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논어집주 (501)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顔淵 第十二 凡二十四章。 모두 24章이다. 第一章 顏淵問仁。 顔淵이 仁을 물었다. 子曰: 「克己復禮為仁。 一日克己復禮,天下歸仁焉。 為仁由己,而由人乎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자기의 私慾을 이겨 禮에 돌아감이 仁을 실천하는 것이다. 하루 동안이라도 私慾을 이겨 禮에 돌아가면 天下가 그에게 仁을 허여할 터이다. 仁을 행하는 것은 자신에게 달려 있지, 남에게서 말미암겠는가?” 仁者,本心之全德。 仁이란 本心이 온전한 德이다. 克,勝也。 克은 이김이다. 己,謂身之私慾也。 己는 一身의 私慾을 이른다. 復,反也。 復은 돌아감이다. 禮者,天理之節文也。 禮는 天理의 節文(品節에 맞게 하는 법도)이다. 為仁者,所以全其心之德也。 爲仁이란 자신의 마음의 德을 온전히 하는 방법이다. 蓋心之全德,莫非天理,而亦不能不壞於人慾。 ..
▣ 第二章 仲弓問仁。 仲弓이 仁을 물었다. 子曰: 「出門如見大賓,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勿施於人。 在邦無怨,在家無怨。」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문을 나서면 큰 손님을 뵈온 듯이 하며, 백성을 부리면 큰 祭祀를 받들 듯이 한다. 자신이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나라에 있어서 원망함이 없으며, 집에 있어서도 원망함이 없을 터이다.” 仲弓曰: 「雍雖不敏,請事斯語矣。」 仲弓이 말하였다. “제[雍]가 비록 不敏하오나 이 말씀을 종사하겠습니다.” 敬以持己,恕以及物,則私意無所容而心德全矣。 敬으로써 자신을 지키고, 恕로써 남에게 미친다면 私意가 용납되는 곳이 없어서 마음의 德이 온전해진다. 內外無怨,亦以其效言之,使以自考也。 內外無怨이란 또한 그 효험을 말씀하여, 스스로 상고하..
▣ 第三章 司馬牛問仁。 司馬牛가 仁을 물었다. 司馬牛,孔子弟子,名犁,向魋之弟。 司馬牛는 孔子의 弟子로, 이름은 犁이니, 司馬向魋(사마상퇴)의 아우이다. 子曰: 「仁者其言也訒。」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仁者는 그 말함을 참아서 하는 것이다.” 訒,忍也,難也。 訒은 참는 것이며 어려워하는 것이다. 仁者心存而不放,故其言若有所忍而不易發,蓋其德之一端也。 仁者는 마음이 보존되어 방심하지 않으므로, 그 말에 참는 바가 있어서 쉽게 말하지 않는 듯하니, 대개 그 德의 一端이다. 夫子以牛多言而躁,故告之以此。 夫子께서는 司馬牛가 말이 많고 조급하기 때문에, 이것으로써 사마우에게 말씀해 주었다. ▶以 ~ 故 용법 使其於此而謹之,則所以為仁之方,不外是矣。 그가 말에 있어서 삼가게 하신 것이니, 그렇다면 仁을 행하는 방법도 여기..
▣ 第四章 司馬牛問君子。 司馬牛가 君子에 대하여 물었다. 子曰: 「君子不憂不懼。」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는 걱정하지 않으며 두려워하지 않는다.” 向魋作亂,牛常憂懼。 向魋가 亂을 일으키니, 司馬牛가 항상 근심하고 두려워하였다. ▶憂:내적인 걱정 懼: 외부의 걱정 故夫子告之以此 그러므로 夫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이와 같이 하셨다. 曰: 「不憂不懼,斯謂之君子已乎?」 말하였다. “근심하지 않으며 두려워하지 않으면 君子라 이를 수 있습니까?” 子曰: 「內省不疚,夫何憂何懼?」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안으로 반성하여 조그마한 하자도 없으니, 무엇을 근심하며 무엇을 두려워하겠는가?” 牛之再問,猶前章之意,故復告之以此。 司馬牛가 다시 물은 것은 앞 章의 뜻과 같다. 그러므로 다시 말씀하시기를 이와 같이 하신 것이다. 疚..
▣ 第五章 司馬牛憂曰: 「人皆有兄弟,我獨亡。」 司馬牛가 걱정하면서 말하였다. “사람들은 모두 兄弟가 있는데 나만이 홀로 없구나.” 牛有兄弟而云然者,憂其為亂而將死也。 司馬牛는 兄弟가 있는데도 이렇게 말한 것은 그가 亂을 일으켜서 죽을까 걱정해서이다. 子夏曰: 「商聞之矣: 子夏가 말하였다. “나[商]는 들으니, ” 蓋聞之夫子。 아마도 夫子에게서 들은 듯하다. 死生有命,富貴在天。 死와 生은 命에 달려 있고, 富와 貴는 하늘에 달려 있다 하였다. 命稟於有生之初,非今所能移;天莫之為而為,非我所能必,但當順受而已。 命은 태어나는 초기에 받은 것이니, 지금에 옮겨 놓을 수 있는 것이 아니요, 天理는 그것을 그렇게 만드는 이가 없는데도 저절로 되는 것이니, 내가 기필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니, 다만 거스르지 않고 받을 뿐이..
▣ 第六章 子張問明。 子張이 현명함을 물었다. 子曰: 「浸潤之譖,膚受之愬,不行焉。可謂明也已矣。 浸潤之譖膚受之愬不行焉,可謂遠也已矣。」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서서히 무젖어 드는 참소와 피부로 받는 하소연이 행해지지 않는다면 현명하다고 이를 만하다. 서서히 무젖어 드는 참소와 피부로 받는 하소연이 행해지지 않는다면 견해가 高遠하다고 이를 만하다.” 浸潤,如水之浸灌滋潤,漸漬而不驟也。 浸潤은 물이 부어지고 적셔져서 점점 번지고 갑자기하지 않음과 같은 것이다. 譖,毀人之行也。 譖은 남의 행실을 비방하는 것이다. 膚受,謂肌膚所受,利害切身。 膚受는 피부로 받는 害가 몸에 간절함을 이른다. 如易所謂「剝床以膚,切近災」者也。 《周易》에 이른바 ‘床을 깎아 살에 미쳐서 재앙에 매우 가깝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 愬,愬己之..
▣ 第七章 子貢問政。 子貢이 政事를 물었다. 子曰: 「足食。足兵。民信之矣。」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양식을 풍족히 하고, 兵備를풍족히 하면 백성들이 믿을 터이다.” 言倉廩實而武備修,然後教化行,而民信於我,不離叛也。 倉廩가 꽉 차 있고, 武備가 다스려진 뒤에 교화가 행해져서 백성들이 나[위정자]를 믿어 離叛하지 않음을 말씀하였다. 子貢曰: 「必不得已而去,於斯三者何先?」 子貢이 말하였다. “부득이해서 버려야만 한다면 이 세 가지 중에 무엇을 먼저 해야 합니까?” 曰: 「去兵。」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兵備를 버려야 한다.” 言食足而信孚,則無兵而守固矣。 양식이 풍족하고 믿음이 깊으면 兵備가 없어도 지킴이 견고함을 말씀하였다. 子貢曰: 「必不得已而去,於斯二者何先?」 子貢이 말하였다. “부득이해서 버려야 한다면 이..
▣ 第八章 棘子成曰: 「君子質而已矣,何以文為?」 棘子成이 말하였다. “君子는 質薄하면 그만이니, 文飾으로 무엇을 하겠는가?” 棘子成,衛大夫。 棘子成은 衛나라 大夫이다. 疾時人文勝,故為此言。 당시 사람들이 文에 치우침을 싫어했으므로 이러한 말을 하였다. 子貢曰: 「惜乎!夫子之說,君子也。 駟不及舌。 子貢이 말하였다. “애석하다! 夫子[棘子成]가 君子를 설명함이여. 駟馬도 혓바닥을 따라잡지 못한다.” 言子成之言,乃君子之意。 子成의 말은 바로 君子다운 뜻이다. 然言出於舌,則駟馬不能追之,又惜其失言也。 그러나 말이 혀에서 나오면 駟馬도 따라잡을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니, 이것은 또 그 失言함을 애석히 여긴 것이다. 文猶質也,質猶文也。 文이 質과 같이 중요하고, 質도 文과 같이 중요하다. 虎豹之鞹猶犬羊之鞹。」 虎豹의 ..
▣ 第九章 哀公問於有若曰: 「年饑,用不足,如之何?」 哀公이 有若에게 물었다. “흉년들어서 財用이 부족하니, 어찌하겠는가?” ▶饑: 곡식이 익지 않은 것 ▶饉: 채소가 익지 않은 것 ▶禾: 곡식 ▶稻: 벼 ▶飢는 ‘배가 고프다’라는 뜻이나 중세 이후로 饑(흉년이 들다)와 통용됨 稱有若者,君臣之辭。 有若이라고 칭한 것은 君臣間의 말이다. ▶辭=詞 用,謂國用。 用은 국가의 財用을 이른다. 公意蓋欲加賦以足用也。 哀公의 뜻은 賦稅를 더해서 財用을 풍족하게 하고자 한 듯하다. 有若對曰: 「盍徹乎?」 有若이 대답하였다. “어찌하여 徹法을 쓰지 않습니까?” 徹,通也,均也。 徹은 통합한다의 뜻이며 均等하다의 뜻이다. 周制:一夫受田百畝,而與同溝共井之人, 通力合作,計畝均收。 周나라 제도에 한 家長은 田地 百畝(묘)를 받아서..
▣ 第十章 子張問崇德、辨惑。 子張이 德을 숭상함과, 의혹을 분별함을 물었다. 子曰: 「主忠信,徙義,崇德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忠信을 위주로 하(는 것이 덕이)고, 義로 옮김이 德을 숭상하는 것이다 主忠信則本立,徙義則日新。 忠信을 위주로 하면 근본이 서고, 義로 옮기면 날로 새로워진다. 愛之欲其生,惡之欲其死。 사랑할 때는 그가 살기를 바라고, 미워할 때는 그가 죽기를 바란다. 既欲其生,又欲其死,是惑也。 그가 살기를 바라다가 또 그가 죽기를 바라는 것이 의혹이다. 愛惡人之常情也。 사랑함과 미워함은 사람이 항상 갖는 情이다. 然人之生死有命,非可得而欲也。 그러나 사람의 生과 死는 天命에 달려있어서 바란다고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以愛惡而欲其生死,則惑矣。 사랑하고 미워함으로 인하여 그 살고 죽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