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문의 허사(虛詞) 胡 |
“胡어찌호”는 때로는 何와 용법이 같은데, ① 중요한 점은 이 용법일 때의 胡는 何故[왜, 무슨 까닭]의 合音詞라는 것이며, ② 대명사와 관형어로 쓰일 때에는 何[무엇, 무슨]와 의미가 같다. ③ 부사로 쓰여 원인을 물을 때에는 何故와 같다. 기타 다른 용법도 있다. |
(1) 胡는 의문대명사로 쓰이며 “왜” “무엇 때문에” “어찌하여” 등으로 해석한다. 胡爲로도 쓰인다.
¶ 胡爲惶惶欲何之? 《陶潛: 歸去來辭》
○ 무엇을 위해 어디로 그리 서둘러 가려 하는가?
¶ 此秋聲也, 胡爲乎來哉? 《歐陽修: 秋聲賦》
○ 이것은 가을의 소리로구나. 어이하여 왔는가?
¶ 客胡爲若此? 《戰國策 齊策4》
○ 손님은 무엇 때문에 이와 같이 가장하는 것입니까?
(2) 胡는 명사 앞에 놓여 관형어로 쓰인다. “무슨”
¶ 相國胡大罪? 陛下繫之暴也? 《漢書 蕭何傳》
○ 소상국이 무슨 대죄를 지었습니까? 폐하께서는 그를 이토록 구금하십니까?
☞아래의 《史記 蕭相國世家》에 보이는 “胡”는 “何”자이다.
¶ 其得意如此, 則胡禁不止, 曷令不行?
○ 이와 같이 그의 뜻대로 된다면, 어찌 금하려는 일이 없어지지 않을 것이며, 어찌 명령하는 것이 시행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3) 胡는 비교적 부사로 많이 쓰이는데, 이때 胡는 何故의 합음자이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라고 풀이하며 다음으로 “어찌”라고 번역하는 것이 순서이다.
¶ 田園將蕪 胡不歸? 《陶潛: 歸去來辭》
○ 전원이 장차 거칠어지려 하는데,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오?
¶ 楚王叱曰: “胡不下? 吾乃與而君言, 汝何爲者也?” 《史記 平原君列傳》
○ 초왕이 꾸짖어 말했다: “어찌하여 당하로 내려가지 않느냐? 나는 네 주군과 논하고 있는 게야. 너는 대체 어떤 놈이냐?”
¶ 同始異終, 胡可常也? 《左傳 昭公7年》
○ 시작은 같으나 끝이 다르니, 어찌 반드시 그럴 수만 있겠습니까?
¶雍姬謂其母曰: “父與夫孰親?” 其母曰: “人盡夫也, 父一而已, 胡可比也?” 《左傳 桓公15年》
○ 옹규의 아내인 옹희가 자기 어머니에게 묻기를: “아버지와 남편과는 누구를 더 사랑해야 합니까?” 하니, 어머니가 대답하기를: “사람들은 모두 남편이 될 수 있으나, 아버지는 한 분뿐이니, 어찌 비교할 수 있겠느냐?” 했다.
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況 (0) | 2022.12.31 |
---|---|
한문의 허사(虛詞) 或 (0) | 2022.12.31 |
한문의 허사(虛詞) 乎 (0) | 2022.12.31 |
한문의 허사(虛詞) 兮 (0) | 2022.12.31 |
한문의 허사(虛詞) 許 (1)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