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二章
子曰:
「恭而無禮則勞,慎而無禮則葸,勇而無禮則亂,直而無禮則絞。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되 禮가 없으면 수고롭고, 삼가되 禮가 없으면 두렵고, 용맹스럽되 禮가 없으면 문란하고, 강직하되 禮가 없으면 야박하다.”
▶無禮: 不以禮節之(過, 不及)
葸,畏懼貌。
시(葸)는 두려워하는 모양이다.
絞,急切也。
絞는 매우 급하여 너그럽지 못한 것이다.
無禮則無節文,故有四者之弊。
禮가 없으면 節文이 없으므로 네 가지의 폐단이 있는 것이다.
君子篤於親,則民興於仁;故舊不遺,則民不偷。」
君子[爲政者]가 친척에게 후하게 하면 백성들이 仁을 행하려는 마음을 興起하고, 勳舊의 신하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의 인심이 각박해지지 않는다.”
君子,謂在上之人也。
君子는 윗자리에 있는 사람을 말한다.
興,起也。
興은 興起이다.
偷,薄也。
偸는 각박함이다.
張子曰 :
「人道知所先後,則恭不勞、慎不葸、勇不亂、直不絞,民化而德厚矣。」
張子가 말씀하였다.
“사람의 도리에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을 알면 공손해도 수고롭지 않고, 삼가도 지나치게 두렵지 않고, 용맹스러워도 난리를 일으키지 않고, 곧아도 각박하지 않아, 백성들이 敎化되어 자신의 德이 후하여질 터이다.
吳氏曰:
「君子以下,當自為一章,乃曾子之言也。」
吳氏는 말하였다.
“君子 이하는 마땅히 별도로 한 章이 되어야 하니, 곧 曾子의 말씀이다.”
愚按:此一節與上文不相蒙,而與首篇慎終追遠之意相類,吳說近是。
내가 상고해 보니, 이 한 節은 윗글과 서로 연관되지 않고 首篇[學而篇]의 喪事를 삼가고 옛 조상을 추모한다〔愼終追遠〕는 뜻과 서로 유사하니, 吳氏의 말이 옳은 데 가깝다.
▶蒙:닮다. 부합되다.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集註 述而 第七(논어집주 술이 제칠) 第三十七章 (0) | 2023.03.06 |
---|---|
論語集註 泰伯 第八(논어집주 태백 제팔) 第一章 (0) | 2023.03.06 |
論語集註 泰伯 第八(논어집주 태백 제팔) 第三章 (0) | 2023.03.06 |
論語集註 泰伯 第八(논어집주 태백 제팔) 第四章 (1) | 2023.03.06 |
論語集註 泰伯 第八(논어집주 태백 제팔) 第五章 (0)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