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의 허사(虛詞) 旃 “旃이전”은 세 가지 용법이 있다. ① “之”에 해당하며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고 동사의 목적어로서만 쓰인다. ② 명령문의 끝에 쓰여 권유의 어기를 돕는다. ③ 세 번째로는 지언(之焉)이라는 합음사로서 대명사인 “之”와 조사인 “焉”의 합음으로 “之”는 목적어가 되고 “焉”은 충고 및 반문의 어기를 돕는다. (1) “旃이 전”은 대명사로서 사람과 사물을 가리킨다. “이, 이것” “그, 그것” ¶ 初, 虞叔有玉, 虞公求旃, 不獻. 《左傳 桓公10年》 ○ 옛날에 우숙에게 보옥이 있었는데, 우공이 그것을 요구해도 헌상하지 않았다. ¶ 上愼旃哉! 《詩經 衛風 陟岵》 ○ 부디 몸조심하십시오! (2) 旃은 때로는 명령문의 끝에 쓰여 권유의 어기를 돕는다. ¶ 願勉旃! 毋多談! 《楊惲: 報孫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