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文眞寶(고문진보)

6長短句-18古意(고의)

耽古樓主 2024. 2. 17. 12:54

古文眞寶(고문진보)

고의(古意)-석관휴(釋貫休)

▶ 古意 古人을 생각함.
貫休(832~912의 禪月集》 2의 古意 9수 중 제8수로 常思李白이란 題下에 이 시가 실려 있다.

 


常思李太白, 仙筆驅造化.
늘 생각하건대 이태백은, 신선의 필치로 조화를 부렸지.
驅造化 : 조화를 부리다. 조물주의 창조처럼 많은 것을 창작해 내다.

玄宗致之七寶牀, 虎殿龍樓無不可.
현종이 그에게 칠보 걸상을 권했으매, 호랑이 조각의 궁전과 용을 새긴 누각도 못 줄 것이 없었지.
七寶林 : 칠보로 장식한 걸상. 玄宗李白文名을 듣고 불렀을 때, 칠보로 장식된 걸상을 권하고, 음식도 친히 권하였다 한다[李陽冰太白集].
無不可 : 안될 것이 없다.

一朝力士脫靴後, 玉上靑蠅生一箇.
어느 날 高力士에게 신발을 벗기게 한 뒤로는, 구슬 위에 쉬파리 한 마리 앉은 꼴이 되었지.
力士 : 高力士. 나라 宦官으로 현종의 총애로 驃騎大將軍이란 벼슬까지 받았다.
이백은 현종 앞에서 술에 취하자 고역사를 불러 자기 신을 벗기도록 명하였다. 고역사가 이 원한으로 이백을 楊貴妃에게 모함하여 결국 그는 조정에서 쫓겨나게 된다〔《新唐書李白傳].
玉上靑蠅 : 구슬 위에 앉은 쉬파리. 결백한 사람을 침해하는 간신에 비유한 말. 여기서는 고역사의 모함을 뜻함.

紫皇案前五色麟, 忽然掣斷黃金鎖.
하느님 책상 앞 오색의 麒麟이 갑자기 황금 쇠사슬을 당겨 끊어버렸네.
紫皇 : 하느님. 天帝. 하늘엔 紫微垣이 있고 그 별자리 가운데에 하느님 자리가 있다고 해서 자황이라고도 부름.
五色麟 : 오색의 털을 지닌 기린. 여기서는 이백에 비김.
掣斷 : 당겨 끊다.
: 쇠사슬.

五湖大浪如銀山, 滿船載酒搥鼓過.
五湖의 큰 물결은 銀山처럼 사나운데, 배 가득히 술 싣고 북 두드리며 지나갔다네.
五湖 : 남쪽의 다섯 개의 큰 호수. 太湖와 그 근처 네 호수를 가리킨다는 이도 있다.
搥鼓 : 북을 치다. 북을 두드리다.

賀老成異物, 顚狂誰敢和?
그의 친구 賀知章도 죽어버렸으니, 그의 狂氣 누가 감히 화해 주리?
賀老 : 이백의 친구 賀知章. 그가 이백을 처음으로 謫仙人(:귀양온 신선)이라 불렀다 한다. 앞에 나온 李白對酒憶賀監참조.
成異物 : 다른 물건이 되다. 죽음을 뜻함.
顚狂 : 멋대로 狂氣를 부림.

寧知江邊墳, 不是猶醉臥?
어찌 알랴? 강가 그의 무덤이, 취하여 누운 것와 같지 않음을?
江邊墳 : 강가의 무덤. 이백은 采石磯에서 뱃놀이하던 중에, 술에 취하여 물속의 달을 건지려다 물에 빠져 죽었다고 한다. 따라서 그의 무덤은 채석강 가에 있다.[本書 註].

 

 

 

 해설


세상일에 초탈하여 시를 쓰고 달과 술을 사랑하며 멋대로 살아간 이백을 흠모하는 작자의 정이 잘 드러나 있다.
작자의 〈古意〉 제7수는 〈常思謝靈運〉이다貫休는 중으로서 이백과 晉·宋대의 山水詩人 謝靈運을 몹시 좋아했던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