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137新年作〈새해에 짓다〉-劉長卿(유장경)

耽古樓主 2023. 11. 25. 14:58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137新年作〈새해에 짓다〉-劉長卿(유장경)

鄕心新歲切 天畔獨潸然.
고향 그리는 마음 새해 되니 간절해져 하늘가에서 홀로 눈물 흘리네.

老至居人下 春歸在客先.
늙도록 남의 밑에 있는데 봄은 객보다 먼저 돌아왔구나.

嶺猿同旦暮 江柳共風煙.
고개의 원숭이와 아침저녁을 함께하고 강가의 버들과 풍경을 함께하노라.

已似長沙傅 從今又幾年.
이미 長沙傅와 같아졌으니 지금부터 또 몇 해나 지낼는지.

 
 

2.通釋

 

자신이 타향에 폄적당한 것도 슬픈데새해 명절을 맞으니 더욱 처량해 멀리 떨어진 곳에서 고향을 그리며 눈물을 흘린다.
게다가 늙어서까지도 남의 아래에서 낮은 벼슬살이를 하는데봄은 먼저 고향으로 갔건만 나는 아직 돌아가지 못한 채 슬픔만 더해진다.
낯선 고장에서 아침저녁으로 매일 고개마루의 원숭이와 함께 지내는 것이 고작이고강가의 버들과 함께 풍경을 보면서 無情한 것들과 교유할 뿐이다.
한나라 때 참소받아 먼 곳으로 좌천된 賈誼와 똑같은 신세가 되었으니 돌아갈 기약 없어 몇 해나 또 보내야 하는지.

 
 

3.解題

 

이 시는 유장경이 大曆 12년(777) 약 52세 전후에 睦州司馬로 폄적되어 있을 때 쓴 작품으로 추정된다.
45세 무렵 시인은 租庸使란 직책을 맡게 된다.
안사의 난 이후 국가재정이 파탄난 상황에서 당나라의 재정은 실제 강남에서 떠맡고 있었으므로 중요한 자리였다.
이 자리에 있은 지 1년이 못 되어 당시 郭子儀의 사위인 卾岳觀察使 吳仲儒와 불화하게 되고 결국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로 옥살이를 하게 된다.
이 사건은 오중유의 장인으로 당시 권세를 잡고 있던 곽자의와유장경의 후원자로 곽자의와 경쟁관계에 있었던 元載 사이의 알력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일은 시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쳐 이를 계기로 사회현실을 반영한 시 세계에서 개인적인 심사를 토로하는 방향으로 시를 쓰게 된다.
中唐 시기에 일어난 이런 변화가 이 시에도 드러난다.
강개한 기세는 점차 약해지는 반면 애처로운 기세는 더욱 더해지게 되는데자신의 불만스러운 감정이 담겨 있다.
賈誼에게 자신을 가탁하는 마음은 다른 시인 〈長沙過賈誼宅〉을 통해 뚜렷이 알 수 있다.

 

 

 

4.集評

 

○ 三‧四佳 上句尤警策 淸 喬億《大曆詩略》
3‧4구가 아름다운데앞의 구(3구)가 더욱 警句이다.

○ 三‧四費無限思索乃能之 元 方回《瀛奎律髓》
3‧4구는 무한한 사색을 거쳐야만 얻을 수 있다.

○ 周王廷曰……客久滯他鄕 感時觸物 無有不傷悲者 篇中只春歸在客先一句 了却新歲鄕心 無限悽愴 勝人多多許 《詩選脈會通評林》
주왕정이 말하였다. “……좌천된 사람이 오랫동안 타향에 머무니 시절을 느끼고 사물에 촉발되어 상심하고 슬프지 않음이 없다시 가운데 다만 ‘春歸在客先’ 한 구는 마침내 새해가 되어 고향 그리는 마음이 무한히 애통하니 남들보다 매우 뛰어난 부분이다.”

○ 三‧四乃初唐之晩唐
3‧4구는 곧 초당시의 만당풍이다.
……(按……回收此詩爲宋作)
……(살피건대……방회는 이 시를 수습해 송지문의 작품이라고 했다.)
似從薛道衡人日思歸詩化出
薛道衡의 〈人日思歸〉 시로부터 변화하여 나온 것 같다.
三四二句 漸以心思相勝 非復從前堆垜之習矣
3‧4구 두 구는 점점 생각이 승해져 다시는 종전에 전고를 쌓아두기만 하는 풍조가 아니다.
妙於巧密而渾成 故爲大雅 淸 紀昀《瀛奎律髓刊誤》
정묘하고 치밀한 면에 뛰어나면서 혼연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大雅가 된다.

○ 三四雋甚 語何其鍊 明 陸時雍《唐詩鏡》
3‧4구는 몹시 뛰어나니말을 어쩌면 그리도 단련하였는가.

○ 劉長卿 體物情深 工於鑄意 其勝處 有逈出盛唐者
유장경은 사물을 체득하는 정이 깊고 뜻을 주조함에 공교로운데뛰어난 곳은 盛唐을 멀리 뛰어넘는 것이 있다.
黃葉減餘年 的是庾信王褒語氣
‘黃葉減餘年’은 바로 庾信과 王褒의 語氣이다.
老至居人下 春歸在客先 春歸句 何減薛道衡人日思歸語 明 陸時雍《詩鏡總論》
‘老至居人下 春歸在客先’에서 ‘春歸’ 구는 薛道衡의 〈人日思歸〉의 말보다 어찌 못하겠는가.

○ 老至二句 巧句 別于盛唐正在此 淸 沈德潛《唐詩別裁集》
‘老至居人下 春歸在客先’ 두 구는 공교로운 구이다성당과 다른 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5.譯註

 

▶ 新年作 이 작품은 《三體唐詩》《瀛奎律髓》 등에는 宋之問의 作으로 되어 있다《劉長卿集編年校注》에 이 시는 《全唐詩》 卷53에도 송지문의 시로 실려 있다송지문의 別集을 살펴봤지만 이 시는 보이지 않고《劉長卿集》 각각의 판본에 고르게 실려 있어 지금 이에 유장경의 작품으로 판단한다.[此詩全唐詩卷五三 又收作宋之問詩 按宋別集 不見此詩 而劉集各本均收之 今仍斷爲劉作]”고 하였고《劉長卿詩編年箋注》에는 “송지문의 시라 하기도 하는데 잘못된 것이다.[一作宋之問詩 誤]”라고 하였다.
▶ 切 고향을 그리는 마음이 절실하다는 뜻이다.
▶ 天畔獨潸然 유장경은 52세경에 湖南省의 睦州司馬로 좌천되었는데그곳이 長安에서 멀리 떨어진 남쪽 변방이기 때문에 ‘天畔’(하늘가)이라 말한 것이다. ‘潸然’은 눈물이 줄줄 흐르는 모양이다.
▶ 老至居人下 屈原의 〈離騷〉에 “늙음이 점점 이르려 하니 훌륭한 명성 세우지 못할까 두렵네.[老冉冉其將至兮 恐修名之不立]”라는 글귀가 보인다. ‘居人下’는 《舊唐書》 〈孫儒傳〉에 “대장부가 능히 만리 밖에서 괴롭게 싸우며 상벌을 자기 마음대로 하지 못하고 어째서 남의 아래에 있는가?[大丈夫 不能苦戰萬里 賞罰由己 奈何居人下]”라는 글에서 취한 것이다.
▶ 春歸在客先 봄이 자신보다 먼저 고향 땅에 돌아갔다는 뜻이다.
▶ 風煙 風光風景과 같은 말이다.
▶ 長沙傅 長沙王의 太傅인 賈誼를 가리킨다유장경이 자신의 신세를 나라 賈誼에게 비유한 것이다가의는 대신의 미움을 사서 참소를 당하고 長沙王의 太傅로 좌천되었다《劉長卿詩編年箋注》에는 “《史記》 〈賈誼傳〉을 살펴보면, ‘賈誼가 장사왕 태부가 된 지 3년이 되었다.’라고 하였는데여기서는 이 말을 인용하여 자기가 睦州로 貶謫된 지 이미 3년이 지났음을 말하고 있다.[按史記賈誼傳云爲長沙王傅三年 此用其言 謂己貶睦州已歷三年]”라고 하였다.
▶ 又幾年 貶謫생활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다는 뜻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