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논어집주 (501)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 第二十六章 子曰: 「衣敝縕袍,與衣狐貉者立,而不恥者,其由也與?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해진 솜옷을 입고서 여우나 담비 갖옷을 입은 자와 함께 서서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 자는 아마 由[子路]일 터이다.” ▶其由也與에서 其~與사용을 보라 敝,壞也。 敝는 해짐이다. =弊 縕,枲著也。 縕은 수삼으로 둔 솜이다. 袍,衣有著者也,蓋衣之賤者。 袍는 옷에 솜을 둔 것(상의와 하의가 붙은 것)이니, 이는 옷 중에 천한[값싼] 것이다. 狐貉,以狐貉之皮為裘,衣之貴者。 狐貉은 여우나 담비의 가죽으로 갖옷을 만든 것이니, 옷 중에 귀한 것이다. 子路之志如此,則能不以貧富動其心,而可以進於道矣,故夫子稱之。 子路의 뜻이 이와 같았으니, 貧富 때문에 그의 마음을 동요하지 않아서 道에 나아갈 수 있다. 그러므로 夫子께서 그를 칭찬하셨다..
▣ 第二十七章 子曰: 「歲寒,然後知松柏之後彫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듦을 알 수 있다.” ▶彫:=凋 范氏曰: 「小人之在治世,或與君子無異。 惟臨利害、遇事變,然後君子之所守可見也。」 范氏가 말하였다. “小人이 治世[태평성세]에 있어서는 君子와 다를 것이 없을 수도 있다. 오직 利害를 당하고 事變을 만난 뒤에야 君子의 지킴을 알 수 있다.” 謝氏曰: 「士窮見節義,世亂識忠臣。 欲學者必周於德。」 謝氏가 말하였다. “선비가 궁할 때에 節義를 보고, 세상이 난세일 때 忠臣을 안다. 배우는 자들이 반드시 德에 周密하게 하고자 하였다.”
▣ 第二十八章 子曰: 「知者不惑,仁者不憂,勇者不懼。」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지혜로운 자는 의혹하지 않고, 仁한 자는 근심하지 않고, 용맹한 자는 두려워하지 않는다.” ▶知以明理 ▶仁以守身 ▶勇以行義 明足以燭理,故不惑;理足以勝私,故不憂;氣足以配道義,故不懼。 지혜의 밝음이 족히 理致를 밝힐 수 있기 때문에 미혹되지 않고, 인의 理致를 앎은 私慾을 이길 수 있기 때문에 근심하지 않고, 용기는 道義에 배합하기 때문에 두려워하지 않는다. 此學之序也。 이것은 學問의 順序이다.
▣ 第二十九章 子曰: 「可與共學,未可與適道; 可與適道,未可與立; 可與立,未可與權。」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함께 똑같이 배울 수는 있어도 함께 道에 나아갈 수는 없으며, 함께 道에 나아갈 수는 있어도 함께 도를 지킬 수는 없으며, 함께 도를 지킬 수는 있어도 함께 權道를 행할 수는 없다.” ▶共: 같은 내용을 배운다는 뜻 ▶權: 항상 중용을 유지함 可與者,言其可與共為此事也。 可與란 더불어 똑같이 이 일을 하는 것을 말한다. 程子曰: 「可與共學,知所以求之也。 可與適道,知所往也。 可與立者,篤志固執而不變也。 權,稱錘也,所以稱物而知輕重者也。 可與權,謂能權輕重,使合義也。」 ▶所以稱物而知輕重者也 所~者也로 해석하며 以는 權을 가리킨다 程子가 말씀하였다. “더불어 함께 배운다는 것은 道를 추구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
▣ 第三十章 「唐棣之華,偏其反而。 豈不爾思? 室是遠而。」 당체의 꽃이여! 나부끼어 펄럭이는구나. 어찌 그대를 생각하지 않으리오마는 집이 멀리 있다. 唐棣,郁李也。 당체는 郁李(山櫻桃)이다. ▶당체는 사실은 山査이다. 山査春에서 春은 술이다 偏,晉書作翩。 偏은 《晉書》에는 翩으로 되어 있다. 然則反亦當與翻同,言華之搖動也。 그렇다면 反(번)도 또한 당연히 翻과 같아야 할 것이니 꽃이 나부끼는 것을 말한 것이다. 而,語助也。 而는 어조사이다. 此逸詩也,於六義屬興。 이 詩는 逸詩로서 六義에 있어 興에 속한다. ▶六義 風(각국의 민요 15國風) 雅(西周이전은 大雅, 東周는 小雅) 頌(宗廟祭禮樂. 商頌. 周頌) 賦(사실을 서술) 比(일과 일을 비교) 興(초목 생물을 보고 떠올리는 것) 上兩句無意義,但以起下兩句之辭耳..
▣ 先進 第十一 此篇多評弟子賢否。 이 篇은 대부분 弟子의 어질고 어질지 못함을 논평하였다. 凡二十五章。 모두 25장이다. 胡氏曰: 「此篇記閔子騫言行者四,而其一直稱閔子,疑閔氏門人所記也。」 胡氏가 말하였다. “이 篇에서 閔子騫의 言行을 기록한 것이 네 章인데, 그중 하나는 곧바로 閔子라고 일컬었으니, 아마도 閔子騫의 門人이 기록한 것인 듯하다.” 第一章 子曰: 「先進於禮樂,野人也;後進於禮樂,君子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선배들은 禮樂에 대하여 촌사람이라 하고, 후배들은 禮樂에 대하여 君子답다고 한다. 先進後進,猶言前輩後輩。 先進 • 後進은 前輩 • 後輩라는 말과 같다. 野人,謂郊外之民。君子,謂賢士大夫也。 野人은 郊外의 백성을 말하고, 君子는 어진 士大夫를 말한다. 程子曰: 「先進於禮樂,文質得宜,今反謂之質樸..
▣ 第二章 子曰: 「從我於陳、蔡者,皆不及門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陳나라와 蔡나라에서 따르던 자들이 모두 門下에 있지 않구나!” 孔子嘗厄於陳、蔡之間,弟子多從之者,此時皆不在門。 孔子께서 陳나라와 蔡나라 땅에서 困厄을 당하셨을 적에, 그 당시 따르던 弟子들이 많았었는데, 이때 모두 門下에 있지 않았다. 故孔子思之,蓋不忘其相從於患難之中也。 孔子께서 그들을 그리워한 것이니, 그들이 患難속에서 서로 시종하던 것을 잊지 않으신 듯하다. 德行:顏淵,閔子騫,冉伯牛,仲弓。 言語:宰我,子貢。 政事:冉有,季路。 文學:子游,子夏。 德行에는 顔淵·閔子騫·冉伯牛·仲弓이었고, 言語에는 宰我·子貢이었고, 政事에는 冉有·季路였고, 文學에는 子游·子夏였다. 弟子因孔子之言,記此十人,而並目其所長,分為四科。 第子들이 孔子의 말씀에..
▣ 第三章 子曰: 「回也非助我者也,於吾言無所不說。」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顔回는 나를 돕는 자가 아니구나! 나의 말에 대해 기뻐하지 않는 바가 없구나!” 助我,若子夏之起予,因疑問而有以相長也。 助我란 ‘子夏가 나를 일깨운다.’라는 것과 같으니, 疑問으로 인하여 서로 진전됨이 있는 것이다. 顏子於聖人之言,默識心通,無所疑問。 顔子는 聖人의 말씀에 대해 묵묵히 알고 마음으로 통하여 疑問함이 없었다. 故夫子云然,其辭若有憾焉,其實乃深喜之。 그러므로 夫子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 말씀은 유감이 있는 듯하나 그 실제는 바로 깊이 기뻐하신 것이다. 胡氏曰: 「夫子之於回,豈真以助我望之。 蓋聖人之謙德,又以深贊顏氏云爾。」 胡氏가 말하였다. “夫子가 顔回에 대해 어찌 참으로 자신을 도와주기를 바랐겠는가? 이는 聖人의 겸손한..
▣ 第四章 子曰: 「孝哉閔子騫! 人不間於其父母昆弟之言。」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효성스럽다. 閔子騫이여! 사람들이 그 父母·兄弟의 말에 다른 말을 못하는구나!” 胡氏曰: 「父母兄弟稱其孝友,人皆信之無異辭者,蓋其孝友之實,有以積於中而著於外,故夫子歎而美之。」 胡氏가 말하였다. “父母·兄弟가 그의 효도와 우애를 칭찬함에 사람들이 모두 믿고 딴 말이 없었던 것은 그 효도와 우애의 실제가 心中에 쌓여 밖에 드러남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夫子께서 감탄하고 찬미하신 것이다.”
▣ 第五章 南容三復白圭,孔子以其兄之子妻之。 南容이 白圭란 내용의 詩를 세 번 반복해 외우니, 孔子께서 그 형님의 딸을 아내 삼아 주셨다. 詩大雅抑之篇曰:「白圭之玷,尚可磨也;斯言之玷,不可為也。」 《詩經》〈大雅 抑篇〉에 “白圭[白玉으로 만든 圭]의 홈은 그래도 갈면 될 수 있지만, 이 말의 흠은 갈아낼 수 없다.”라고 하였다. 南容一日三復此言,事見家語,蓋深有意於謹言也。 南容이 하루에 세 번 이 내용을 반복하였다. 이 일은 《家語》에 보이니, 이는 말을 삼가는 데 깊이 뜻을 둔 것이다. 此邦有道所以不廢,邦無道所以免禍,故孔子以兄子妻之。 이것은 나라에 道가 있을 때는 버려지지 않을 수 있고, 나라에 道가 없을 때는 화를 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孔子께서 兄의 딸을 아내로 삼았다. 范氏曰: 「言者行之表,行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