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의 허사(虛詞) 哉 |
乎哉 의문어기사 哉는 주로 語氣詞로 쓰인다. 때로는 “처음으로(始)”라는 뜻의 副詞로 쓰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부사적 용법은 단지 《書經》에서만 보이고 이후에는 쓰이지 않고 있다. |
(1) 哉는 “처음으로(始)”라는 뜻의 부사로 쓰인다.
¶ 惟二月哉生魄. 《書經 周書 康誥》
○ 이월달 달이 처음으로 광채를 낼 때[열엿새 날].
¶ 惟四月哉生魄. 《書經 周書 顧命》
○ 사월달 달이 처음으로 광채를 낼 때[열엿새 날].
(2) 哉는 語氣詞로서 문장 안에서 “숨 고름”을 나타낸다.
¶ 王曰: “鳴呼! 肆哉. 爾庶邦君越爾御事. 爽邦由哲. 亦惟十人迪知上帝命.” 《書經 周書 大誥》
○ 성왕이 말씀했다. “아! 마음을 풀어놓을지어다. 너희 여러 나라의 군주들과 너희 관원들아. 나라를 밝힘은 명철한 사람들 때문이며, 또한 10인이 상제의 명을 알아서 실천했기 때문이다.”
▶肆:펴다
▶爽:밝히다
▶迪:행하다
¶ 世雖貴之哉, 我猶不足貴也, 爲其貴非其貴也. 《莊子 天道篇》
○ 세상에서는 비록 그것들을 귀중히 여기지만, 나는 오히려 귀중히 여길 것이 못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세상에서 귀중히 여기는 것은 진정으로 귀중한 것이 못되기 때문이다.
(3) 哉는 語氣詞로서 “감탄”을 표시한다. 이 용법이 哉자의 가장 일반적인 용법이다.
¶ 大哉, 堯之爲君也. 《論語 泰伯》
○ 위대하도다, 요의 임금되심이여.
¶ 子玉無禮哉! 《左傳 僖公28年》
○ 자옥은 예의가 없구나!
¶ 上怒曰: “烹之!” 通曰: “嗟呼! 寃哉烹也!” 《史記 淮陰侯列傳》
○ 한고조가 화를 내며 말했다: “그를 삶아서 죽여라!” 괴통이 말했다: “아이구! 삶아 죽이다니 억울합니다!”
(4) 哉는 “의문”을 표시하는 語氣詞로 쓰이는데, 이 경우 일반적으로 문중에 의문사가 있기 마련이다.
☞의문부사가 없는 경우에는 의문어기사와 哉자가 연용된다. 乎哉도 연용된다.
¶ 曷至哉? 雞棲于塒. 《詩經 王風 君子于役》
○ 언제나 돌아오실까? 닭은 홰에 오르고.
¶ 人焉廋哉? 人焉廋哉? 《論語 爲政》
○ 사람이 어찌 자신을 숨기리오? 사람이 어찌 자신을 숨기리오?
▶廋(수):숨기다
¶ 不識, 此語誠然乎哉? 《孟子 萬章上》
○ 알 수는 없으나, 이 말이 정말 그렇습니까?
¶ 足下何以得此聲於梁楚間哉? 《史記 季布列傳》
○ 그대는 무엇에 의지하여 양나라와 초나라에서 이러한 명성을 얻게 되었는가?
(5) 哉는 “반문”을 표시하는 語氣詞로 쓰이는데, 이 경우 일반적으로 문중에 반문부사를 수반한다.
¶ 愼夫人乃妾, 妾主豈可與同坐哉? 《史記 袁盎列傳》
○ 신부인은 첩인데, 설마 첩과 군주가 동석할 수 있겠는가?
¶ 處非道之位, 被衆口之譖, 溺於當世之言, 而欲當嚴天子而求安 幾不亦難哉? 《韓非子 姦劫弑臣篇》
○ 정도가 비난을 받는 입장에 있고, 많은 사람으로부터 욕을 당하며, 속론이 판치고 있는데, 외경해야 할 천자를 향하여 안전을 구한다 할지라도, 성공할 가망이 얼마나 있겠는가?
¶ 待農而食之, 虞而出之, 工而成之, 商而通之, 此寧有政敎發徵期會哉. 《史記 貨殖列傳》
○ 농부는 농사를 지어서 곡식을 얻을 수 있고, 야산을 관리하는 자는 금수의 고기를 생산해 내며, 공인(工人)은 기구를 가공해 내고, 상인(商人)은 이를 유통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어찌 정교발징(政敎發徵)의 기회가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6) 哉는 “기대” “명령” “금지”를 표시하는 語氣詞로 쓰인다.
¶ 振振君子, 歸哉歸哉! 《詩經 召南 殷其雷》
○ 미더운 우리 낭군, 돌아오소서! 돌아오소서!
¶ 無若殷王受之迷亂, 酗于酒德哉! 《書經 周書 無逸》
○ 상왕 주(紂)가 미란했던 것과 같이 술에 취해서 난폭하게 굴지 않게 해주십시오.
¶ 自作不和, 爾惟和哉! 爾室不睦, 爾惟睦哉! 《書經 周書 多方》
○ 스스로 불화를 저지르니, 너희가 화목하게 할지어다. 너희 왕실이 화목하지 못하니, 너희가 화목하게 할지어다.
¶ 王曰: “鳴呼! 念之哉!” 《書經 周書 呂刑》
○ 왕이 말했다: “아! 생각할지어다.”
¶ 父往哉! 《書經 周書 文侯之命》
○ 父는 가십시오!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適(오로지) (1) | 2022.12.28 |
---|---|
한문의 허사(虛詞) 適 (1) | 2022.12.28 |
한문의 허사(虛詞) 將 (0) | 2022.12.27 |
한문의 허사(虛詞) 玆 (2) | 2022.12.27 |
한문의 허사(虛詞) 者 (1)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