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135餞別王十一南游〈王十一을 南方으로 떠나보내며〉-劉長卿(유장경)

耽古樓主 2023. 11. 24. 09:18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135餞別王十一南游〈王十一을 南方으로 떠나보내며〉-劉長卿(유장경)

 

望君煙水闊 揮手淚霑巾.
그대 바라보니 안개 낀 물 광활하고 손을 흔드니 눈물은 수건을 적신다.

飛鳥沒何處 靑山空向人.
날아가는 새 어디로 사라졌는가 청산만 부질없이 사람을 대하네.

長江一帆遠 落日五湖春.
긴 강에 한 척의 배 멀리 떠가서 저물녘엔 五湖의 봄날이겠지.

誰見汀洲上 相思愁白蘋.
누가 알아줄까 물가 모래톱에서 그리움에 흰 마름 보며 수심에 잠기는 것을.

 
 

2.通釋

 
떠나가는 그대를 바라보니안개 낀 강물에 가로막혀 더욱 멀게 느껴진다.
나는 여기서 손을 흔들며 그대를 떠나보내는 슬픔에 눈물이 수건을 다 적실 정도이다.
날아가던 새는 어디로 자취를 감춘 것인가.
청산만이 그저 나를 마주하고 있다.
긴 강에 돛단배 한 척이 멀리 떠가서해질 무렵이면 봄빛 완연한 五湖에 도달하겠지.
모래톱에서 흰 마름을 바라보며 그대를 하염없이 그리워하는 나를 그 누가 알아줄 것인가.
 
 

3.解題

 

이 시는 친구를 송별하는 시이다.
1‧2구에서는 강가에서 이별하는 장면을 그려내었고, 3구에서 6구까지는 송별하는 장소의 경관과 아쉬운 이별의 정을 함께 묘사하였다.
특히 ‘飛鳥沒何處’는 친구가 멀리 떠나감을 암시하는 구절이며, ‘靑山空向人’은 친구를 떠나보내고 홀로 남겨진 시적 화자의 공허한 마음 상태를 잘 드러내는 구절이다.
마지막 7‧8구에서는 배를 타고 떠난 친구를 그리워하는 절절한 심정을 나타내었는데첫 구의 ‘望君’과 마지막 구의 ‘相思’는 서로 절묘한 호응을 이룬다.

 

 

 

4.集評

 

○ 隨州五言律詩 始收斂氣力 歸於自然 首尾一氣 宛如面語 吳喬 《圍爐詩話》
수주(劉長卿)의 오언율시는 처음에 기력을 수렴하여 자연스럽게 귀결되니首尾가 한 기운으로 이어져 완연히 마주 대하고 말하는 것과 같다.

 

 

 

5.譯註

 
▶ 餞別 연회를 베풀어 전송하는 것이다.
▶ 王十一 누구인지 未詳이다. ‘十一’이라는 것은 排行을 나타낸다.
▶ 煙水闊 이는 王十一이 배를 타고 南遊하려는데 안개 낀 강물이 遙遠하게 펼쳐진 모습을 말한 것이다.
▶ 飛鳥 여기서는 새처럼 멀리 떠나가는 왕십일을 지칭한다.
▶ 靑山空向人 벗은 멀리 떠나 보이지 않고靑山만 依舊한 모습으로 송별하는 사람을 부질없이 대하고 있다는 뜻이다.
▶ 落日五湖春 왕십일이 가는 곳이 남쪽이므로석양 무렵이면 五湖에 도착해서 봄을 즐기고 있으리라 상상한 것이다五湖는 太湖이다.
▶ 汀洲 물 가운데 있는 모래톱이다.
▶ 白蘋 흰 마름꽃이다. ‘蘋’은 마름인데수초의 일종으로 浮囊이 있어 물에 뜨며 여름과 가을 사이에는 흰 꽃이 핀다《爾雅》 〈翼釋草〉에 “蘋은 槐나무 잎과 비슷하며 얕은 물속에 서로 이어져서 자란다. 5월에 꽃이 피는데 흰색을 띄므로 ‘백빈’이라 이른다.[蘋似槐葉 連生淺水中 五月有華 白色 故謂之白蘋]”라 하였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