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253

한문의 허사(虛詞) 敢

한문의 허사(虛詞) 敢 “敢”자는 ① 구체적인 뜻이 있는 경우와 ② 구체적인 뜻이 없는 경우의 두 가지 용법이 있다. 구체적인 뜻이 있는 경우, 즉 “敢作敢爲[과감하게 행동하다]와 같이 쓰는 경우에는 ① “용기”라는 뜻으로 쓰인다. 한편 구체적인 뜻이 없이 쓰이는 경우에는 다만 자신의 ② “주제 넘음” “분별 없음”을 나타낸다. 두 가지 경우 모두 동사 앞에 쓰인다. 어떤 학자들은 전자의 용법을 조동사적 용법이라 하고, 후자의 용법을 부사적 용법이라고 설명하지만, 모두 부사로 보는 것이 옳다. (1) 구체적인 뜻이 있는 경우 ¶ 子謂子貢曰: “女與回也孰愈?” 對曰 “賜也 何敢望回?” 《論語 公冶長》 ○ 공자께서 자공에게 이르기를: “너는 안회와 더불어 누가 나으냐?” 하셨다. 대답하기를 “제가 어찌 감히..

한문의 허사(虛詞) 曷

한문의 허사(虛詞) 曷 “曷”의 용법은 대체로 “何”와 같다. 다만 《詩經》에서는 일반적으로 “언제”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으며, 또한 “장래”라는 뜻도 포함한다. 의문사로 쓰일 때는 “曷爲”가 되어 “누구” “무엇” “왜”의 뜻을 가진다. (1) 曷은 관형어[한정어]로 쓰인다. “어느” “어떤” ¶ 懷哉懷哉! 曷月予還歸哉? 《詩經 王風 揚之水》 ○ 그리워라, 그리워라! 어느 달에나 나는 고향에 돌아가나? ¶ 其得意若此, 則胡禁不止, 曷令不行. 《漢書 王褒傳》 ○ 그가 이렇게 마음먹은 대로 된다면, 어떤 금령인들 집행하지 않는 일이 있을 것이며, 어떤 명령인들 관철시키지 않는 일이 있겠습니까? (2) 曷은 전치사나 동사 앞에서 목적어로 쓰여, 이유나 원인을 물으며, “무엇” “무엇 때문에”로 해석한다. ¶..

한문의 허사(虛詞) 可

한문의 허사(虛詞) 可 可以 ~할 수 있다 可得 ~할 수 있다 可能 가능하다 “可”자는 가능함을 표시하는 부사이다. 예전에는 이것을 조동사라고 불렀는데 이는 영어의 문법 용어를 생각 없이 끌어다 쓴 것에 불과하다. 가령 영어의 조동사는 시제 변화와 격 변화를 모두 다 감당하는 데 대하여, 부사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이 영문법의 구조이다. 이에 비하여 중국어의 어법은 다르다. 즉 고한어(한문)를 포함한 중국어에는 어떤 품사도 시제 변화나 격 변화가 없기 때문에 조동사와 부사를 구태여 구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可以” “應當” 따위의 품사는 모두 부사로 보는 것이 옳다. (1) 可, 可以, 可得은 모두 부사로서 가능함을 표시한다. “…할 수 있다” ¶ 不違農時, 穀不可勝食也. 《孟子 梁惠王上》 ○ 농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