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253

한문의 허사(虛詞) 何

한문의 허사(虛詞) 何 何如 어떠한가 何若 어떻게 何其 어찌하여 如何 어떻게 如之何 어떻게 奈何 어찌 無何 머지않아 何等 어떠한 何物 무엇 何當 언제 何遽 어찌 何渠 어떻게 何有 무엇이 있겠는가 何는 고대 중국어 문헌 중에 가장 많이 보이는 의문사 중 하나로서, 이 글자 자체로서도 여러 가지 용법이 있지만, 다른 글자와 결합하여 복합사를 만들거나 多音節詞로 쓰이는 예가 많다. 그렇지만 비교적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글자는 아니다. (1) 何는 의문 대명사로 쓰이는데, 일반적으로 “사물”이나 “지역”을 대신하며 사람을 대신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사람을 대신하는 경우에는 何人을 쓴다. 불명이면 誰자를 쓰고 때로는 孰을 쓴다. 선택성 의문 인칭 대명사로서는 孰을 많이 쓴다. 여기에서는 다만 何의 예문에..

한문의 허사(虛詞) 彼

한문의 허사(虛詞) 彼 彼자와 此는 그 뜻은 상반되지만, 대명사와 지시형용사가 된다는 점에서는 서로 같다. (1) 彼는 3인칭 대명사로 쓰인다. “그” “그들” ¶ 彼, 君之讎也, 天或者將棄彼矣. 《左傳 襄公27年》 ○ 그 사람은 나으리의 원수이니, 하늘이 장차 그를 버리고자 하는 것입니다. ¶ 彼, 丈夫也; 我, 丈夫也. 吾何畏彼哉? 《孟子 藤文公上》 ○ 저들도 사내이고, 나도 사내인데, 내가 어찌 저들을 두려워하겠는가? (2) 彼가 사물을 기리키면 “저것” “저렇게” 장소를 가리키면 “저기”로 해석한다. ¶ 以德若彼, 用力如此, 蓋一統若斯之難也! 《史記 秦楚之際月表序》 ○ [우、하、상、주나라는] 그처럼 덕을 쌓았고, [진나라는] 이처럼 무력을 사용했다. 이처럼 천하를 통일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

한문의 허사(虛詞) 特

한문의 허사(虛詞) 特 特은 허사로서 모두 부사로 쓰인다. 다만 의미는 몇 가지가 있다. (1) 特은 “다만”을 뜻한다. ☞特자 앞에 부정사가 있으면 “…만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등으로 해석할 수 있고, 부정사가 없으면 “…에 불과하다” “단지, 겨우” 등으로 해석한다. ¶ 信聞天子以好出游, 其勢必郊迎謁, 而陛下因禽之 特一力士之事耳. 《漢書 陳平傳》 ○ 한신이 폐하께서 평화로운 행차로 제후들을 접견한다는 소식을 듣게 되면, 그는 병력을 교외에 놓아두고 폐하를 알현할 것입니다. 이때 폐하께서 그를 잡아들이는 데는 단지 한 사람의 역사만으로도 충분할 것입니다. ¶ 今且有人於此, 以隨侯之珠彈千仞之雀, 世必笑之. 是何也? 所用重, 所要輕也. 夫生豈特隨侯珠之重也哉? 《呂氏春秋 貴生篇》 ○ 지금 여기에 어떤 ..

한문의 허사(虛詞) 殆

한문의 허사(虛詞) 殆 殆乎 아마도 殆于 대개 其殆 거의 (1) 殆는 허사로서 일반적으로 부사가 되어 확실치 않은 것을 나타낸다. “대개” “아마” “거의” ¶ 勝好勇而陰求死士, 殆有私乎! 《史記 伍子胥列傳》 ○ 백공승은 용맹을 뽐내기를 좋아하여 남몰래 결사대를 모집했습니다. 아마 무슨 음모를 꾸미고 있는 것 같습니다. ¶ 公之聰明, 必不追咎往事, 殆有他慮. 《三國志 魏志 荀稶傳》 ○ 조공의 총명함으로 미루어 볼 때, 필시 과거의 실패를 후회하지 않을 것이니, 아마도 다른 생각이 있을 것이다. ☞殆자가 판단문 중에 쓰이면, 系動詞 역할을 겸한다. ¶ 吾嘗見一子于路, 殆君之子也. 《史記 趙世家》 ○ 내가 이전에 길에서 한 아이를 봤는데, 아마도 그대의 아들인 것 같다. (2) 殆乎, 殆于, 其殆 등 2음절..

한문의 허사(虛詞) 脫

한문의 허사(虛詞) 脫 脫若 脫其 脫誤 脫若萬一 [“만약…이라면”의 뜻] 脫은 부사로 쓰여 ①“或者”[“아마” “어쩌면” “혹시”]의 의미를 가진다. 또한 가설 접속사로서 ②“倘”[“만약 …한다면”]의 의미로 쓰인다. (1) 脫은 부사로 쓰여 “아마” “어쩌면” “혹시”의 의미를 가지며, “우연히” “뜻밖에”의 뜻도 있다. ¶ 今關門禁嚴, 君狀貌非凡, 將以此安之? 不如詣闕自歸, 事旣未然, 脫可免禍. 《後漢書 李通傳》 ○ 지금 검문소의 경계가 삼엄하다. 그대 얼굴을 보니 심각한데, 그 모양으로 어디를 가려고 하는가? 조정으로 감만 못하다. 일은 아직은 터지지 않고 있으니, 혹시 화를 면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 王汝南旣除所生服, 遂停墓所. 兄子濟每來拜墓, 略不過叔, 叔不候濟. 脫時過, 止寒溫而已. 《世說..

한문의 허사(虛詞) 屬(촉)

한문의 허사(虛詞) 屬(촉) 屬適때마침 屬은 ① “屬무리 속”자와 ② “屬이을 촉”자의 두 가지 글자로 쓰인다. “屬무리속”자로서의 虛詞 용법은 이미 “속” 편에서 살펴보았다. “屬이을촉”은 副詞로 쓰인다. (1) 屬은 副詞로서, “때마침” “공교롭게도”의 의미로 쓰인다. 屬適이라고 연용하여도 뜻은 같다. ¶ 下臣不幸, 屬當戎行. 《左傳 成公2年》 ○ 그러나 저는 불행하게도, 때마침 임금님의 군대와 만나게 되었습니다. ¶ 閽者猶不遽達, 直曰: “屬方有公事, 君且去!” 《鄭日奎: 與鄭衛玉書》 ○ 문지기는 바로 당신을 상대하지 않고 단도직입적으로 말했지: “공교롭게도 다른 공무가 생겼어, 당신은 잠간 비켜있으시오!” ¶ 太祖曰: “與卿言而不答, 何也?” 詡曰: “屬適有所思, 故不即對耳.” 《三國志 魏志 賈詡..

한문의 허사(虛詞) 初

한문의 허사(虛詞) 初 初는 거의 모두 부사로 쓰이지만, 상하 문장의 뜻에 따라 달리 쓰이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1) 初는 문장의 첫머리에 쓰여, 스스로 한 번 멈춘 다음, 지난 일을 서술해 나간다. “당초에” “이전에” ☞ 《左傳》이나 《史記》는 바로 이러한 용법으로 서술해 나가기 때문에 한 눈으로 보아 알 수 있다. ¶ 初, 鄭武公娶于申, 曰武姜, 生莊公及共叔段. 《左傳 隱公元年》 ○ 처음에, 정나라 무공은 신이라는 나라로부터 부인을 맞이하니, 무강이라 했다. 장공과 공숙단을 낳았다. ¶ 初, 吏捕條侯, 條侯欲自殺, 夫人止之. 《史記 周勃世家》 ○ 이전에, 관리가 조후인 주아부를 체포했을 때, 주아부는 자살하고자 했으나, 그의 처가 이를 말렸다. (2) 初는 이전에는 없었던 일을 역사상 처음으로..

한문의 허사(虛詞) 請

한문의 허사(虛詞) 請 請은 부사로서, 단지 경의적인 뜻을 표시하는데 그칠 뿐으로, 본래 의미인 “요청하다, 바라다”라는 뜻은 소멸되었다. 현대 중국어에서 이와 같은 인사치레말은 쓰이지 않기 때문에 대역하기가 쉽지 않다. ¶ 顔淵曰: “請問其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 《論語 顔淵》 ○ 안연이 “그 조목을 여쭈어보겠습니다.”하고 말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했다: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동하지 말아야 한다.” 안연이 말했다: “제가 비록 불민하나 모쪼록 이 말씀을 힘써 행하겠습니다.” ¶ 曾子曰: “然. 斯季孫之賜也, 我未之能易也. 元! 起易簀!” 曾元曰: “夫子之病革矣, 不..

한문의 허사(虛詞) 輒

한문의 허사(虛詞) 輒 輒은 두 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하나는 “언제나, 항상”이라는 뜻으로, 다른 하나는 “곧”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動輒得咎”[움직이면 곧 허물을 얻게 된다.《韓愈: 進學解》]라는 성어에서 자주 대하는 글자이다. (1) 輒은 동작, 성질, 상태 등이 항상 같음을 나타낸다. “언제나” “항상” ¶ 少年慕其行, 亦輒爲報仇, 不使知也. 《史記 游俠列傳》 ○ 젊은이들이 곽해(郭解)의 행실을 앙모하여 찾아오면, 곽해는 언제나 그들을 위해 원수를 갚아주었으나, 그들이 알아차리지 못하게 했다. ¶ 遵嗜酒, 每大飮, 賓客滿堂. 輒關門, 取客中車轄投井中, 雖有急 終不得去. 《漢書 陳遵傳》 ○ 진준은 술을 좋아해서, 매번 주연을 베풀었는데, 손님들이 방에 가득했다. 주연을 베풀 때면 ..

한문의 허사(虛詞) 此

한문의 허사(虛詞) 此 此若 이것 此以 이 때문에 此는 斯자와 그 용법이 매우 비슷하다. 顧炎武는 그의 저서인 《日知錄》 권6 檀弓 조에서 “《論語》에는 斯자가 70회[사실은 71회이다] 나오고, 此는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檀弓》에는 斯자가 53회 나오고, 此자는 단 1회 나온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아마도 방언[사투리]에 그 이유가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된다. 此는 《殷墟書 契粹編 380》에 “此受又(祐)”라고 보이는 것처럼 일찍이 甲骨文에도 나오는 글자이다. 다만 《易經 卦爻辭》및 西周金文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현상은 더 깊은 연구가 수반되어야 확실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西周시대에 쓰여진 《詩經 周頌》에서는 此자와 爾자를 대응시키고 있는데, 이 중 《周頌 思文..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