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253

한문의 허사(虛詞) 愈兪逾

한문의 허사(虛詞) 愈兪逾 愈 나을유 兪 응답할유 逾 넘을유 瘉 나을유 愈益 더욱더 愈는 《孟子 公孫丑下》에 보이는 今病小愈[오늘은 병이 조금 쾌차했다.]의 예문에서와 같이 “병이 낫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이는 외에, 허사로서는 단지 부사로 쓰여 “더욱더” “한층”의 뜻으로 쓰인다. “兪나을유” “逾넘을유” “瘉나을유”자가 같은 뜻의 허사로 쓰이고 있으며, 益자를 추가하여 2음절어로 愈益으로도 쓴다. ¶ 聖人不積, 旣以爲人, 己愈有; 旣以與人, 己愈多. 《老子 81章》 ○ 성인은 재물을 쌓아 두지 않고, 그 재물을 사람들을 위하는 일에 쓰지만, 그럴수록 더욱 더 부유하게 되고; 사람들을 위해 뭐든지 다 주지만, 그럴수록 더욱 더 재물이 많아지게 된다. ¶ 窦太后崩, 以武安侯爲丞相, 天下士郡國諸侯愈益附武安..

한문의 허사(虛詞) 惟維唯

한문의 허사(虛詞) 惟維唯 唯獨 “惟오직유” “維맬유” “唯다만유” 이 세 글자는 각각 그 고유의 뜻을 가진 별개의 글자들이지만, 오랜 시일이 흐르는 동안, 그 독음이나 모양이 비슷하고 게다가 이들 세 글자 모두가 허사로 자주 쓰이게 됨에 따라 상호 혼용되었다. 이 글자들은 實詞로 쓰일 때도 예를 들면 思惟, 思唯에 있어서와 같이 혼용되는데 유독 “唯唯諾諾”의 경우에만 “唯다만 유”자를 쓴다. (1) 부사로서 獨, 僅의 의미로 쓸 때는 이 세 글자가 모두 단독으로 “다만”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또한 唯獨, 惟獨도 같이 쓰인다. ¶ 子謂顔淵曰: “用之則行, 舍之則藏, 唯我與爾有是夫!” 《論語 述而》 ○ 공자가 안연에게 말하기를, “등용되면 나아가 도를 행하고, 버려지면(벼슬자리를 잃거나 등용되지 못하면) ..

한문의 허사(虛詞) 攸

한문의 허사(虛詞) 攸 攸는 상고시대에만 쓰였다. ① 일반적으로 所자와 용법이 비슷하며, 助詞로서 동사 앞에 쓰인다. 후대에 이르러서는 소수의 문인들이 쓴 古籍을 모방한 작품에서만 보인다. ② 문두나 문중에서 ‘의미 없는 조사’로 쓰이는 용례가 오직 《尙書》에서만 보이며, 그 이후에는 모방 작품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1) 攸자의 용법은 조사 “所”자와 같다. ¶ 君子有攸往, 先迷後得主, 利. 《易經 坤卦辭》 ○ 군자가 갈 바를 두느니라. 먼저 하면 아득하고, 뒤에 하면 주인을 얻으리니, 이로움을 얻으리라. ¶ 豈弟君子, 福祿攸降. 《詩經 大雅 旱麓》 ○ 점잖은 군자님께, 내리는 바 복과 녹이네. ¶ 夫迷途知返, 往哲是與, 不遠而復, 先典攸高. 《丘遲 與陳伯之書》 ○ 길을 잃으면 뒤를 돌아볼 줄 아는 것..

한문의 허사(虛詞) 有(또한)

한문의 허사(虛詞) 有(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성으로서의 有는 又자로 쓰이는데, 이에는 부사적 용법과 접속사적 용법이 있다. (1) 副詞적 용법의 예문 : “또한” “더욱” ¶ 終則有始, 天行也. 《易經 蠱卦 彖辭》 ○ 마치면 또한 비롯함이 하늘의 행함이라. ¶ 終風且曀, 不日有曀. 《詩經 邶風 終風》 ○ 하루종일 바람불고 음산했었네, 하루도 안 갔는데 또 음산하네. ¶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論語 公冶長》 ○ 자로는 교훈을 듣고 그것을 아직 실행하지 못하였는데, 또 다른 교훈을 들을까 염려하였다. ¶ 王曰: “若是其甚與?” 曰: “殆有甚焉.” 《孟子 梁惠王上》 ○ 왕이 말했다. “내가 바라는 것은 심한 것입니까?” 맹자가 말했다. “그보다 더 위태로울 정도로 심한 일이지요.” (..

한문의 허사(虛詞) 有

한문의 허사(虛詞) 有 有時 ~한때 有時乎 때로는 有間 잠시 有如 만약~이라면 有는 3성과 4성의 두 가지 성조가 있다. 又의 뜻으로 쓰이는 副詞적 용법과 “그리고”를 뜻하는 接續詞적 용법의 경우에만 4성으로 읽고, 나머지는 모두 3성으로 읽는다. ① 有는, 예나 지금이나 “있다”라고 하는 의미의 動詞적 용법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②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용법으로는 접두어로 쓰이는 용법인데, 이 용법은 《詩經》 중에 가장 많이 나온다. ③ 有는 본래 발음이 又와 같기 때문에 又의 假借字로 쓰였다. ④ 한편 有자와 或는 上古 시대에는 聲紐가 서로 같았으며 韻母 또한 서로 통했으므로 或자의 假借字로 쓰였다. 1. 3성(yǒu)으로서의 有 (1) 有는 아무런 의미가 없이, 단지 문장 안에서 음율을 맞춰..

한문의 허사(虛詞) 由

한문의 허사(虛詞) 由 且由 게다가 由는 본래 介詞로서만 쓰인다. 이 由자가 가령 無動作性 동사로 쓰였거나 혹은 부사로 쓰였다면, 그것은 바로 猶자의 假借字로 쓰인 것이다. 由는 또한 “원인” “이유”라는 뜻의 명사로도 쓰인다. ¶ 有臧武仲之知, 而不容於魯國, 抑有由也. 《左傳 襄公23年》 ○ 장무중의 지혜로도 노나라에서 용납되지 못한 것은 여기에 원인이 있는 것이다. ☞상기 예문에서 有由는 “까닭이 있다”라는 말이다. (1) 由는 “마치 …과 같다”라는 뜻의 猶자의 假借字로 쓰인다. 이 글자는 본래 實詞였다. (1) 由는 “마치 …과 같다”라는 뜻의 猶자의 假借字로 쓰인다. 이 글자는 본래 實詞였다. ☞古文을 읽을 때 이 由로 인한 오해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예문 두 가지를 드니, 擧一反三의 효과를 ..

한문의 허사(虛詞) 爲(도울 위)

한문의 허사(虛詞) 爲(도울 위) (1) 爲는 表態副詞로서 “인위적으로 … 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荀子의 性惡篇에 보이는 “人之性惡, 其善者僞也.”라고 보이는 문장을 楊倞이 주석하기를 “僞, 爲也” 즉 “여기서 말하는 僞는 “爲도울위”로 해석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사람은 그 본성을 인위적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 人之性惡, 其善者僞也. 《荀子 性惡篇》 ○ 사람의 본성은 본래 악하다. 그것이 선한 것은 인위적으로 바로잡기 때문이다. ¶ 宣謂后母曰: “東郡太守素俶傥. 今數有惡怪, 恐有妄爲而大禍至也. 太夫人可歸, 爲棄去宣家者以避害.” 《漢書 翟方進傳》 ○ 적선이 그의 계모에게 말했다: “동군태수 적의는 줄곧 용맹하고 자만심이 강합니다. 현재 동군에서는 자주 괴이한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

한문의 허사(虛詞) 爲

한문의 허사(虛詞) 爲 之爲 구조조사 爲乎 의문어기 爲也 금지어기 爲哉 의문어기 필자는 이 글자를 정확하게 읽을 수 있어야만 한문의 맛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래 “爲행할 위”자와 “爲도울 위”자는 전혀 별개의 글자이다. 전자는 2성(wéi)으로 읽고, 후자는 4성(wèi)으로 읽는다. 고대 중국어에서는 문장 안에서 實詞와 接續詞, 語氣詞로 쓰이는 경우에는 2성으로 읽고, 前置詞로 쓰이는 경우에는 4성으로 읽는다. 이 爲자는 僞의 假借字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4성으로 읽는다. 1. 實詞로서의 爲 ☞이 글자가 實詞로 쓰이는 경우에도 여러 가지 용법과 뜻이 있는데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爲는 連繫性 動詞로 쓰인다. “…이다” ¶ 爾爲爾, 我爲我. 《孟子 公孫丑上》 ○ 너는..

한문의 허사(虛詞) 爰

한문의 허사(虛詞) 爰 爰及 그리고 ~와 함께 爰은 고서 가운데, 《詩經》중에 50번 나오고, 《書經》에서는 일상적으로 쓰였으며, 《楚辭 天問》에서도 많이 쓰였다. 《左傳》《論語》《孟子》에서는 쓰인 일이 전혀 없다. 다만, 《孟子 梁惠王下》에서는 “爰及姜女[그리고 강씨 성의 여성과 함께]”라고 나오는데, 이것은 《詩經》을 인용한 것이다. 이후에는 문장 중에 쓰였다 하더라도 옛 문장을 모방한 것에 불과하고, 어떤 경우에는 심지어 이 爰자의 진의를 모르는 상태에서 난용된 사례가 많이 보이는데, 여기에서는 이러한 난용 사례에 대하여는 논외로 한다. 다만, 六朝人들은 《詩經 大雅 綿》과 《小雅 鴻雁》에 나오는 “爰及 그리고 ~와 함께”를 “以及”으로 잘못 해석하여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부득이 설..

한문의 허사(虛詞) 云

한문의 허사(虛詞) 云 云云 여차여차하다 云爾 이러이러하다 云何 어떻게 云胡 어떻게 云台 어떻게 云乎 어찌 云자의 實詞적 용법에 관하여는 논외로 한다. 虛詞로서의 云은 兼詞, 助詞, 語氣詞로 쓰인다.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合成固定詞組를 만든다. 云云 여차여차하다 云爾 이러이러하다 云 어떻게 何云胡 어떻게 云台 어떻게 云乎 어찌 등이 있다. (1) 云은 兼詞가 되어 “이와 같다”라는 뜻을 가진다. ☞云云은 바로 “여차여차하다”이고, 云爾는 세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① “여차여차하다” ② “그러할 뿐이다” 왜냐하면 “爾”자에는 이미 “그러그러하다”라는 뜻이 있고, 또한 “…일 뿐(耳)”이란 말을 대용할 수 있는 글자이기 때문이다. ③ “…일 따름이다.(耳)” 이때의 云은 語氣詞가 된다. ☞云자가 “이와 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