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虛詞) 當 본문
한문의 허사(虛詞) 當 |
當使 만약 “當”은 현대 중국어에서도 쓰이고 있는 “應當 당연히~해야한다” · “當今 지금”의 當이다.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용법이 있다. |
(1) 當은 “마땅히 …해야 한다”라는 뜻으로 쓰이며, 술어 중 주요성분 앞에 위치한다.
文帝曰: “吏不當若是耶?” 《史記 張釋之傳》
-한문제가 말했다: “관리란 마땅히 이렇게 해서는 안 되는 것 아닌가?”
少壯眞當努力, 年一過往, 何可攀援? 《曹丕: 與吳質書》
-젊었을 때 마땅히 진정으로 노력해야 한다. 나이가 일단 들면, 어디 가서 만회할 수 있겠는가?
(2) 한과 위진시대 사람들은 當자를 때로는 가능이나 실현을 나타내는 뜻으로 사용했다. “…할 가능성이 있다” · “…할 것이다”
設使國家無有孤, 不知當幾人稱帝, 幾人稱王. 《三國志 魏志 武帝紀 注引 曹操己亥令》
-가령 천하에 내가 없었다면, 얼마나 많은 사람이 황제를 자칭하고, 왕을 자칭했을지 알 수 없다.
天果積氣, 日月星宿, 不當墜耶? 《列子 天瑞》
-하늘이 과연 기가 쌓인 것이라면, 해와 달과 별이 떨어져 내릴 것이 아닌가?
(3) 當은 부사로서 “아직” · “또한” · “여전히”의 뜻으로 쓰인다.
使秦破大梁, 而夷先王之宗廟, 公子當何面目立天下乎? 《史記 信陵君傳》
-만약 진나라에게 위나라 수도 대량을 빼앗기고, 역대 선왕의 종묘를 유린당한다면, 공자(公子)께서는 무슨 면목으로 여전히 천하에 서실 수 있겠습니까?
上未有太子, 大王最賢, 高祖孫. 卽宮車晏駕, 非大王立當誰哉? 《史記 魏其武安侯列傳》
-황제는 아직 태자가 없고, 대왕께서는 황실의 종친 중 가장 현능한 고조의 손자이십니다. 만일 황제께서 갑자기 돌아가신다면, 대왕 말고 또한 누가 그 뒤를 이어 제위에 오를 수 있겠습니까?
☞위에서 든 예문에서는 모두 當이 부사로 쓰였는데, 이때 當 밑에는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 고대인들은 습관적으로 이를 생략하고 있지만, 역문에서는 동사를 넣어서 해석해야 한다.
(4) 當은 전치사로서 그 목적어와 함께 부사구를 만들어 시간 · 장소를 나타낸다. “…때에” · “…을 향해”
當在宋也, 予將有遠行. 《孟子 公孫醜下》
-송나라에 있었을 때, 나는 먼 여행을 준비하고 있었다.
旣歌而入, 當戶而坐. 《禮記 檀弓上》
-노래를 마치고 들어가 문을 마주보고 앉았다.
(5) 當은 “儻혹시 당”자와 “倘혹시 당”자에 假借되어 가설 접속사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복합구문의 가설 분구 앞에 쓰여 “만약 …이라면”의 뜻으로 쓰인다.
今當試去君上之勢, 無禮義之化, 去法正之治, 無刑罰之禁, 倚而觀天下民人之相與也. 若是, 則夫强者害弱而奪之, 衆者暴寡而嘩之, 天下之悖亂而相亡不待頃矣. 《荀子 性惡篇》
-지금 만약 시험삼아 군주의 권세를 제거하고, 예의의 변화와 바른 법의 다스림을 없애고 방관하면서, 형벌을 가하거나 금지하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 천하의 백성들이 어떻게 서로 함께하는지 관찰해보기로 한다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강한 자는 약한 자를 해치고 빼앗을 것이며, 다수자는 소수자들에게 폭력을 휘둘러 소란스럽게 할 것이며, 천하가 거스르고 어지러워져서 망하는 것은 잠깐 동안일 것이다.
當使虎豹失其爪牙, 則人必制之矣. 《韓非子 人主》
-만일 호랑이나 표범에게 발톱과 어금니가 없다면, 인간이 곧 제압할 수 있을 것이다.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徒 (0) | 2022.12.21 |
---|---|
한문의 허사(虛詞) 儻 (1) | 2022.12.21 |
한문의 허사(虛詞) 但 (1) | 2022.12.21 |
한문의 허사(虛詞) 寧 (0) | 2022.12.20 |
한문의 허사(虛詞) 乃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