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253

한문의 허사(虛詞) 況

한문의 허사(虛詞) 況 況乎 하물며 況于 하물며 而況 하물며 何況 하물며 況은 복합구의 하분구에 쓰여서, 상분구의 猶자 따위가 이끄는 문장[…조차도, …까지도]과 호응한다. 상분구의 猶자 따위는 쓰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況자의 작용은 불변이다. (1) 單用되는 況의 용례를 들어보기로 한다. ¶ 臣以爲布衣之交尙不相欺, 況大國乎? 《史記 廉頗藺相如列傳》 ○ 제가 알기로 일반 백성조차 벗 사귐에 있어서 서로 속이지 않는데, 하물며 대국이겠습니까? ¶ 蔓草猶不可除, 況君之寵弟乎? 《左傳 隱公元年》 ○ 무성한 야생 잡초도 제거하지 않는 법인데, 하물며 임금께서 총애하시는 동생에 있어서랴? ¶ 一夫不可狃, 況國乎? 《左傳 僖公15年》 ○ 한낱 필부라도 경시하면 안 되는데, 하물며 나라임에랴? (2) 況이 況乎, ..

한문의 허사(虛詞) 或

한문의 허사(虛詞) 或 或者 어쩌면 容或 아마 或恐 혹시 “或”은 현대 중국어에서는 단독으로 쓰이는 예가 비교적 많지 않다. ① 일반적으로 접속사 형태인 “或者”[…이거나, 혹은]로 쓰인다. 예를 들면 “張三或者李四去都行”[장가나 이가나 모두 갔다.]와 같이 쓰인다. ② 또한 부사로서 “아마도, 어쩌면”의 의미로 쓰이는데, 《兒女英雄傳 第1回》에 보이는 “倒不如聽天由命的闖着作去, 或者就在這條路上立起一番事業”와 같이 쓰인다. 고대 중국어에서는 “或”자에 대한 상기 두 가지 용법 이외에 ③ 대명사 용법으로도 쓰였다. (1) 或은 주어로 쓰여, “어떤 사람”을 뜻한다. ¶ 或謂孔子曰: “子奚不爲政? 《論語 爲政》 ○ 어떤 사람이 공자께 여쭈었다: “선생님께서는 어찌하여 정사를 하지 않으십니까?” ¶ 楚欲殺之,..

한문의 허사(虛詞) 胡

한문의 허사(虛詞) 胡 “胡어찌호”는 때로는 何와 용법이 같은데, ① 중요한 점은 이 용법일 때의 胡는 何故[왜, 무슨 까닭]의 合音詞라는 것이며, ② 대명사와 관형어로 쓰일 때에는 何[무엇, 무슨]와 의미가 같다. ③ 부사로 쓰여 원인을 물을 때에는 何故와 같다. 기타 다른 용법도 있다. (1) 胡는 의문대명사로 쓰이며 “왜” “무엇 때문에” “어찌하여” 등으로 해석한다. 胡爲로도 쓰인다. ¶ 胡爲惶惶欲何之? 《陶潛: 歸去來辭》 ○ 무엇을 위해 어디로 그리 서둘러 가려 하는가? ¶ 此秋聲也, 胡爲乎來哉? 《歐陽修: 秋聲賦》 ○ 이것은 가을의 소리로구나. 어이하여 왔는가? ¶ 客胡爲若此? 《戰國策 齊策4》 ○ 손님은 무엇 때문에 이와 같이 가장하는 것입니까? (2) 胡는 명사 앞에 놓여 관형어로 쓰인다...

한문의 허사(虛詞) 乎

한문의 허사(虛詞) 乎 虖 어조사호 乎哉 ~이구나 乎而 감탄 乎爾 단정 감탄 乎의 용법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 단어의 語素 또는 語尾가 되거나 다른 수식어와 결합하여 수식성 단어가 된다. 이와 같은 수식어는 일반적으로 피수식어의 앞에 놓인다. ② 전치사로 쓰이는데 그 용법은 대개 于와 같다. 즉 전치사 용법으로 쓰인 乎는 대부분 于자로 바꿔놓아도 된다. 다만 전치사 于자를 모두 乎자로 바꿔놓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于자의 용법은 乎자의 용법보다 훨씬 넓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不義而富且貴, 于我如浮雲”[불의한 방법으로 부유하고 귀하게 되는 것은, 나에게는 뜬구름과 같다.]라는 문장을 “ … 乎我如浮雲”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또한 전치사 乎와 그 목적어로 만들어지는 상..

한문의 허사(虛詞) 兮

한문의 허사(虛詞) 兮 兮는 오직 語氣詞로만 쓰인다. 구문 가운데에서 잠시 멈춤을 나타내거나, 구문 끝에서 舒緩遲延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오직 詩歌나 賦에 쓰이며, 산문에는 쓰이지 않는다. (1) 兮는 구문 중에서 잠시 멈춤을 나타낸다. ¶ 力拔山兮氣蓋世,時不利兮騶不逝. 騶不逝兮可奈何? 虞兮虞兮奈若何! 《史記 項羽本紀 項王歌》 ○ 힘은 산을 뽑을 만하고, 기운은 세상을 덮을 만한데, 때가 불리하여 오추마는 나아가지 않는구나. 오추마가 달리지 않으니, 이를 어찌할 것인가? 우희야, 우희야, 이를 어찌한단 말이냐! (2) 兮는 구문의 끝에 쓰여 舒緩遲延 작용을 한다. ¶ 坎坎伐檀兮, 寘之河之干兮, 河水淸且漣猗. 不稼不穡, 胡取禾三百廛兮? 不狩不獵, 胡瞻爾庭有縣貆兮? 彼君子兮, 不素餐兮! 《詩經 衛風 伐檀》..

한문의 허사(虛詞) 許

한문의 허사(虛詞) 許 “許”자가 명사로 쓰일 경우 장소를 뜻한다. 《墨子》의 非樂篇에 보면 “舟車旣已成矣, 吾將惡許用之?”[배와 수레가 이미 완성된 다음에는, 내가 장차 이것을 어디에 쓸까?]라는 구절이 보이는데, 여기에서의 惡許는, 陶潛의 《五柳先生傳》에 보이는 “五柳先生, 不知何許人也”[오류선생은 어디 사람인지 모른다.]라는 구절의 何許와 같다. 이 두 단어는 모두 “어디”라는 뜻이다. 이렇게 쓰인 “許”는 모두 실사이다. 이하 許자의 허사적 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許는 근칭대명사로서 “이, 이것” 또는 “이러하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 重簾持自鄣, 誰知許厚薄. 《樂府詩集 子夜歌》 ○ 몇 겹의 발이 장막을 이루니, 누가 이러한 두께를 알 수 있을까? ¶ 已是不成眠, 如何更遭許? 《..

한문의 허사(虛詞) 向

한문의 허사(虛詞) 向 向來 방금 向使 만약 向令 만약 嚮使 만약 向, 鄕, 嚮자의 고대 음은 모두 같았다. 따라서 이들 글자가 허사로 쓰일 때는 모두 같다. 그러나 오늘날 嚮은 간체화되어 向자가 되었고, 鄕은 더 이상 제4성으로 읽히지 않고 제1성으로 읽히고 있기 때문에 이 책에서는 向 鄕 嚮의 3개의 글자를 동시에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나 고서에서는 여전히 向, 鄕, 嚮, “曏이전향”의 4자를 구별해서 쓰고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1) 向, 鄕, 嚮, “曏이전향”은 모두 시간사로서, 한정어, 더 많게는 상황어로 쓰인다. “이전” “방금전” ☞때로는 상기 글자에 者나 也를 추가하여 湊成音節[음절을 하나 더 추가하여 음운의 효과를 나타내는 음절]을 만들거나, 어기를 강조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 聽君向..

한문의 허사(虛詞) 行

한문의 허사(虛詞) 行 行將 곧 “行”은 많은 뜻이 있으며, 그 뜻에 따라 독음도 각각 다르다. ① 行走[걷다]에서는 “걸을 행”자로 쓰였고, ② 銀行, 行輩[항렬]에서는 “같은 또래 항” 자로 쓰였으며, ③ 樹行子[줄지어 심은 나무]에서는 “줄 항”자로 쓰였고, ④ 道行[도사의 도력, 법사의 법력]에서는 “기량 행”자로 쓰였다. 그러나 이 모두는 실사이다. (1). 허사적 용법으로서는 부사로서 “곧” “머지않아”라는 한 가지 뜻으로 쓰인다. ¶ 行歸于周, 萬民所望. 《詩經 小雅 都人士》 ○ 이제 곧 서울로 돌아가시면, 모든 사람들이 그를 우러러볼 것입니다. ¶ 十畝之間兮, 桑者閑閑兮, 行與子還兮. 《詩經 魏風 十亩之間》 ○ 십묘의 땅에서, 뽕 따는 사람 여유로워, 곧 그대와 함께 돌아가리라. ¶ 歲月易..

한문의 허사(虛詞) 奚

한문의 허사(虛詞) 奚奚而 왜, 어찌 奚其 왜,어찌 奚遽 왜, 어찌 奚若 어떠한가 奚如 어떠한가 奚以 무엇 때문에 奚有 무슨상관이있겠는가奚는 의문사로서 대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인다. (1) 奚는 대명사로서 사물과 장소에 대해 쓰이고, 사람에 대해서는 쓰이지 않는다. “무엇” “어디”¶ 衛君待子而爲政, 子將奚先? 《論語 子路》○ 위나라의 임금이 선생님을 기다려서 정사를 보려 하는데, 선생님께서 장차 무엇을 먼저 하시겠습니까?¶ 彼且奚適也? 《莊子 逍遙游篇》○ 저 녀석은 대관절 어디로 가려 할까?¶ 顔回見仲尼, 請行. 曰: “奚之?” 曰: “將之衛” 《莊子 人間世篇》○ 안회가 중니를 뵙고 여행을 떠나겠다고 청했다. 이에 중니가 묻기를: “어디로 가려는가?” “위나라로 떠나려 합니다.”¶ 問臧奚事, 則挾冊..

한문의 허사(虛詞) 盍

한문의 허사(虛詞) 盍 闔胡 어찌~않느냐 “盍어찌아니할 합”자와 “闔온 합”은 통용자이다. 고대에는 盍자를 더 많이 썼다. 한편 蓋자[대개, 아마도]는 앞에서 이미 살펴본 바 있다. 盍은 본래 의문사인 何자와 부정사인 不자가 합쳐진 何不[어찌 …하지 않느냐?]의 합음사였다. 이 何不이 오랜 시일을 거치는 동안 일음절어인 盍자가 되어버린 것이다. 이 盍은 때로는 何자로도 쓰인다. (1) 盍은 원인에 대하여 묻는다. 일반적으로 부정사인 不과 함께 쓰인다. “어찌하여 … 하지 않는가?” ¶ 盍不出從乎, 君將有行. 《管子 戒篇》 ○ 어찌 아직도 모시지 않느냐? 군주께서 순행을 하려 하신다. ¶ 盍不起爲寡人壽乎? 《管子 小稱篇》 ○ 어찌 아직도 일어나 나를 위해 축배를 들지 않느냐? ☞때로는 闔胡로 연용되는데 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