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논어집주 (501)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 第二十一章 樊遲從遊於舞雩之下,曰: 「敢問崇德、脩慝、辨惑。」 樊遲가 舞雩의 아래에서 孔子를 모시고 노닐다가 말하였다. “德을 숭상함과, 간특을 다스려 제거함과, 의혹을 분별함을 감히 묻겠습니다.” 脩=修. 그러나 ‘길다’의 뜻일 때는 반드시 脩로 써야 한다 胡氏曰: 「慝之字從心從匿,蓋惡之匿於心者。 脩者,治而去之。」 胡氏가 말하였다. “慝이란 글자는 心을 따르고 匿을 따랐으니, 惡이 마음에 숨어있는 것이다. 修란 다스려 제거함이다.” 子曰: 「善哉問!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좋구나! 네 질문이.” 善其切於為己。 그가 자신을 위함에 간절함을 좋게 여기셨다. ▶爲己之學에 힘써야 함을 말한다. 先事後得,非崇德與? 일을 먼저하고 소득을 뒤에 함이 德을 높이는 것이 아니겠느냐?(仁) 攻其惡,無攻人之惡,非脩慝與? ..
▣ 第二十二章 樊遲問仁。 樊遲가 仁을 물었다. 子曰: 「愛人。」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問知。 智(지혜)를 물었다. 子曰: 「知人。」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을 아는 것이다.” 愛人,仁之施。知人,知之務。 사람을 사랑함은 仁을 베푸는 것이요, 사람을 앎은 智를 힘쓰는 것이다. ▶仁之施: 之를 이용하여 도치시켰다. 樊遲未達。 樊遲가 그 내용을 통달하지 못하였다. 曾氏曰: 「遲之意,蓋以愛慾其周,而知有所擇,故疑二者之相悖爾。 曾氏가 말하였다. “樊遲의 뜻은 사랑[仁]은 그 두루 하고자 하는데 지혜는 선택함이 있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두 가지가 서로 모순된다고 의심하였다.” 子曰: 「舉直錯諸枉,能使枉者直。」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정직한 사람을 擧用하고 모든 不正直한 사람을 놓아두면 ..
▣ 第二十三章 子貢問友。 子貢이 交友에 대하여 물었다. 子曰: 「忠告而善道之,不可則止,無自辱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충심으로 말해주고 잘 인도하되 불가능하면 그만두어서 스스로 욕되지 말게 하여야 한다.” 友所以輔仁,故盡其心以告之,善其說以道之。 벗은 仁을 돕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마음을 다하여 말해주고, 그 말을 잘하여 인도한다. 然以義合者也,故不可則止。 그러나 의리로써 합한 자이므로 불가능하면 그만두어야 한다. 若以數而見疏,則自辱矣。 만일 자주 말하다가 소원함을 당하면 스스로 욕되는 것이다.
▣ 第二十四章 曾子曰: 「君子以文會友,以友輔仁。」 曾子가 말씀하였다. “君子는 文[學問]로써 벗을 모으고, 벗으로써 仁을 돕는다.” ▶文:詩書禮樂 ▶仁:仁義禮智 講學以會友,則道益明;取善以輔仁,則德日進。 학문을 講磨하여서 벗을 만나면 道가 더욱 밝아지고, 상대방의 善을 취해서 仁을 돕는다면 德이 날로 진전된다.
▣ 子路 第十三 凡三十章 모두 30章이다. ▣ 第一章 子路問政。 子路가 政事를 물었다. 子曰: 「先之,勞之。」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솔선해서 도리를 행하고 수고롭게 일해야 한다.” 蘇氏曰: 「凡民之行,以身先之,則不令而行。 凡民之事,以身勞之,則雖勤不怨。」 蘇東坡가 말하였다. “백성들이 행하여야 할 것〔道理〕을 자신〔爲政者〕이 먼저 솔선하면, 윗사람이 명령하지 않아도 백성들이 행한다. 백성들이 해야 할 일을 자신이 수고롭게 행하면, 백성들이 비록 고생스러워도 원망하지 않는다.” ▶勤=苦 請益。 더 자세히 말씀해 주시기를 청하였다. 曰: 「無倦。」 말씀하셨다.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無,古本作毋。 無는 고본에는 毋로 되어 있다. 吳氏曰: 「勇者喜於有為而不能持久,故以此告之。」 吳氏(吳棫)가 말하였다. “..
▣ 第二章 仲弓為季氏宰,問政。 仲弓이 季氏의 家臣이 되어 政事를 물었다. 子曰: 「先有司,赦小過,舉賢才。」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有司에게 먼저 맡기고 작은 허물을 용서하며, 어진 이와 유능한 이를 등용해야 한다.” 有司,眾職也。 有司는 여러 가지 직책을 맡은 자이다. 宰兼眾職,然事必先之於彼,而後考其成功,則己不勞而事畢舉矣。 가신〔宰〕은 여러 직책을 겸한다. 그러나 모든 일을 반드시 저〔有司〕들에게 먼저 시키고, 뒤에 그들이 이룬 공적을 살핀다면, 자신은 수고롭지 않고도 일이 모두 거행될 터이다. ▶宰=都有司 過,失誤也。 過는 실수로 잘못한 것이다. 大者於事或有所害,不得不懲;小者赦之,則刑不濫而人心悅矣。 큰 잘못은 일에 혹 해로운 바가 있으니 징계하지 않을 수 없거니와, 작은 허물은 용서해주면 형벌이 남용되..
▣ 第三章 子路曰: 「衛君待子而為政,子將奚先?」 子路가 말하였다. “衛나라 君主가 선생님을 기다려 정사를 하려고 하십니다. 선생님께서는 무엇을 우선하시렵니까?” 衛君,謂出公輒也。 衛나라 君主는 出公 輒을 이른다. 是時魯哀公之十年,孔子自楚反乎衛。 이때는 魯나라 哀公 10년으로, 孔子는 楚나라에서 衛나라로 와 계셨다. 子曰: 「必也正名乎!」 孔子께서 대답하셨다. “반드시 명칭을 바로잡겠다.” 是時出公不父其父而檷其祖,名實紊矣,故孔子以正名為先。 이때 出公은 자기의 아버지를 아버지로 여기지 않고, 자기의 할아버지를 아비로 삼아, 名稱과 實狀이 문란하였다. 그러므로 孔子께서 명칭을 바로잡는 것을 우선으로 삼으셨다. 謝氏曰 「正名雖為衛君而言,然為政之道,皆當以此為先。」 謝氏(謝良佐)가 말하였다. “명칭을 바로잡는 일은..
▣ 第四章 樊遲請學稼. 樊遲가 농사일을 배우기를 청하였다. 子曰: 「吾不如老農。」 孔子께서는 말씀하셨다. “나는 노련한 農夫만 못하다.” 請學為圃。 菜田을 가꾸는 것을 배우기를 청하였다. 曰: 「吾不如老圃。」 말씀하셨다. “나는 노련한 원예사만 못하다.” 種五穀曰稼,種蔬菜曰圃。 五穀을 심는 것을 稼라 하고, 채소를 심는 것을 圃라 한다. ▶收五穀曰穡 樊遲出。 樊遲가 나갔다. 子曰: 「小人哉,樊須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小人의 일을 하려하는구나! 樊須여! 小人,謂細民,孟子所謂小人之事者也。 小人은 벼슬이 없는 庶民들을 이르니, 孟子가 말씀한 바 ‘小人의 일’이란 것이다. 上好禮,則民莫敢不敬;上好義,則民莫敢不服;上好信,則民莫敢不用情。 夫如是,則四方之民襁負其子而至矣,焉用稼?」 윗사람이 禮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 第五章 子曰: 「誦詩三百,授之以政,不達;使於四方,不能專對;雖多,亦奚以為?」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詩經》 3百篇을 외우는데도 정치를 맡길 때 능통하지 못하고, 四方에 使臣으로 나가 혼자서 대처하지 못한다면, 비록 많이 외운다고 한들 어디에 쓰겠는가?” ▶奚以為=何以乎 專,獨也。 專은 홀로이다. 詩本人情,該物理,可以驗風俗之盛衰,見政治之得失。 《詩經》의 詩는 人情에 근본하고 사물의 이치를 포괄하여, 풍속의 성쇠를 징험하고 정치의 잘잘못을 알 수 있다. 其言溫厚和平,長於風諭。 그 말[내용]들이 溫厚하고 和平하여 풍자해서 깨우침에 뛰어나다. 故誦之者,必達於政而能言也。 그러므로 詩를 외우는 자는 틀림없이 정치에 통달하고 말을 잘한다. 程子曰: 「窮經將以致用也。 世之誦詩者,果能從政而專對乎? 然則其所學者,章句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