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253

한문의 허사(虛詞) 勿

한문의 허사(虛詞) 勿 勿은 대부분 부정부사로서 특히 금지사로 많이 쓰인다. 간혹 의미가 없는 조사로 쓰이는데 어법적 기능을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無와 毋의 경우와 같다. (1) 勿은 不과 용법이 같다. ¶ 對曰: “信. 噫! 公命, 我勿敢言.” 《書經 金騰》 ○ 대답해 말했다: “진실입니다. 아! 주공께서 명하심에, 우리들이 감히 말을 못하옵니다.” ¶ 君子于役, 如之何勿思? 《詩經 王風 君子于役》 ○ 임이 부역 가셨으니, 어찌 그립지 않으랴? (2) 勿은 금지의 명령 부사로 쓰인다. ¶ 丹所報, 先生所言者, 國之大事也. 愿先生勿泄也! 《史記 刺客列傳》 ○ 제가 원수를 갚겠다고 한 것과, 그것을 선생과 의논한 것은, 모두 국가의 대사입니다. 원컨대 누설되지 않도록 해 주십시오. ¶ 始皇謝曰: “已矣!..

한문의 허사(虛詞) 無

한문의 허사(虛詞) 無 無有 無는 본래 “없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런데 만약 “없다”라는 뜻으로 無有라고 썼다면 여기에서의 “無”는 “有”자의 상황어(부사어)로서 이것은 곧 부정부사가 된다. 無는 또한 부정부사 “不”로 쓰이며, 또한 “…을 하지 말라”라는 뜻의 ‘금지사,’ 즉 “莫 ~하지마라” “不要 ~하지마라”라는 뜻으로 쓰인다. 기타 다른 용법도 더 있다. (1) 無는 無指代名詞로서 “아무도 없다” “방법이 없다, 어찌할 수 없다”의 뜻으로 쓰인다. ¶ 相人多矣, 無如季相. 《史記 高祖本紀》 ○ 여러 사람의 상을 보았지만, 아무도 그대 만한 사람이 없었읍니다. ¶ 奮無文學, 恭謹無與比. 《史記 萬石君傳》 ○ 석분은 학문에 힘쓰지는 않았지만, 공손하고 삼가하기로는 그에 비교할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한문의 허사(虛詞) 毋

한문의 허사(虛詞) 毋 “毋없을무”는 “無없을무”자와 대부분 용법이 같은데 이는 古音이 기본적으로 같았기 때문이다. 다만 毋는 습관적으로 ‘금지 부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能飮一杯無?”[술 한 잔 하지 않으려는가?] 와 같은 無자 용법은 보이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이와 같은 無자 용법이 뒤늦게 쓰여지기 시작되었던데 연유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1) 毋는 無指代名詞로 쓰인다. “아무도…하지 않다” ¶ 上察宗室諸竇毋如竇嬰賢, 乃召嬰. 《史記 魏其侯列傳》 ○ 종실과 두씨 일족을 통틀어 아무도 ‘두영’처럼 유능한 자가 없다고 생각한 황제는 ‘두영’을 불렀다. ¶ 盡十二月, 郡中毋聲, 毋敢夜行. 《史記 酷吏王溫舒列傳》 ○ 12월이 다 갈 무렵, 군내에는 이의를 제기하는 자가 없어졌고, 아..

한문의 허사(虛詞) 亡

한문의 허사(虛詞) 亡 亡은 두 가지 음이 있다. ① “망”으로 읽는다. 亡失、逃亡、滅亡、消亡 등으로 쓰인다. 모두 實詞이다. 亡其 妄其 등에 관하여는 妄에서 살펴본 바 있다. ② “무”로 읽는다. 대부분의 용법이 無와 같으며, “없다”의 뜻으로 해석한다. 부사 및 부정적 응대사로 쓰인다. (1) “亡없을 무”은 “무”로 읽는다. 용법과 의미는 모두 無자와 같다. “…이 아니다” ☞때로는 亡 다음에 동사가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부사로 쓰인 것이다. ¶ 軍亡導, 或失道. 《史記 李廣傳》 ○ 군대에 향도가 없어서, 일부 길을 잃은 자가 발생했다. ¶ 天積氣耳, 亡處亡氣. 《列子 天瑞篇》 ○ 하늘은 본래 형체가 있는 것이 아니고, 형체가 없는 기운이 쌓여서 이루어진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어디든 기운이 ..

한문의 허사(虛詞) 每

한문의 허사(虛詞) 每 每每항상 每에 관한 고대와 현대의 용법은 거의 차이가 없다. (1) 每는 명사 앞에서 관형어[한정어]로 쓰인다. “매” “모두” ¶ 子入太廟, 每事問. 《論語 八佾》 ○ 공자께서 태묘(나라의 큰 사당. ‘주공 묘’)에 들어가서 매사를 물으셨다. ¶ 故爲政者, 每人而悅之, 日亦不足矣. 《孟子 離婁下》 ○ 그러므로 정치하는 사람이,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려 한다면, 날수(日數)가 부족할 것이다. (2) 每는 부사로 쓰여 여러 차례, 혹은 중복되어 발생함을 나타낸다. “매번” “…할 때마다” ¶ 孝王慈孝, 每聞太后病, 口不能食, 居不安寢. 《史記 梁孝王世家》 ○ 양효왕 자상은 효성스러워서, 매번 태후께서 병이 나셨는지, 식사는 잘 드시는지, 잠은 잘 주무시는지 물었다. ¶ 每與人言, 多詢..

한문의 허사(虛詞) 罔

한문의 허사(虛詞) 罔 “罔그물망”은 오직 상고 시대에만 쓰였다. 《書經》에 그 용례가 가장 많고 《詩經》에도 간혹 보인다. 그런데 《易經》의 卦辭나 爻辭에 보이는 “罔”은 허사가 아니다. 《書經 金騰》에 보이는 “王其罔害”[왕은 장차 해가 없을 것이다.]라는 문장에 쓰인 “罔”자도 역시 허사가 아니다. 허사로 쓰인 믿을만한 용법으로서는 ① 無指代名詞와 ② 否定副詞를 들 수 있다. (1) “罔”은 無指代名詞로 쓰인다. “아무도 …하는 사람은 없다” ¶ 四方之民罔不祇畏. 《書經 金騰》 ○ 세상 사람들 중에 누구도 불공경하거나, 무서워하고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 爾庶邦君越庶士御士罔不反曰: “艱大.” 《書經 大誥》 ○ 그대들 모든 나라의 군주 및 각급 관리들은 아무도 다음과 같이 보고하지 않는 이가..

한문의 허사(虛詞) 妄

한문의 허사(虛詞) 妄 妄其 아니면 忘其 아니면 亡其 아니면 “妄”은 부사로 “터무니없다” “황당무계하다” 또는 “대충” “멋대로”의 뜻으로 쓰인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痴心妄想[허황된 망상을 하다] 轻举妄动[경거망동] 妄自尊大[함부로 잘난체하다] 등의 성어에서 이러한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妄其”는 선택 접속사로서 “A인지 아니면 B인지”를 뜻한다. (1) 妄은 부사로 쓰여 “함부로” “멋대로” “경솔히”를 뜻한다. ¶ 然豈可以貪爵祿而使吾君有妄施之名乎. 《莊子 讓王篇》 ○ 그렇지만 어찌 벼슬과 녹을 탐하여 우리 임금으로 하여금 함부로 상을 내리신다는 나쁜 명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겠습니까? ¶ 秦始皇東游會稽, 梁與籍俱觀. 籍曰: “彼可取而代也!” 梁掩其口, 曰: “無妄言, - 族矣!” 《史記 項羽本紀》..

한문의 허사(虛詞) 良

한문의 허사(虛詞) 良 良은 부사로서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1) 동작, 행위, 성질, 상황 등에 대한 긍정이나 강조를 나타낸다. “진실로” “확실히” ¶ 古人思秉燭夜遊, 良有以也. 《曹丕: 與吳質書》 ○ 고인들이 촛불을 환히 밝히고 밤에 노는 것은, 정말로 그 까닭이 있다. ¶ 用人不當其才, 聞賢不試以事, 良可恨也. 《傅玄: 馬先生傳》 ○ 그 사람의 재능에 맞지 않는 자리에 사람을 쓰는 것과, 실제로 시험해 보지 않고 남의 말만 듣고 사람을 쓰는 것은 정말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 麋麑稍大, 忘己之麋也, 以爲犬良我友. 《柳宗元: 臨江之麋》 ○ 아기 사슴은 점차 성장하면서, 자기가 사슴인 것을 잊고, 개를 정말로 자기의 친구로 여겼다. ☞상기 마지막 예문의 良은 본래 부사이지만, 판단문에 쓰여서 系..

한문의 허사(虛詞) 來

한문의 허사(虛詞) 來 “來”자의 용법은 고대의 용법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도 있고, 남아 있으나 의미가 약간 변한 것도 있으며, 이미 쓰이지 않는 것도 있다. (1) 來는 현대 민간 가곡이나 숙어 그리고 물건을 사라고 외치는 말 중에 襯字로 들어간다. ☞친자(襯字)란 문장 중에 별다른 뜻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노래의 가사 또는 가창의 필요에 의하여 덧붙이는 글자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正月里來是新春”[정월이라 새 봄이 왔다.] “不愁吃來不愁穿”[먹을 걱정, 입을 걱정이 없다.]과 같은 문장에서 “來"는 아무런 뜻이나 작용이 없이 그저 한 음절을 추가하여 7자구를 맞추어 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이러한 용법은 상고시대에도 있었고, 현재도 있다. ¶ 旣醉旣飽 福祿來反. 《詩經 周頌 執兢》 ○ 이미..

한문의 허사(虛詞) 得

한문의 허사(虛詞) 得 得微 ~이 아닌가? 得毋 ~은 아니겠지? 得無 ~이 아닌가? 得非 ~이 아닐까? (1) 得은 가능을 표시하며 동사 앞에 놓인다. 能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能은 주관적인 조건하에서 가능을 표시하고, 得은 객관적 조건 하에서 가능을 표시한다. ¶ 民實瘠矣, 君安得肥? 《國語 楚語上》 ○ 백성들의 생활이 실재적으로 수척해 있습니다. 군왕께서 무엇으로 그들을 살찌울 수 있겠습니까? ¶ 射中, 則得爲諸侯, 射不中, 則不得爲諸侯. 《禮記 射義》 ○ 활을 쏘아서 맞히면 제후가 될 수 있고, 활을 쏘아서 맞히지 못하면, 제후가 될 수 없다. ☞得은 현대 중국어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동사 뒤에 놓여서, 動補構造를 만들어서 결과를 표시한다. ¶ 臣之客有能探得趙王陰事者. 《史記 信陵君列傳》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