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한문 공부/한문의 허사

한문의 허사(虛詞) 奚

耽古樓主 2022. 12. 30. 05:16
반응형
한문의 허사(虛詞) 奚
奚而 왜, 어찌
奚其 왜,어찌
奚遽 왜, 어찌
奚若 어떠한가
奚如 어떠한가
奚以 무엇 때문에
奚有 무슨상관이있겠는가

奚는 의문사로서 대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인다.


(1) 는 대명사로서 사물과 장소에 대해 쓰이고사람에 대해서는 쓰이지 않는다. “무엇” “어디

¶ 衛君待子而爲政, 子將奚先? 《論語 子路》
○ 위나라의 임금이 선생님을 기다려서 정사를 보려 하는데, 선생님께서 장차 무엇을 먼저 하시겠습니까?

¶ 彼且奚適也? 《莊子 逍遙游篇》
○ 저 녀석은 대관절 어디로 가려 할까?

¶ 顔回見仲尼, 請行. 曰: “奚之?” 曰: “將之衛” 《莊子 人間世篇》
○ 안회가 중니를 뵙고 여행을 떠나겠다고 청했다. 이에 중니가 묻기를: “어디로 가려는가?” “위나라로 떠나려 합니다.”

¶ 問臧奚事, 則挾冊讀書; 問穀奚事, 則博塞以遊. 《莊子 駢拇篇》
○ 장에게 어찌된 일이냐고 물은즉 책을 끼고 글을 읽은 탓이라 했다; 곡에게 어찌된 일이냐고 물으니 노름하고 놀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2) 는 한정어 즉 형용사로 쓰인다. “어떤

¶ 蝗螟, 農夫得而殺之. 奚故? 爲其害稼也. 《呂氏春秋 不屈篇》
○ 농부는 메뚜기를 잡으면 죽입니다. 어떤 연유로? 곡식을 해치기 때문입니다.

¶ 此奚疾哉? 奚方能已之乎? 《列子 仲尼篇》
○ 이것은 어떤 질병입니까? 어떤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까?

(3) 는 상황어로서 원인이유를 나타낸다. “

¶ 或謂孔子曰: “子奚不爲政?” 《論語 爲政》
○ 어떤 자가 공자에게 여쭈었다: “선생님께서는 왜 정치를 하지 않으십니까?”

¶ 死者天地之理, 物之自然者也, 奚可甚哀? 《史記 文帝本紀》
○ 죽음이란 자연의 법칙이고, 만물은 본래 그런 것인데, 왜 그토록 슬퍼하는가?

¶ 旣自以心爲形役, 奚惆怅而獨悲? 《陶潛: 歸去來辭》
○ 지금까지는 고귀한 정신을 육신의 노예로 만들어 버렸다. 어찌 슬퍼하여 서러워만 할 것인가?

(4) 때로는 奚而奚其奚爲를 爲何 즉 어찌라는 의미로 쓴다또한 奚遽奚距도 같은 의미로 쓴다奚距에 관하여는 이미 자 편에서 살펴본 바 있다.

¶ 子言衛靈公之無道也,康子曰: “夫如是,奚而不喪?” 孔子曰: “仲叔圉治賓客, 祝鮀治宗廟,王孫賈治軍旅. 夫如是,奚其喪?”
○ 공자가 위령공이 무도하다고 말하니, 계강자가 묻기를: “대체로 그렇게 하고서도 어찌 나라를 잃어버리지 않았습니까?”하고 물으니, 공자가 대답하기를: “공중숙(公仲叔)인 어가 빈객을 맞이하고, 축타가 종묘제사를 맡아 다스렸고, 왕손인 고가 군대를 맡고 있었다. 대체로 이렇게 하였으니 어찌 나라를 잃을 수 있었겠는가?” 했다.

¶ 許子奚爲不自織? 《孟子 藤文公上》
○ 허자는 왜 자기 손으로 짜지 않는가?

¶ 君其試焉, 奚遽叱也? 《戰國策 秦策》
○ 그대는 장차 그것을 사용할 것인데, 어찌 탓하는가?

¶ 雖自以爲道洪化以爲隆. 世篤玄同, 奚遽不能與之踵武而齊其風?《左思: 魏都賦》

(5) 奚如나 奚若 모두 어떠한가?”라는 뜻으로 쓰인다.

¶ 夫子以爲孟浪之言, 而我以爲妙道之行也. 吾子以爲奚若? 《莊子 齊物論篇》
○ 그는 이를 맹랑한 소리라고 일소에 붙이고 있으나, 저는 묘도를 체득한 것이라고 판단합니다. 선생님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歲旱, 穆公召縣子而問然(焉)曰: “天久不雨, 吾欲暴尫而奚若?”《禮記 檀弓下》
○ 가뭄이 심해지자 목공이 현자에게 말했다: “하늘이 오래도록 비를 내리지 않으니, 내가 왕(尫)환자[꼽추]를 학대하고자 하는데 어떠한가?”라고 물었다.

¶日在天, 視其奚如?《呂氏春秋 審應覽 淫辭篇》
○ [초나라 재상인 장백이 점쟁이에게 명하여 “날(日)의 길흉을 보라”고 했더니 점쟁이가 해(日)를 보라는 말로 오해하고는] “하늘에 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장백이 다시 “그것(해(日))이 어떠한가?”라고 물었다. [점쟁이가 “아주 동그랗습니다.”하고 대답했다.]

(6) 奚以는 때로는 무엇으로써” “무엇 때문에라는 뜻으로 쓰인다.

¶ 然則奚以爲治法而可? 當皆法其父母, 奚若? 《墨子 法儀篇》
○ 그렇다면 무엇으로써 다스리는 법도로 삼으면 좋을까? 마땅히 그 부모로서 본보기를 삼아야 하지 않을까? 어떠한가?

¶ 奚以知天之欲人之相愛相利, 而不欲人之相惡相賊也? 以其兼而愛之, 兼而利之也. 奚以知天兼而愛之, 兼而利之也? 以其兼而有之, 兼而食之也. 《墨子 法儀篇》

○ 하지만 하늘이,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고 서로 이롭게 하는 것을 원하고, 사람들이 서로 미워하고 서로 싸우는 것을 윈치 않는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그것은, 하늘은 모든 것을 한결같이 사랑하시고, 모든 것을 한결같이 이롭게 해주신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로써 그러함을 알 수 있다. 하늘이, 모든 것을 아울러 사랑하고, 무든 것을 아울러 이롭게 해주신다는 것을 무엇으로써 알 수 있는가? 하늘이 모든 것을 아울러 보전하고, 모든 것을 아울러 먹여 살려 주신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로써 그러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7) 奚有는 관용 형식으로서 반문을 나타낸다.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 奚有於是? 亦爲之而已矣. 《孟子 告子下》
○ 그런 것이 무슨 상관이 있겠소? 또한 해볼 따름이지요.

 
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向  (1) 2022.12.31
한문의 허사(虛詞) 行  (0) 2022.12.30
한문의 허사(虛詞) 盍  (0) 2022.12.30
한문의 허사(虛詞) 何  (1) 2022.12.30
한문의 허사(虛詞) 彼  (1) 202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