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논어집주 (501)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 第十一章 齊景公問政於孔子。 齊景公이 孔子에게 政事를 물었다. 齊景公,名杵臼。 齊景公의 이름은 杵臼이다. 魯昭公末年,孔子適齊。 魯昭公 末年에 孔子께서 齊나라에 가셨었다. 孔子對曰: 「君君,臣臣,父父,子子。」 孔子께서 대답하셨다.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합니다.” ▶君(名)은 君(分)다워야 함 此人道之大經,政事之根本也。 이것은 人倫의 큰 法이요, 政事의 根本이다. 是時景公失政,而大夫陳氏厚施於國。 이때 景公은 정사를 잘못하였고 大夫인 陳氏가 나라에 은혜를 후하게 베풀었다. ▶陳僖子(陳乞. 진흘)는 큰 말(斗)로 백성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작은 말로 돌려받아서 은혜를 베풀었다고 한다. 景公又多內嬖,而不立太子。 景公에게는 또 안으로 嬖妾이 많아서 太子를 ..
▣ 第十二章 子曰: 「片言可以折獄者,其由也與?」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반 마디 말로 獄事를 결단할 수 있는 자는 아마도 由일 터이다.” ▶其~與(아마도 ~일 터이다) ▶其~乎(어찌 ~이겠는가?, 어찌~않겠는가?) 片言,半言. 片言은 반 마디 말이다. 折,斷也. 折은 결단함이다. 子路忠信明決,故言出而人信服之,不待其辭之畢也. 子路는 忠信하고 분명하고 결단력이 있었으로 말이 나오면 사람들이 그것을 믿고 복종하여 그 말이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았다. 子路無宿諾. 子路는 승낙한 일을 묵혀두지 않았다. 宿,留也,猶宿怨之宿. 宿은 묵힘이니, 宿怨이라는 宿字와 같다. 急於踐言,不留其諾也. 말을 실천함을 서둘러 그가 승낙을 묵혀 두지 않았다. 記者因夫子之言而記此,以見子路之所以取信於人者,由其養之有素也. 기록하는 자가 夫子..
▣ 第十三章 子曰: 「聽訟,吾猶人也,必也使無訟乎!」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訟事를 결단함은 나도 남과 같으나, 틀림없이 사람들로 하여금 訟事가 없게 하겠다.” ▶聽訟:聽其所訟之辭 斷其曲直 范氏曰: 「聽訟者,治其末,塞其流也。 正其本,清其源,則無訟矣。」 范氏가 말하였다. “訟事를 다스림은 그 지엽을 다스림이요, 그 흐름을 막는 것이다. 그 근본을 바로잡고, 그 근원을 맑게 한다면 訟事함이 없어질 터이다.” 楊氏曰 「子路片言可以折獄,而不知以禮遜為國,則未能使民無訟者也。 故又記孔子之言,以見聖人不以聽訟為難,而以使民無訟為貴。」 楊氏가 말하였다. “子路가 반 마디 말로 옥사를 결단할 수 있었으나 禮와 謙讓으로써 나라를 다스릴 줄은 알지 못하였으니, 그렇다면 백성에게 송사가 없게 할 수는 없는 자였다. 그러므로 또 孔子..
▣ 第十四章 子張問政。 子張이 政事를 물었다. 子曰: 「居之無倦,行之以忠。」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마음을 두기를 게으름이 없게 하고, 행하기를 忠으로써 해야 한다.” ▶政(큰 일) 事(작은 일) 居,謂存諸心。無倦,則始終如一。 居는 마음에 보존함을 이르니, 게으름이 없으면 始終이 如一할 터이다. 行,謂發於事。以忠,則表裡如一。 行은 일에 나타남을 이르니, 忠으로써 한다면 表裏가 똑같을 터이다. 程子曰 「子張少仁。 無誠心愛民,則必倦而不盡心,故告之以此。」 程子가 말씀하였다. “子張은 仁이 부족하였다. 誠心이 없이 백성을 사랑하였으니, 그렇다면 필시 게을러져서 마음을 다하지 않았을 터이다. 그러므로 이것으로써 말씀해 주셨다.”
▣ 第十五章 子曰: 「博學於文,約之以禮,亦可以弗畔矣夫!」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文을 널리 배우고, 禮로써 檢束하면 道에 위배되지 않을 수 있을 터이다.” 重出。 거듭 나왔다.(옹야편)
▣ 第十六章 子曰: 「君子成人之美,不成人之惡。 小人反是。」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는 남의 美名은 이루어주고, 남의 惡名은 이루어주지 않는다. 小人은 이와 반대이다.” ▶君子: 쓰이는 곳에 따라 成德之人, 入德之人, 在上之人을 나타낸다. 남편을 뜻하기도 한다 成者,誘掖獎勸以成其事也。 成이란 이끌어 주고 권장하여 그 일을 이루는 것이다. ▶誘:在前導之 掖:在傍扶之 君子小人,所存既有厚薄之殊,而其所好又有善惡之異。 君子와 小人은 마음가짐에 이미 厚薄의 차이가 있고, 그들이 좋아하는 바에 또 善惡의 다름이 있다. 故其用心不同如此。 그러므로 그 마음 씀의 같지 않음이 이와 같다.
▣ 第十七章 季康子問政於孔子。 季康子가 孔子에게 政事를 물었다. 孔子對曰: 「政者,正也。 子帥(솔)以正,孰敢不正?」 孔子께서 대답하셨다. “政事란 바로잡는다의 뜻이다. 그대가 正道로써 솔선수범한다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겠는가?” 范氏曰: 「未有己不正而能正人者。」 范氏가 말하였다. “자신이 바르지 못하고서 남을 바르게 할 수 있는 자는 있지 않다.” 胡氏曰: 「魯自中葉,政由大夫,家臣傚尤,據邑背叛,不正甚矣。 故孔子以是告之,欲康子以正自克,而改三家之故。 惜乎康子之溺於利慾而不能也。」 胡氏가 말하였다. “魯나라는 中葉부터 政事가 大夫에게서 나오니, 家臣들이 나쁜 버릇을 본받아서 邑을 점거하고 배반하여 바르지 못함이 심하였다. 그러므로 孔子가 이것으로써 말씀해 주시니, 康子로 하여금 정도로써 자신을 다스리고 三家의 ..
▣ 第十八章 季康子患盜,問於孔子。 季康子가 도둑을 걱정하여 孔子에게 대책을 물었다. 孔子對曰: 「苟子之不欲,雖賞之不竊。」 孔子께서 대답하셨다. “진실로 그대가 탐욕을 부리지 않는다면 비록 상을 내려 주어도 도둑질하지 않을 터이다.” 言子不貪慾,則雖賞民使之為盜,民亦知恥而不竊。 그대가 탐욕을 부리지 않는다면 비록 백성들에게 상을 주면서 도둑질하게 하더라도 백성들은 또한 부끄러움을 알아서 도둑질하지 않으리라고 말씀하였다. 胡氏曰 「季氏竊柄,康子奪嫡,民之為盜,固其所也。 盍亦反其本耶? 孔子以不欲啟之,其旨深矣。」 胡氏가 말하였다. “季氏는 國柄을 도둑질하고, 康子는 嫡子의 지위를 빼앗았으니, 백성들이 도둑질하는 것은 진실로 당연한 것이었다. 어찌 그의 근본을 돌이키지 않겠는가? 孔子께서 탐욕을 부리지 말라는 말씀으..
▣ 第十九章 季康子問政於孔子曰: 「如殺無道,以就有道,何如?」 季康子가 孔子께 政事를 물으며 말하였다. “만일 無道한 자를 죽여서 道가 있는데로 나아가게 하면 어떻습니까?” 孔子對曰: 「子為政,焉用殺? 子欲善,而民善矣。 君子之德風,小人之德草。 草上之風,必偃。」 孔子께서 대답하셨다. “그대가 政事를 다스림에 어찌 죽임을 쓰겠는가? 그대가 善하고자 하면 백성들이 善해진다. 君子의 德은 바람이요, 小人의 德은 풀이다. 풀에 바람이 가해지면 풀은 틀림없이 쓰러진다.” ▶草上之風:以風加於草 為政者,民所視效,何以殺為? 政事를 다스리는 자는 백성들이 보고 본받는 것이니, 어찌 죽임을 제도로 쓰겠는가? 欲善則民善矣。 善하고자 하면 백성들이 善해진다. 上,一作尚,加也。 上은 어떤 本에는 尙字로 되었으니, 加한다의 뜻이다...
▣ 第二十章 子張問: 「士何如斯可謂之達矣?」 子張이 물었다. “선비가 어떠하여야 그를 達이라고 이를 수 있습니까?” ▶斯: 乃(바로, 곧) ‘어떠하여야’라고 해석하면 斯까지 해석한 셈이 된다 達者,德孚於人而行無不得之謂。 達이란 자신의 德이 남에게 믿어져서 행함에 얻지 못함이 없는 것을 이른다. ▶達者,謂德孚於人而行無不得을 도치한 것 子曰: 「何哉,爾所謂達者?」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무엇인가? 네가 말하는 達이란 것이.” 子張務外,夫子蓋已知其發問之意。 子張은 외면을 힘썼으니, 夫子가 아마도 이미 그의 發問한 뜻을 아셨다. 故反詰之,將以發其病而藥之也。 그러므로 反問해서 장차 그 병통을 드러내어 치료해주려고 하셨다. ▶詰=問 ▶藥之: 명사에 之를 붙여 동사화한다 子張對曰: 「在邦必聞,在家必聞。」 子張이 대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