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題目 作者 原文 解釋
孤雁〈외로운 기러기〉 -崔塗(최도) |
幾行歸去盡 片影獨何之.
무리들 줄줄이 다 돌아갔는데 한 조각 그림자는 홀로 어디로 가는가.
暮雨相呼失 寒塘欲下遲.
저녁 빗속에서 잃은 무리 부르면서 차가운 못에 내리려다 머뭇거리네.
渚雲低暗渡 關月冷相隨.
물가의 구름 속을 낮게 몰래 건너는데 관문에 뜬 달이 차갑게 따라오네.
未必逢矰繳 孤飛自可疑.
반드시 주살을 만나진 않더라도, 홀로 날며 스스로 의심을 하네.
2.通釋
기러기의 몇몇 행렬이 모두 돌아간 빈 하늘에 낙오한 기러기의 한 조각 그림자가 떠가니 홀로 어디로 가는 것일까.
저녁 비가 내리는 밤하늘에서 잃어버린 무리를 찾아 부르면서 가을의 차가운 못에 내려앉으려다 머뭇거리며 다시 난다.
물가의 낮게 뜬 구름 속을 몰래 뚫고 지나는데, 관문 하늘에 뜬 차가운 달만이 저 외기러기의 뒤를 따른다. 사냥꾼의 주살을 꼭 만나지는 않더라도 홀로 날며 스스로 의심을 한다.
3.解題
기러기를 읊은 영물시로 〈孤雁〉 2수 중 두 번째 수이다.
무리에서 낙오한 외기러기의 情態를 상상의 수법과 서정적 묘사를 통하여 형상화하였다.
이 시는 작자의 고독한 처지를 우의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는데, 주살의 위협을 염려하는 마지막 구가 처세에 대한 고뇌를 암시한다는 점에서 설득력을 얻는다.
4.集評
○ 老杜云 誰憐一片影 相失萬重雲 此云 暮雨相呼疾 寒塘欲下遲 亦有味
老杜(杜甫)의 시에 “누가 한 조각 그림자를 불쌍히 여기랴. 만 겹의 구름 위에서 무리를 잃었네.[誰憐一片影 相失萬重雲]”라고 하였고, 이 시에서는 “저녁 빗속에서 잃은 무리 부르면서, 차가운 못에 내리려다 머뭇거리네.[暮雨相呼疾 寒塘欲下遲]”라고 하였는데 역시 맛이 있다.
而不及老杜之萬鈞力也 爲江湖孤客者 當以此尾句觀之 - 元 方回, 《瀛奎律髓》 卷27
그러나 노두가 발휘한 萬鈞의 공력에는 미치지 못한다. 강호의 외로운 객이라면 마땅히 이 시의 말구를 잘 살펴야 한다.
5.譯註
▶ 去 : ‘塞’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片影 : ‘念爾’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欲 : ‘獨’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相 : ‘遙’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矰繳 : 가는 줄을 매단 주살로 ‘微繳’이라고도 한다.
▶ 誰憐一片影 相失萬重雲 : 杜甫의 〈孤鴈〉 중 제3‧4구이다.
▶ 萬鈞 : 1균은 30근으로 매우 무거운 것을 뜻하는데, 여기서는 역량이 큼을 이른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8.章臺夜思〈장대야사〉-韋莊(위장) (0) | 2023.11.30 |
---|---|
167.春宮怨〈춘궁원〉-杜荀鶴(두순학) (2) | 2023.11.30 |
165.巴山道中除夜有懷〈파산도중제야유회〉-崔塗(최도) (0) | 2023.11.29 |
164.書邊事〈서변사〉-張喬(장교) (1) | 2023.11.29 |
163.楚江懷古〈초강회고〉-馬戴(마대) (0)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