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253

한문의 허사(虛詞) 故

한문의 허사(虛詞) 故 故는 명사, 형용사, 부사, 그리고 접속사로 쓰이며, 그 뜻하는 의미 또한 각각 다르다. 명사로 쓰일 때에는 일반적으로 원인, 이유를 뜻한다. “사고”를 의미하는 명사로 쓰일 때가 있는데, 자주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論語 微子》편에 보이는 “故舊無大故, 則不棄也”[옛 신하가 큰 사고가 없으면 버리지 않는다.]라는 문장에서 그와 같이 쓰였다. 그러나 명사는 본서의 주제인 허사가 아니므로 여기에서는 이 정도로 그친다. 다만, 형용사 역시 허사에 속하는 것은 아니지만, 필요한 경우 해당 부분에서 언급하기로 하겠다. (1) 故는 형용사로서 “원래의” “오래된”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 項王身亦被十餘創. 顧見漢騎司馬呂馬童, 曰: “若非吾故人乎?”《史記 項羽本紀》 ○ 항왕 자신도..

한문의 허사(虛詞) 固

한문의 허사(虛詞) 固 固는 단지 부사로 쓰이며, 때로는 응대사로도 쓰이는데, 이것 역시 부사이다. 그러나 그 아래 동사와 기타 성분이 생략된다. 固의 의미는 수시로 상하 문의에 따라 달라진다. 응대사로 쓰이면 단지 “당연하다”라는 의미이다. (1) 固자는 태도가 단호함을 나타낸다. “단호히” ¶ 齊侯請娶之, 固辭. 《左傳 桓公6年》 ○ 제나라 임금은 또다시 그에게 그 딸을 아내로 맞이해 달라고 청했으나, 그는 굳이 사절했다. ¶ 朱公長男固請欲行. 《史記 趙世家》 ○ 범려의 장남은 단호히 자신이 떠나기를 청했다. (2) 固자는 술어 앞에 쓰여 “본래” “원래”의 뜻으로 쓰인다. ¶ 臣固知王之不忍也. 《孟子 梁惠王上》 ○ 저는 본래 임금님께서 마음이 모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 象至不仁, 封之..

한문의 허사(虛詞) 姑

한문의 허사(虛詞) 姑 “姑시어미고”자는 단지 시간 부사로 쓰이며, “잠시” “잠깐”의 의미를 가진다. ¶ 我姑酌彼金罍. 《詩經 周南 卷耳》 ○ 내 우선 저 금 술잔에 술을 부으리라. ¶ 多行不義, 必自斃, 子姑待之. 《左傳 隱公元年》 ○ 의롭지 못한 짓을 많이 하면, 그 자신 틀림없이 멸망할 터이니, 그대는 잠시 그날을 기다리시오! 斃(폐): 죽다

한문의 허사(虛詞) 更(경)

한문의 허사(虛詞) 更(경) 更相 잇달아 “更”자는 ①“更고칠경”자와 ②“更다시갱”자의 두 가지 음이 있는데, “更다시갱”자에 관하여는 “갱”자 항목에서 이미 살펴보았다. 중국어의 경우, 평성, 즉 제1성으로 읽는 경우에는 대개 실사이지만, 거성, 즉 제4성으로 읽는 경우는 모두 허사이다. (1) “更고칠경”자는 평성, 즉 제1성으로 읽는 경우, 부사로 쓰여, “다시” “번갈아” “잇달아” 등의 뜻으로 쓰인다. 문장 전후의 상황을 파악하여 의미를 결정한다. ¶ 太后、長公主更賜安國可直千餘金。《史記 韓長孺列傳》 ○ 태후와 장공주는 다시 한안국에게 대략 천여금에 달하는 상을 내렸다. ▶可: 대략 ¶ 及其衰也, 亦三百餘歲, 故五伯更起. 《史記 主父偃列傳 引 嚴安上書》 ○ 주나라는 쇠약해지는 과정, 역시 300여..

한문의 허사(虛詞) 見

한문의 허사(虛詞) 見 見는 동사 앞에 놓여, 한편으로는 피동을 나타내고, 때로는 대명사를 겸한다. (1) 見는 동사 앞에 쓰여, 순수하게 피동을 나타낸다. “당하다” “받다” ¶ 盆成括見殺. 《孟子 盡心下》 ○ 분성괄은 피살되었다. ¶ 隨之見伐, 不量力也. 《左傳 僖公20年》 ○ 수나라가 정벌을 당한 것은, 자신의 실력을 헤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 今王誠欲致士, 先從隗始. 隗且見事, 況賢于隗者乎? 豈遠千里哉? 《戰國策 燕策》 ○ 지금 대왕께서 진실로 선비를 모으고 싶거든, 저(곽외)로부터 시작하십시오. 저와 같은 자도 중용된다면, 하물며 저보다 어진 자들이 가만히 있겠습니까? 어찌 천리를 멀다 하겠습니까? (2) 見은 동사 앞에 쓰여, 한편으로는 피동을 표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 자신을 대신한..

한문의 허사(虛詞) 擧

한문의 허사(虛詞) 擧 “擧”자는 형용사와 부사로 쓰이는데 그 뜻하는 바는 거의 같다. (1) 擧는 형용사, 즉 관형어[한정어]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명사 위에 놓인다. “모든” “온” ☞현대 중국어에 보이는 성어 중에 “擧世聞名”[세상에 널리 이름이 나다.] “擧國歡慶”[온 나라가 경축하다.]의 “擧”자가 바로 이 용법으로 쓰인 것이다. ¶ 若惠顧敝邑, 撫有晉國, 賜之內主, 豈唯寡君, 擧羣臣實受其貺. 《左傳 昭公3年》 ○ 만약 귀국에서 우리나라를 돌봐, 우리 진나라를 사랑하시고, 안주인까지 하사하신다면, 이는 어찌 우리 임금님만의 기쁨이겠습니까? 우리 모든 신하들도 모두 그 영광을 받아들이는 바입니다. ¶ 擧家無食, 汝何處來? 《顔氏家訓 治家篇》 ○ 온 가족이 밥을 못 먹고 있는데, 당신은 어디서 오는 ..

한문의 허사(虛詞) 渠

한문의 허사(虛詞) 渠 “渠도랑거”자는 “詎어찌거”와 통하며 부사어로서,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어찌 …하겠는가?”로 해석한다. 이 용법에 관하여는 “詎”자와 “巨”자 항에서 이미 살펴본 바 있다. 魏晉 이후에는 3인칭 대명사 및 부사로 쓰이기 시작했다. (1) 渠는 3인칭 대명사로 쓰인다. “그” “그 사람” ¶ 女壻昨來, 必是渠所竊. 《三國志 吳志 趙達傳》 ○ 어제 사위가 왔다. 틀림없이 훔쳐갈 것이 있을 것이다. ¶ 雖與府吏要, 渠會總無緣. 《古詩爲焦仲卿妻作》 ○ 설사 부리와 약속이 있다 하더라도, 그와는 도무지 연분이 없다 ¶ 今暝將渠俱不眠. 《北周庾信詩》 ○ 오늘밤은 그와 함께 잠을 이루지 못한다. (2) 渠는 부사어로 쓰이며 반문의 어기를 나타낸다. “어찌 …하겠는가?” 그러나 많이 보이지..

한문의 허사(虛詞) 巨

한문의 허사(虛詞) 巨 渠, 豈渠, 豈鉅, 奚距, 寧渠, 詎非 “詎어찌거” “鉅클거” “渠도랑거” “巨클거”들은 글자는 다르지만, 모두 동음동의어로서 반문 부사인 “어찌 … 하겠는가?”라는 의미로 쓰인다. 항상 “庸어찌용” “豈어찌기” “奚어찌해” “寧차라리녕”등의 동의사들과 공동으로 쓰인다. 한편 “詎非”는 “自非”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데 “만약 …이 아니라면”이라는 의미이다. (1) 巨 등 諸字는 “豈”자로 쓰이는데, 선진시대와 兩漢시대에 많이 보이고, 이후에는 그 용례가 극히 드물게 보인다. “어찌 … 하겠는가?” ¶ 沛公不先破關中, 公巨能入乎? 《漢書 高祖紀》 ○ ‘유방’이 먼저 관중을 무찌르지 않았다면, 공이 어찌 여기에 들어올 수 있었겠습니까? ¶ 掾部渠有其人乎? 《漢書 孫寶傳》 ○ 하속 관리..

한문의 허사(虛詞) 更

한문의 허사(虛詞) 更 更復 [다시] 更은 “更다시갱”자와 “更고칠경”자의 두 가지 음이 있는데, “更고칠경”자에 관하여는 “경”자 목을 참조하기 바란다. 중국어의 경우, 평성, 즉 제1성으로 읽는 경우에는 대개 실사이지만, 거성, 즉 제4성으로 읽는 경우는 모두 허사이다. (1) “更다시갱”자는 거성, 즉 제4성으로 읽는 경우, 부사로서 “다시”를 뜻한다. 또한 “更復”라는 이음절어로 연용된다. 뜻은 같다. ¶ 虞不臘矣, 晉不更擧矣. 《左傳 僖公5年》 ○ 우리 ‘우’나라는 연말의 납제를 행하지 않을 것이다. 晉나라는 다시 군대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 然後宜選持重之將, 承寇賊之要, 相時而後動, 擇地而後行, 一擧更無余事. 《三國志 魏志 王朗傳》 ○ 앞으로는 마땅히 노련하고 중후한 장수를 선정하여 기용..

한문의 虛詞(허사) 蓋

한문의 虛詞(허사) 蓋 蓋가 허사로 쓰일 때는 본뜻과 무관하다. 부사나 접속사로 쓰인다. (1) 蓋는 부사로 쓰여 傳疑를 나타내거나 추측을 나타낸다. 문장의 맨 앞에 쓰이며, 이때 문장의 전체 내용이 확실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대충” “대략” “대체로” ¶ 蓋上世嘗有不葬其親者, 其親死則擧而委之於壑. 《孟子 藤文公上》 ○ 옛날에는 일찍이 어버이가 죽어도 장사 지내지 않는 시대가 있었는데, 그때는 그 부모가 죽으면 대체로 그대로 들어다가 골짜기에 버렸다고 한다. ¶ 蓋天下萬物之萌生, 靡不有死. 《史記 文帝紀》 ○ 대저 생명이 있는 천하 만물은 죽지 않는 것이 없다. ¶ 蓋墨翟, 宋大夫; 善守御, 爲節用. 《史記 孟荀列傳》 ○ 묵적은 아마도 송나라 대부로서, 적군을 방어하는 전문가였으며, 절약할 것을 주장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