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136尋南溪常山道人隱居〈南溪 常山道人의 隱居를 찾다〉-劉長卿(유장경)

耽古樓主 2023. 11. 25. 14:56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136尋南溪常山道人隱居〈南溪 常山道人의 隱居를 찾다〉-劉長卿(유장경)

 

一路經行處 莓苔見屐痕.
한 길이 지나가는 곳 이끼에는 나막신 자국이 보인다.

白雲依靜渚 春草閉閑門.
흰 구름은 고요한 물가에 기대 있는데 봄풀은 한가한 문을 덮고 있다.

過雨看松色 隨山到水源.
비가 지나간 뒤 소나무 빛을 보고 산을 따라 걸어가니 수원지에 이른다.

溪花與禪意 相對亦忘言.
시냇가 꽃에 禪意가 깃들어 있어 서로 마주보며 또 말을 잊는다.

 
 

2.通釋

 
도사가 있는 곳을 찾아가고자 하여 한 가닥 길이 난 곳을 따라가니이끼에는 나막신 자국이 보인다.
흰 구름은 고요한 물가에 어리어 있는데도인이 이 집을 떠난 지 오래되었는지 봄풀이 문을 덮고 있다.
비가 한 차례 내린 뒤라 깨끗하게 씻기어 더욱 푸르러진 소나무를 보고산길을 따라 걷다 보니 수원지에 이른다.
시냇가에 활짝 핀 꽃을 보니 마치 그 속에 神意가 깃들어 있는 것 같으니 서로 바라볼 뿐 다시 무슨 말을 전하리오.
 
 
 

3.解題

 

도인을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고 다만 그가 사는 곳의 경치를 보고 느낀 감회를 표현한 작품이다.
산수경관을 脫俗한 정취로 표현함으로써 情景融合의 높은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연과의 合一을 禪靜에 比擬함으로써 상산도인과 유장경의 정신적 교감을 표현하였다제목이 ‘尋南溪常道人隱居’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4.集評

 

○ 幽色滿抱 明 陸時雍《唐詩鏡》 卷29
그윽한 색채가 가득 차 있다.

 

 

 

5.譯註

 

▶ 南溪常山道人 南溪가 어디인지常山道人이 누구인지 미상이다. ‘常道人’ 또는 ‘常道士’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莓苔 莓 또한 이끼의 한 종류이다가 蒼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閉閑門 : ‘閉’는 풀이 자라 문을 덮고 있음을 뜻한다.
▶ 忘言 《莊子》 〈外物〉편에 “말이란 뜻에 있는 것이니뜻을 얻으면 말을 잊는다.[言者所以在意 得意而忘言]”라고 하였다여기서는 피차간에 서로 마음이 통하면 말로 전할 필요가 없다는 뜻으로꽃과 시인의 마음이 합치하였음을 표현한 것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