로 쓰인다. ¶ 且陛下病甚, 大臣震恐, 不見臣等計事, 顧獨與一宦者絶乎? 《史記 樊噲列傳》 ○ 그런데 폐하께서 병환이 중하시어, 대신들이 충격을 받고 불안해하..

한문의 허사(虛詞) 徒

한문의 허사(虛詞) 徒 “徒걸어다닐 도”는 고대 중국어에서 대체로 부사로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뜻으로 쓰였다. (1) 徒는 “오히려” “원래는” “결국”의 뜻으로 쓰인다. ¶ 吾以夫子爲無所不知, 夫子徒有所不知. 《荀子 子道篇》 ○ 나는 선생님께서는 모르는 것이 없다고 여겼는데, 선생님도 오히려 모르는 것이 있었다. ¶ 田子方從齊之魏, 望翟黃乘軒騎駕出. 方以爲文侯也, 移車異路而避之, 則徒翟黃也. 《韓非子 外儲說左下篇》 ○ 전자방이 제나라에서 위나라로 가는 길에, 적황이 [천자의 수레인] 軒에 올라 많은 기마를 거느리고 지나가는 것을 보게 되었다. 전자방은 그를 임금인 문후라고 여겨 경의를 표하는 뜻으로 자기의 수레를 옆길로 비켜 세웠는데 원래는 적황이었다. (2) 徒는 “단지” “근근히” “겨우”의 뜻으..

한문의 허사(虛詞) 儻

한문의 허사(虛詞) 儻 儻(倘) 黨(党) 儻或 儻若 儻使 “儻혹시당”은 “黨무리당”과 통한다. 부사나 접속사로 쓰인다. 부사로 쓰일 때는 추측, 예측 등을 나타낸다. 접속사로 쓰일 때는 가설을 나타낸다. (1) 儻은 부사로서 확실치 않은 것을 나타낸다. “아마도” ¶ 蓋周文武起豊鎬而王, 今費雖小, 儻庶幾乎! 《史記 孔子世家》 ○ 주나라의 문왕·무왕은 풍과 호처럼 작은 지방에서 왕업을 일으켰다. 지금 費 땅은 비록 작지만 아마도 풍과 호와 같지 않겠는가! ¶ 余聞光黃間多異人, 往往佯狂垢汚, 不可得而見, 方山子儻見之歟? 《蘇軾: 方山子傳》 ○ 나는, 광주와 황주 사이에 이인이 많이 있는데, 왕왕 미치고 더러운 체하여, 쉽게 만나볼 수 없다고 들었다. 方山子께서 혹시 이런 사람들을 만난 일이 있는가? ¶ 會傕..

한문의 허사(虛詞) 當

한문의 허사(虛詞) 當 當使 만약 “當”은 현대 중국어에서도 쓰이고 있는 “應當 당연히~해야한다” “當今 지금”의 當이다.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용법이 있다. (1) 當은 “마땅히 …해야 한다”라는 뜻으로 쓰이며, 술어 중 주요성분 앞에 위치한다. ¶ 文帝曰: “吏不當若是耶?” 《史記 張釋之傳》 ○ 한문제가 말했다: “관리란 마땅히 이렇게 해서는 안 되는 것 아닌가?” ¶ 少壯眞當努力, 年一過往, 何可攀援? 《曹丕: 與吳質書》 ○ 젊었을 때 마땅히 진정으로 노력해야 한다. 나이가 일단 들면, 어디 가서 만회할 수 있겠는가? (2) 한과 위진시대 사람들은 當자를 때로는 가능이나 실현을 나타내는 뜻으로 사용했다. “…할 가능성이 있다” “…할 것이다” ¶ 設使國家無有孤, 不知當幾人稱帝, 幾人稱王. 《三國志 ..

한문의 허사(虛詞) 但

한문의 허사(虛詞) 但 “但”은 부사 및 접속사로 쓰인다. 부사로 쓰일 때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뜻이 있고, 접속사로 쓰일 때는 오직 한 가지 용법이 있다. (1) 但은 부사로 쓰여, 어떤 범위에 한정됨을 나타낸다. “겨우” “단지” “다만” ¶ 吾預知當爾, 非聖也, 但更事多耳. 《三國志 魏志 武帝紀》 ○ 나는 당연히 이렇게 되리라는 것을 미리 알고 있었다. 나는 결코 성인이 아니지만, 단지 경험한 일이 비교적 많을 뿐이다. ¶ 不聞爺娘喚女聲, 但聞黃河流水鳴濺濺. 《木蘭詩》 ○ 부모가 딸 부르는 소리는 듣지 못하고, 오로지 황하 흐르는 물이 濺濺하고 울리는 소리만 들었네. (2) 但은 부사로 쓰여, 보상을 받지 못하거나, 예측한 효과나 목적을 얻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공연히” “쓸데없이” ¶ 民俗祭祀喪..

한문의 허사(虛詞) 寧

한문의 허사(虛詞) 寧 寧可 차라리 寧은 몇 가지 용법이 있다. (1) 寧은 단문을 연결시키며 선택 관계를 나타낸다. “차라리 …하는 것이 낫다” ☞득실을 따져 본 후에 선택해야 함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선택을 나타내는 접속사인 “與其~하기보다는”나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인 無, 不 등과 호응한다. ¶ 吾寧鬪智, 不能鬪力. 《史記 項羽本紀》 ○ 나는 차라리 지혜로 싸우기를 원하지, 힘으로 싸우고자 하지 않는다. ¶ 大丈夫寧可玉碎, 不能瓦全. 《北齊書 元景安書》 ○ 대장부는 차라리 절개를 지키며 죽을지언정, 구차하게 삶을 꾀하지는 않는다. ¶ 與其害其民, 寧我獨死. 《左傳 定公13年》 ○ 여러 사람을 다치게 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저 혼자 죽겠습니다. ¶ 與其殺不辜, 寧失不經. 《左傳 襄公23年》 ○ 죄없..

한문의 허사(虛詞) 乃

한문의 허사(虛詞) 乃 無乃 毋乃 乃纔 “乃” “迺”의 2개 글자는 金文에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대명사로서는 “乃”자를 쓰고, 접속사로서는 “迺”자를 쓴다고 하지만, 그 구별이 쉽지 않아서 대체로 혼용되었으며, 후대에 이르러 점차 구분이 없어졌고, 이제는 글자 모양만 다를 뿐 뜻과 용법에 구별이 없다. (1) 乃는 대명사로서 “그대의”라는 뜻으로 쓰인다. ¶ 命我衆人, 庤乃錢鎛, 奄觀銍艾. 《詩經 周頌 臣工》 ○ 우리 백성에게 명하시어, 그대들의 가래와 호미로 일하게 하시니, 곧 수확하게 되리로다. ¶ 必欲烹乃翁, 幸分我一杯羹. 《漢書 項羽傳》 ○ 꼭 너의 늙은 아비를 삶으려거든, 나에게도 국 한 그릇을 나누어 주기 바란다. ☞乃는 고대 군주가 신하들을 칭찬하고 고무 격려할 때 “그대의” “그대들의”라는..

한문의 허사(虛詞) 旣

한문의 허사(虛詞) 旣 旣而 오래지않아 旣已 이미 旣는 예를 들면 旣高且大[키가 클 뿐만 아니라 몸도 크다.]의 용례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부사로 쓰인다. (1) 旣는 시간부사로 쓰여, 성어 旣往不咎[과거의 잘못은 묻지 않는다.] 旣成事實[이미 성립된 사실] 등에 있어서와 같이 이미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때로는 “旣已”로 연용된다. ¶ 霜露旣降, 草木盡脫. 《蘇軾: 後赤壁賦》 ○ 서리와 이슬이 이미 내려, 나뭇잎은 시들어 모두 다 떨어졌다. ¶ 單于旣立, 盡歸漢使之不降者. 《史記 凶奴傳》 ○ [그는] 선우의 자리에 오른 뒤, 한나라 사자로서 항복하지 않은 사람들을 모두 귀환시켰다. ¶ 後十三歲, 魏與趙攻韓, 韓告急于齊. 齊使田忌將而往, 直走大梁. 魏將龐涓聞之, 去韓而歸, 齊軍旣已過而西矣. 《史記 孫吳列傳..

한문의 허사(虛詞) 幾

한문의 허사(虛詞) 幾 幾多 幾何 幾所 幾許 未幾 (1) 幾는 형용사로 쓰여, 부정확한 수를 나타내거나 수량을 묻는다. ¶ 知事幾時畢. 知用幾人功. 知費幾材用. 知用幾糧食.《左傳 昭公32年 杜注》 ○ 일을 완성하는 데 얼마의 시간이 소요될 것인지를 파악하고, 사람 품은 얼마나 들 것인지를 파악하며, 재료는 얼마나 들 것인지를 파악하고, 식량은 얼마나 들 것인지를 파악한다. ¶ 子來幾日矣? 《孟子 離婁上》 ○ 그대는 온 지 얼마나 되었는가? ¶ 將軍度羌虜何如, 當用幾人? 《漢書 趙充國傳》 ○ 그대는 강족의 힘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가? 군대를 얼마나 동원해야 할까? ¶ 一刻之間盖幾夢焉. 《何孟春: 夢解》 ○ 잠깐 사이에 대략 수차례의 꿈을 꾸었다. (2) 수량을 묻거나 정확하지 않은 수를 나타낼 때 幾多..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