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253

한문의 허사(虛詞) 旃

한문의 허사(虛詞) 旃 “旃이전”은 세 가지 용법이 있다. ① “之”에 해당하며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고 동사의 목적어로서만 쓰인다. ② 명령문의 끝에 쓰여 권유의 어기를 돕는다. ③ 세 번째로는 지언(之焉)이라는 합음사로서 대명사인 “之”와 조사인 “焉”의 합음으로 “之”는 목적어가 되고 “焉”은 충고 및 반문의 어기를 돕는다. (1) “旃이 전”은 대명사로서 사람과 사물을 가리킨다. “이, 이것” “그, 그것” ¶ 初, 虞叔有玉, 虞公求旃, 不獻. 《左傳 桓公10年》 ○ 옛날에 우숙에게 보옥이 있었는데, 우공이 그것을 요구해도 헌상하지 않았다. ¶ 上愼旃哉! 《詩經 衛風 陟岵》 ○ 부디 몸조심하십시오! (2) 旃은 때로는 명령문의 끝에 쓰여 권유의 어기를 돕는다. ¶ 願勉旃! 毋多談! 《楊惲: 報孫會..

한문의 허사(虛詞) 適(오로지)

한문의 허사(虛詞) 適(오로지) “適다만 적”자의 본음은 “括묶을괄”[kuò]자였으나 이후 각각 별도의 글자가 되었다. 다만 括는 “適맞을적”자의 간체자로 쓰였다. 고대에는 이 글자는 두 가지 음으로 읽혔는데 일반적으로는 [shì]로 읽혔고 다른 하나는 “오로지”의 뜻으로 쓰일 때는 “嫡아내적”자와 같은 음인 [dí]로 읽혔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는 이 글자를 “적”으로 읽되, 별도의 글자로 취급하기로 한다. (1) “適오로지적”은 부사로 쓰이며 “오로지”로 해석한다. ¶ 一國三公, 吾誰適從? 《左傳 僖公5年》 ○ 한 나라에 임금이 셋이니, 나는 오로지 누구를 따라야 하는가? ¶ 楚執政衆而乖, 莫適任患. 《左傳 昭公30年》 ○ 초나라는 정권을 잡은 무리들이 서로 사이가 벌어져, 전적으로 환난을 책임질 자..

한문의 허사(虛詞) 適

한문의 허사(虛詞) 適 適會 때마침 “適맞을적”은 실사로서 “가다” “시집가다” “적합하다” 등의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논하지 않는다. 허사로서는 부사로 쓰여 “때마침”이라는 뜻으로 쓰였고, 오늘날에도 “適逢其會”[때마침 좋은 기회를 만나다.]라는 성어에 그 뜻이 남아 있다. (1) 適은 두 가지 일이 시간상으로 꼭 맞음을 나타낸다. 때로는 適會라는 두 글자로 쓰기도 한다. “때마침” “공교롭게” ¶ 夫身中大創十餘, 適有萬金良藥, 故得無死. 《史記 魏其武安侯列傳》 ○ 관부 자신도 몸에 십여 군데의 큰 상처를 입었는데, 때마침 만금의 가치가 나가는 좋은 약이 있었으므로 죽음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 此時魯仲連適游趙. 《史記 魯仲連列傳》 ○ 노중련이 조나라로 유세하러 온 것은 마침 이때였다. ¶ 僕懷欲..

한문의 허사(虛詞) 哉

한문의 허사(虛詞) 哉 乎哉 의문어기사 哉는 주로 語氣詞로 쓰인다. 때로는 “처음으로(始)”라는 뜻의 副詞로 쓰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부사적 용법은 단지 《書經》에서만 보이고 이후에는 쓰이지 않고 있다. (1) 哉는 “처음으로(始)”라는 뜻의 부사로 쓰인다. ¶ 惟二月哉生魄. 《書經 周書 康誥》 ○ 이월달 달이 처음으로 광채를 낼 때[열엿새 날]. ¶ 惟四月哉生魄. 《書經 周書 顧命》 ○ 사월달 달이 처음으로 광채를 낼 때[열엿새 날]. (2) 哉는 語氣詞로서 문장 안에서 “숨 고름”을 나타낸다. ¶ 王曰: “鳴呼! 肆哉. 爾庶邦君越爾御事. 爽邦由哲. 亦惟十人迪知上帝命.” 《書經 周書 大誥》 ○ 성왕이 말씀했다. “아! 마음을 풀어놓을지어다. 너희 여러 나라의 군주들과 너희 관원들아. 나라를 밝힘은 명철..

한문의 허사(虛詞) 將

將將의 용법은 대단히 많다. 일반적으로 부사로 쓰이며 뜻이 여러 가지가 있다. 접속사로도 쓰인다.  (1) 將은 부사로서 “곧” “불원간”의 뜻으로 쓰인다. ¶ 女奚不曰, 其爲人也, 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將至云爾 《論語 述而》 ○ 너는 어찌 ‘그 사람됨이 (알지 못하면) 분발하여 먹는 것도 잊고, (깨달으면) 즐거워 근심을 잊어서, 늙음이 장차 닥쳐오는 줄도 모른다’고 말하지 않았느냐?  ¶ 闔廬病創, 將死, 謂太子夫差曰: “爾忘句踐殺爾父乎?” 夫差對曰: “不敢忘.” 《史記 伍子胥列傳》 ○ 합려가 상처로 장차 죽으려 함에, 태자 부차에게 말하여 이르기를: “너는 구천이 아비를 죽인 것을 잊을 수 있겠는가?” 하니, 부차는 대답하기를: “감히 잊지 못합니다.”했다  (2) 將은 장래의 행동을 표시..

한문의 허사(虛詞) 玆

한문의 허사(虛詞) 玆 茲益 더욱 滋A할수록B하다 茲故 따라서 茲乃 이에 茲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용법이 있다. ① 지시사 此으로 쓰인다. ② 부사 “더욱(更다시갱)”, “점점(越넘을월)”로 쓰인다. 이 용법으로는 滋도 같이 쓰인다. ③ 접속사와 어기사로도 쓰인다. (1) 茲는 대명사인 “이것(此)”의 의미로 쓰인다. ☞ 갑골문, 금문《書經》 그리고《詩經》의 大雅, 周頌 부분에 자주 보인다. 《易經》의 卦爻辭에는 한 번만 보인다. 茲가 “이것(此)”을 뜻하는 근칭지시사로 쓰인 것은 고대 조기에 정착되었다. ¶ 無曰 “高高在上”, 陟降厥士, 日監在茲. 《詩經 周頌 敬之》 ○ 하늘 높이 위에 계시다가, 일일이 오르내리시며, 날마다 여기서 살피고 계신다. ¶ 振古如茲. 《詩經 周頌 裁芟》 ○ 옛날부터 이와 ..

한문의 허사(虛詞) 者

한문의 허사(虛詞) 者 者는 고서 중에 자주 보이는 허사로서 용법 또한 다양하다. 者의 허사적 용법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助詞로서 형용사나 동사 또는 형용사구나 동사구 뒤에 쓰여 그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거나 동작을 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大者[큰 것] 小者[작은 것]와 같이 區別詞 뒤에 붙어서 그 말을 명사화하며, 可食者[먹을 수 있는 것] 樂天者[낙천주의자]와 같이 陳述詞 構造 뒤에 붙어서 그 말을 명사화한다. 2. 역시 助詞로서, 古者[옛날에] 昔者[옛날에] 今者[현재] 등과 같이 副詞 뒤에, 특히 시간부사 뒤에 붙어서 아무런 의미 없이 誦讀상 한 음절을 추가하거나 副詞語에 강세를 추가하는 역할을 한다. 3. 者자가 之자의 의미로 쓰이는 용법..

한문의 허사(虛詞) 自

한문의 허사(虛詞) 自 躬自 친히 自然 저절로 自昔 옛날부터 自從 ~으로부터 自非 ~이 아니면 自無 ~이 없다면 自는 ① 대명사, ② 부사, ③ 전치사 및 ④ 접속사로 쓰인다. (1) 自은 대명사로 쓰이며, “자기” “자신”을 뜻한다. 그러나 고대인들은 自를 항상 타동사 앞에 두고 마치 부사처럼 썼다. ¶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 《論語 公冶長》 ○ 어진 이를 보면 그와 같이 되기를 생각하고, 어질지 못한 이를 보거든 자신을 깊이 반성하라. ¶ 夫人必自侮, 然後人侮之; 家必自毁, 而後人毁之; 國必自伐, 而後人伐之. 《孟子 離婁上》 ○ 사람은 반드시 그 자신을 스스로 업신여긴 뒤에, 남들이 자신을 업신여기며; 한 가정은 반드시 그 가정을 스스로 무너뜨린 뒤에, 남들이 무너뜨리며; 나라는 반드시 그 나..

한문의 허사(虛詞) 一

한문의 허사(虛詞) 一 一皆 모두 一切 전부 一何 매우 一曙 일시에 一朝 하루아침에 一旦 돌연히 一자와 壹은 고서에서는 본래 구별하여 썼지만, 점차 혼용되어 이제는 거의 구별 없이 쓰이게 되었다. 중요 계약 문서상의 숫자 항목에, 숫자 1을 一로 쓰면 위조하기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고쳐 쓰기가 쉽지 않은 갖은 자인 壹자로 대체하여 썼다. 여기에서는 一자와 壹자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1) 一은 부사로 쓰여, 동작이 발생한 후 즉시 그 효과나 영향이 뒤따르는 것을 나타낸다. “한번” ¶ 文王一怒而安天下之民. 《孟子 梁惠王下》 ○ 문왕이 한번 성을 내어 천하의 백성을 편안하게 해주었다. ¶ 今置將不善, 壹敗涂地. 《史記 高祖本紀》 ○ 이때 훌륭한 인물을 가려 장수로 삼지 않는다면, 여지없이 패하여 재기..

한문의 허사(虛詞) 因

한문의 허사(虛詞) 因 因爲 왜냐하면 因而 이런 면에서 因遂 그런 다음 虛詞로서의 因은 前置詞적 용법과 接續詞적 용법이 있다. 먼저 전치사로 쓰이는 因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용법이 있다. (1) 因은 前置詞로서 원인을 표시한다 ¶ 因前使絶國功, 封騫博望侯. 《史記 衛靑列傳》 ○ 먼 나라에 나아가 이룬 공로에 기인하여, 장건을 박망후에 봉했다. ¶ 因此怒, 遣人追殺王姉道中. 《史記 張耳列傳》 ○ 이로 말미암아 화가 나서, 사람을 시켜서 왕의 자매를 도중에서 뒤쫓아가서 죽이게 했다. ☞古文의 의문문에서 疑問詞가 因의 목적어가 되는 경우, “因何[무엇으로 인하여]”는 반드시 何因으로 도치된다. ¶ 今政治和平, 世無兵革, 上下相安, 何因當有大水一日暴至? 《漢書 王商傳》 ○ 지금 정치가 화평하고 세상에 전쟁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