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자 한문 공부 (253)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虛詞) 爾“爾너이”자는 그 용법이 적지 않다. 그 용법이 而자와 거의 같지만, 같지 않은 부분도 일부 있다. (1) 爾는 2인칭 대명사로 쓰인다.☞주격, 소유격, 목적격 모두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而는 주격과 소유격으로만 쓰인다. 목적격으로 써야 할 경우는 爾를 써야 한다. 爾愛其羊? 我愛其禮. 《論語 八佾》-너는 그 양을 아까워하느냐? 나는 그 예가 아깝다. 由射於百步之外也; 其至, 爾力也; 其中, 非爾力也. 《孟子 萬章下》○예를 들어 백 보 떨어진 곳에서 활을 쏘아 과녁까지 보내는 것은, 너의 힘이지만 과녁을 맞히는 것은 너의 힘이 아니고 기교인 것이다. 居則曰 ‘不吾知也,’ 如或知爾, 則何以哉?” 《論語 先進》-너희들은 앉으면 하는 말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라 하는데, 만일 혹시..
한문의 허사(虛詞) 伊혹자는 말하기를 “伊어조사이”는 “維맬유”자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 근거로 “維吾爾”[‘위구르’족을 중국인들은 이렇게 부른다.]를 중국어로 “伊吾”라고 번역하여 쓰고 있는데, 이때 維자가 伊자로 번역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伊자와 維는 古音 체계상 韵이 같지만, 어떤 사람들은 維자에 별도의 한 획을 더 그어서 韵을 맞추고 있다. 사실 母音상으로 보면 매우 근접하다. 그러나 용법은 상이한 점이 많다. (1) “伊 어조사 이”는 연계성 동사로 볼 수 있다. 다만 일정한 형식이 있다. 《詩經》가운데 가장 많이 보이고, 이후 후대인들이 이를 모방하여 썼다. 蓼蓼者莪, 匪莪伊蒿. 《詩經 小雅 蓼莪》 -무럭무럭 자라 참쑥되길 바랐더니, 참쑥이 아니고 잡초 쑥이 되었네. 不遠伊邇, 薄..
한문의 허사(虛詞) 耳“耳”는 語氣詞로서만 쓰이며 두 가지 뜻이 있다. (1) 耳는 그 용법이 而已와 같으며, 항상 보이는 용법으로 而의 제5 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 뿐이다”子曰: “二三子! 偃之言是也, 前言戱之耳.” 《論語 陽貨》-공자께서 말씀했다: “제자들아! 偃의 말이 옳으니, 방금 전에 내가 한 말은 농담이었을 뿐이다.” 口耳之間, 則四寸耳. 《荀子 勸學》-입과 귀와의 거리는, 겨우 4촌에 불과할 뿐이다. (2) 耳는 긍정이나 정돈 혹은 종결의 어기를 나타낸다. ☞也와 같은 용법으로 쓰이지만, 어기는 也보다 가볍다. 이 경우 해석하지 않는다.諸將易得耳; 至如信者, 國士無雙. 《史記 淮陰侯列傳》-다른 장수는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신이란 자는 이 나라에서 견줄 만한 인물이 없습..
한문의 허사(虛詞) 而而已 ~일 따름이다 而後 ~한 연후에 而는 2인칭 대명사로서 爾자 및 汝자와 통한다. 또한 접속사로서 그 용법이 매우 다양하며, 그 뜻 또한 매우 신축적이다. (1) 而는 주어와 술어 사이에 쓰여 어기를 강조한다.人而無信 不知其可也. 《論語 爲政》-사람이 만약 신의가 없다면, 그것이 옳은지 모른다. 假令晏子而在, 余雖爲之執鞭, 所忻慕焉. 《史記 管晏列傳》-가령 안자가 오늘날 살아있다고 하면, 나는 비록 그를 위해 말 채찍을 잡아도, 그 일은 내가 기뻐하고 흠모하는 바가 될 것이다 (2) 而는 부사어와 술어 사이에 놓여, 문장의 독법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해준다.☞而자의 이와 같은 용법은 현대 중국어에는 없기 때문에 해석하지 않는다.子路率爾而對曰. 《論語 先進》-자로가 경솔하..
한문의 허사(虛詞) 以以及 및 以至 ~까지 以至于 ~ 때문에 以是 그래서 以故 그러므로 以此 이리하여以는 허사 중에서 가장 많은 용법과 융통성을 가지고 있는 글자이다. 또한 실사적인 용법도 실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① 명사로서 “까닭, 원인”의 뜻으로 쓰인다. 《列子 周穆王篇》에 “宋人執而問其以”[송나라 사람이 그를 잡고 그 까닭을 물었다.]라는 문장이 그 예이다. ② “채용하다”라는 뜻의 동사로서도 쓰인다.《戰國策 韓策3》에 “昔齊桓公九合諸侯, 未嘗不以周襄王之命” [옛날 환공은 제후들을 아홉 번이나 불러 모아 회맹을 하면서도, 한 번도 주양왕의 명령을 채용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③ “여기다, 생각하다”라는 뜻으로 쓰인다.《左傳 昭公25年》조 “公以告臧孫, 臧孫以難; 告郈孫, 郈孫以可, 勸” [소공은..
한문의 허사(虛詞) 已已而 뒤이어 已大 너무 已矣 ~이로다 已夫 ~이도다已는 동사로 쓰이는 경우 전후의 문맥에 따라 그 해석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枚乘의《七發》의 “霍然病已”[병이 싹 나았다]에서 已는 자동사로서 “(병이) 낫다”라는 의미로 쓰였다. 한편 타동사로서는 《論語 公冶長》편에 “令尹子文三仕爲令尹, 無喜色; 三已之, 無慍色.”[영윤 ‘자문’은 여러 번 벼슬하여 영윤이 되었으나, 기뻐하는 기색이 없었고; 여러 번 그만두었으나, 서운해 하는 기색이 없었다.]이라는 문장이 보이는데, 이때 “三已之”는 “(혹자가) 여러 차례 그를 그만두게 했다.”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기타 已자가 문장 안에서 동사로 쓰일 때 “그치다”라는 본래 뜻에 구애되면 해석이 구차하게 되니 유의해야 한다. 已가 허사로는..
한문의 허사(虛詞) 意意者 아마도 意亦 아니면意는 ① 傳疑副詞로 쓰여 확실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意者[아마도]”로도 쓰인다. ② 선택접속사로도 쓰이는데, “抑[그렇지 않으면]”의 용법과 같다. “意亦[아니면]”으로도 쓰이며, “抑亦[아니면]”과 같다. ③ 간혹 감탄사로서도 쓰이며 “噫탄식할희[아아!]”와 같다. (1) 意는 확실치 않음을 나타내는 傳疑副詞로 쓰인다. “아마도” 平言曰: “周鼎亡在泗水中, 今河溢通泗, 臣望東北汾陰直有金寶氣. 意周鼎其出乎!”《史記 封禪書》 - 新垣平이 말했다: “주나라의 鼎이 사수 밑에 가라앉았는데, 현재 황하가 범람하면 사수로 통하옵니다. 신이 동북 쪽의 분음 정상을 바라보니, 금과 보물의 기운이 보이는데, 아마도 周鼎이 물 위로 드러날 징조인 것 같습니다.” 夏, 旱..
한문의 허사(虛詞) 宜宜는 세 가지 뜻이 있다. ① 하나는 형용사로서 “적합하다”라는 뜻이 있고, ② 둘째로는 역시 형용사로서 “마땅하다”라는 뜻을 가지며, ③ 셋째로는 부사로서 “대략, 대개”라는 뜻으로 쓰인다. 주로 부사로 쓰이며, 때로는 술어로서도 쓰인다. (1) 宜는 '적합하다 · 적절하다'라는 뜻으로 명사 위에 쓰이는데, 실제로는 전치사 “于(於)”가 거의 생략된 채로 쓰인다.諸侯將相侯王以爲其宜寡人, 寡人不敢辭. 《史記 文帝紀》 -제후들과 장군 · 승상과 후왕이 과인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면, 과인은 사양하지 않겠다. 之子于歸, 宜其室家. 《詩經 周南 桃夭》 -이 아가씨 시집가니 그 집에 마땅하리라. (2) 宜는 “당연하다”라는 뜻으로 쓰이며, 때로는 “이상할 것이 없다”라고 해석..
한문의 허사(虛詞) 矣矣夫 감탄 矣哉 감탄 矣乎 감탄 의문 矣는 순수한 허사로서 오직 어기사로만 쓰인다. ① 일반적으로 이미 성립된 사실이나 필연적인 경지를 나타낼 때 쓰이며, ② 기타 용법도 몇 가지 있고, ③ 다른 어기사와 함께 연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1) 矣는 也의 용법과 같이 어떤 뜻을 제시할 때 쓰이며, 也와 호환이 거의 가능하다.爾之遠矣, 民胥然矣; 爾之敎矣, 民胥效矣. 《詩經 小雅 角弓》그대가 형제간에 서로 멀리 지내면 백성이 따라하고, 그대가 친척간에 서로 가르치며 살면 백성이 본받을 터이다.▶胥: 모두 전부 하급관리 鳳凰鳴矣, 于彼高崗; 梧桐生矣, 于彼朝陽. 《詩經 大雅 卷阿》봉황이 우노니 저 높은 뫼이로다; 오동나무가 자라니 저 동산이로다. 惡不仁者, 其爲仁矣, 不使不仁..
한문의 허사(虛詞) 猶猶且 猶然 猶若 猶尙 猶自 猶之 [모두 “오히려”라는 한 뜻]猶는 簡體字로는 “犹”로 쓴다. 猶는 動詞로 쓰여 “마치 …과 같다”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國語 周語上》의 “民之有口也, 猶土地有山川也” [백성들에게는 입이 있어서, 마치 땅에 산천이 있어 발산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猶의 이와 같은 動詞로서의 용법은 여기서 논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다. 猶자가 虛詞로 쓰이는 경우는 대부분 부사로서 ① “오히려” “아직도”를 의미한다. ② “서로 같다”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③ 상고 시대에도 역시 假設連詞[“설령 … 일지라도”] 로도 쓰였다. ④ 多音節語를 구성하기도 하지만 뜻과 용법은 猶와 같다. (1) 猶는 부사로서 “그 남아 있는 여세가 사그러들지 않고 아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