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논어집주 (501)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MD6jc/btr1UTzjv3u/Kr2R8b9BU34KOsCdC4SLgk/img.jpg)
▣ 第三十四章 子疾病,子路請禱。 孔子께서 病患이 위중하시자, 子路가 神에게 祈禱하기를 청하였다. 子曰: 「有諸?」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이런 이치가 있는가?” 子路對曰: 「有之。 誄曰: 『禱爾於上下神祇。」 子路가 대답하였다. “있습니다. 禱文[祭文]에 ‘너를 上下의 神明에게 祈禱하였다.’라고 하였습니다.” 子曰: 「丘之禱久矣。」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祈禱한 지가 오래이다.” ▶病:疾之甚也 禱,謂禱於鬼神。 禱는 鬼神에게 비는 것을 말한다. 有諸,問有此理否。 有諸는 “그러한 이치가 있는가?” 하고 물은 것이다. 誄者,哀死而述其行之辭也。 誄는 죽은 이를 애도하면서 그의 행적을 서술한 글이다. 上下,謂天地。 上下는 하늘과 땅을 말한다. 天曰神,地曰祗。 하늘의 神을 神이라 하고, 땅의 神을 祇라 한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lvaI/btr16jDDeaB/4kM5biKa44jZ3mPUxa5sb1/img.jpg)
▣ 第三十五章 子曰: 「奢則不孫,儉則固。 與其不孫也,寧固。」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사치하면 遜順하지 못하고 검소하면 고루하다. 遜順하지 못한 것보다는 차라리 고루한 것이 낫다.” ▶ 固:四塞不通 ▶ 與其~,寧~ ~하기보다는 ~하는 것이 낫다. 孫,順也。固,陋也。 孫[遜]은 恭順한 것이요, 固는 고루한 것이다. 奢儉俱失中,而奢之害大。 사치와 검소가 지나침은 모두 中道를 잃었으나 사치의 해가 더 크다. 晁氏曰: 「不得已而救時之弊也。」 晁氏가 말하였다. “부득이하여 당시의 폐단을 구제하려고 하신 말씀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DezM/btr1T503qnK/MWemO7Kz3bfBLY3nL5lh5k/img.jpg)
第三十六章 子曰: 「君子坦蕩蕩,小人長戚戚。」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는 항상 너그러우며 태연하고, 小人은 늘 걱정스러워한다.” 坦,平也。 坦은 평탄한 것이다. 蕩蕩,寬廣貌。 蕩蕩은 너그럽고 넓은 모양이다. 程子曰: 「君子循理,故常舒泰;小人役於物,故多憂戚。」 程子가 말씀하였다. “君子는 天理를 따르므로 항상 몸과 마음이 펴지고 태연하며, 小人은 外物에 使役을 당하므로 항상 걱정과 근심이 있다.” 多: 多時=長 程子曰: 「君子坦蕩蕩,心廣體胖。」 程子가 말씀하였다. “君子의 坦蕩蕩은 마음이 넓고 몸이 펴져 있는 것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zbHU/btr1XQaXGku/mqgsp0vKLLpkl5ljVa6kK1/img.jpg)
第三十七章 子溫而厲,威而不猛,恭而安。 孔子께서는 溫和하면서도 엄숙하시며,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않으시며, 공손하면서도 자연스러우셨다. ▶安=從容. 자연스러움 厲,嚴肅也。 厲는 엄숙한 것이다. 人之德性本無不備,而氣質所賦,鮮有不偏,惟聖人全體渾然,陰陽合德,故其中和之氣見於容貌之間者如此。 사람의 德性은 본래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없으나, 타고난 氣質은 편벽되지 않은 자가 드물다. 오직 聖人은 전체가 渾然[완전히 보존됨]하고 陰陽[剛柔]이 德이 합치된다. 그러므로 中和의 氣象이 용모에 나타나는 것이 이와 같다. ▶容貌之間=容貌之處=容貌之中=容貌之上 모두 같은 뜻이다. 장소. 범위 門人熟察而詳記之,亦可見其用心之密矣。 門人들이 익히 관찰하여 상세히 기록하였으니, 또한 그들의 마음씀이 치밀함을 알 수 있다. 抑非知足..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59J7/btr2m2Ve3SV/tot3IklgdJ9x3tAHM3KDg0/img.jpg)
泰伯 第八 凡二十一章 모두 21장이다 第一章 子曰: 「泰伯,其可謂至德也已矣! 三以天下讓,民無得而稱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泰伯은 아마도 지극한 德이 있다고 이를 만하다. 세 번 天下를 사양하였으나 백성들이 그 德을 칭송할 수 없게 하였구나!” ▶后稷 후 10대---古公亶父(太王)-季歷(王季)-昌(文)-發(武) ▶泰伯(季歷의 큰형)-상나라 공격을 반대함. 오나라 태조가 됨. 고공단보가 병들었을 때 약을 캐러 간다고 하고 도망함. ▶三以天下讓: 태백과 중옹이 도망하자, 계력이 태백을 불렀으나, 고공단보의 장례에도 오지 않고, 제사에도 오지 않으니 3번 예를 피하였다고 하는 말. 生事之以禮(부모를 섬기지 않고 도망감)-1讓 死葬之以禮(부모 죽음에도 예를 피함)-2讓 祭之以禮(부모 제사에도 예를 피함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etJr/btr1WzOlOdr/ZKx62DxKyDmKwZDoMgkxa1/img.jpg)
第二章 子曰: 「恭而無禮則勞,慎而無禮則葸,勇而無禮則亂,直而無禮則絞。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되 禮가 없으면 수고롭고, 삼가되 禮가 없으면 두렵고, 용맹스럽되 禮가 없으면 문란하고, 강직하되 禮가 없으면 야박하다.” ▶無禮: 不以禮節之(過, 不及) 葸,畏懼貌。 시(葸)는 두려워하는 모양이다. 絞,急切也。 絞는 매우 급하여 너그럽지 못한 것이다. 無禮則無節文,故有四者之弊。 禮가 없으면 節文이 없으므로 네 가지의 폐단이 있는 것이다. 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故舊不遺,則民不偷。」 君子[爲政者]가 친척에게 후하게 하면 백성들이 仁을 행하려는 마음을 興起하고, 勳舊의 신하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의 인심이 각박해지지 않는다.” 君子,謂在上之人也。 君子는 윗자리에 있는 사람을 말한다. 興,起也。 興은 興起이다. 偷..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PVSi/btr16jwTsxt/xr2Rks5FJuFav52kwDSc2K/img.jpg)
第三章 曾子有疾,召門弟子曰: 「啟予足!啟予手! 詩雲戰戰兢兢,如臨深淵,如履薄冰。 而今而後,吾知免夫!小子!」 曾子가 病이 위중하자, 弟子들을 불러 말씀하였다. “ 나의 발과 손을 보아라. 《詩經》에 이르기를 ‘戰戰하고 兢兢하여, 깊은 못에 임한 듯이 하고, 엷은 얼음을 밟는 듯이 하라.’라고 하였으니, 이제서야 나는 면하였음을 알겠다. 제자들아!” 啟,開也。 啓는 여는 것이다. 曾子平日以為身體受於父母,不敢毀傷,故於此使弟子開其衾而視之。 曾子는 평소에 ‘신체는 父母에게 받았으니, 감히 훼상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때 弟子들로 하여금 이불을 걷고 자신의 손발을 보게 하였다. 詩小旻之篇。 詩는 〈小旻篇〉이다. 戰戰,恐懼。兢兢,戒謹。 戰戰은 두려워하는 것이고, 兢兢은 삼가는 것이다. 臨淵,恐墜;履冰,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Q2nlu/btr2m1INcsG/gB9TKp45yMMm40l8PIAKG0/img.jpg)
第四章 曾子有疾,孟敬子問之。 曾子가 병환이 있자, 孟敬子가 問病을 왔다. 孟敬子,魯大夫仲孫氏,名捷。 孟敬子는 魯나라 大夫 仲孫氏이니, 이름은 捷이다. 問之者,問其疾也。 問은 문병함이다. 曾子言曰: 「鳥之將死,其鳴也哀;人之將死,其言也善。 曾子가 스스로 말씀하였다. “새가 죽으려 할 때는 울음소리가 애처롭고, 사람이 죽으려 할 때는 그 말이 착한 법이다. 言,自言也。 言은 스스로 말하는 것이다. 鳥畏死,故鳴哀。人窮反本,故言善。 새는 죽음을 두려워하므로 울음소리가 애처롭고, 사람은 명이 다하면 근본으로 돌아가므로 말이 착하다. 此曾子之謙辭,欲敬子知其所言之善而識之也。 이것은 曾子의 겸사이니, 敬子로 하여금 자신이 말하는 것이 善함을 알고 기억하게 하려고 한 것이다. 君子所貴乎道者三:動容貌,斯遠暴慢矣;正顏色,斯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Grmm8/btr134TFweO/uulwcTq1WuIXOmkuDIbMKK/img.jpg)
第五章 曾子曰: 「以能問於不能,以多問於寡;有若無,實若虛,犯而不校,昔者吾友嘗從事於斯矣。」 曾子가 말씀하였다. “능하면서 능하지 못한 이에게 물으며, 학식이 많으면서 적은 이에게 물으며, 있어도 없는 듯이 하며, 가득 차 있으면서 빈 듯이 하며, 자신에게 잘못을 범하여도 計較[따지지]하지 않는 것을, 옛적 내 벗이 이 일에 종사하였었다.” 校,計校也。 校는 計較이다. 友,馬氏以為顏淵是也。 友는 馬氏가 顔淵이라 하였는데, 옳다. 顏子之心,惟知義理之無窮,不見物我之有間,故能如此。 顔子의 마음은 오직 義理가 無窮함만을 알았고, 남과 나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알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이렇게 할 수 있었다. 謝氏曰: 「不知有餘在己,不足在人;不必得為在己,失為在人,非幾於無我者不能也。」 謝氏가 말하였다. “有餘함이 자신에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iwUu/btr1Qya5BHM/DKnTkCU43UFwChbTlklaV1/img.jpg)
第六章 曾子曰: 「可以託六尺之孤,可以寄百里之命,臨大節而不可奪也。 君子人與? 君子人也。」 曾子가 말씀하였다. “아버지를 여읜 15세의 어린 임금을 맡길 만하고, 百里[諸侯國]의 政令을 위임할 수 있고, 大節에 임해서 빼앗을 수 없다. 君子다운 사람인가? 君子다운 사람이다.” ▶喪先君而自號曰孤 ▶以二歲半爲一尺 五尺爲十二歲 十五歲以上則六尺 七尺者爲二十歲 ▶百里: 封土建君의 나라.제후국 ▶命: 政令 ▶大節: 국가의 安危存亡이 달린 때 其才可以輔幼君、攝國政,其節至於死生之際而不可奪,可謂君子矣。 그의 재주가 어린 임금을 보필하고 國政을 代行할 수 있고, 그 절개가 죽고 사는 즈음에 이르러서도 빼앗을 수 없다면, 君子라고 이를 수 있다. 與,疑辭。也,決辭。設為問答,所以深著其必然也。 與는 의문사이고, 也는 결단하는 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