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123)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虛詞) 終终已 끝내 終은 始終[처음과 끝]이라고 할 때의 “끝”을 의미한다. 이 “끝”이라는 뜻으로부터 “죽는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이기도 하며, “끝마치다[完완]” “없어지다[盡진]”의 뜻도 가지고 있다. 부사로서 “끝내” “결국”을 의미한다. 한편 旣자와 같은 용법으로 “終A 且B” 형식으로 쓰여서 “旣A 且B[A할 뿐만 아니라 B하기도 한다]”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다만 終자가 旣자를 의미하는 용법은 《詩經》에 많이 보이며, 기타의 고서에서는 극히 드물게 보인다. (1) 終은 “온전한”이라는 뜻의 형용사로 쓰인다. 終朝采綠, 不盈一匊. 《詩經 小雅 采綠》 -온 아침 동안 왕골을 잘라도, 한 줌도 차지 않네. 竭四肢之力, 以任君之事, 終身不倦. 《墨子 尙賢中篇》 -온 힘을 다하..
한문의 허사(虛詞) 卒(하인)卒于 결국 “卒 하인 졸”은 부사로서 “마침내” · “결국”을 의미한다. 卒于[마침내, 결국]도 같은 뜻이다. 然卒破楚者, 此三人力也. 《史記 留侯世家》 -그러나 결국 초나라 항우 일당을 깨뜨린 세력은 이들 삼인의 힘이었다. 呂媼怒呂公曰:“公始常欲奇此女, 與貴人。沛令善公, 求之不與, 何自妄許與劉季?” 呂公曰: “此非兒女子所知也.” 卒與劉季. 《史記 高祖本紀》 -여공의 부인이 화를 내며 여공에게 말하기를: “당신은 예전부터 항상 우리 딸을 뛰어난 애라고 말하면서, 귀인에게 시집 보내겠다고 하고는, 당신과 사이가 좋은 ‘패현’의 현령과의 혼사는 마다하고, 어찌하여 劉季 같은 자에게 딸아이를 주기로 허락하셨습니까 ?” 여공이 말했다: “이것은 아녀자가 알 일이 아니다.” 결국 ..
한문의 허사(虛詞) 卒猝 갑자기 卒而 갑자기 卒然 갑자기卒은 두 가지 별개의 글자로 쓰인다. ① 卒은 부사로서 “갑자기”라는 뜻으로 쓰이며 “猝갑작스러울졸”자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 이 “갑자기”라는 뜻의 卒자와 猝자 뒤에는 然자를 덧붙여서 卒然, 猝然과 같이 쓰지만 뜻은 같다.② “卒하인졸”자도 역시 부사로서 “마침내” · “결국”을 의미한다. 卒于도 같은 뜻이다. 현대 중국어는 卒자의 두 가지 용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卒有不虞, 復當重賦百姓. 《後漢書 翟酺傳》-갑자기 뜻밖의 일이 발생하여, 또다시 백성들에게 세금을 중과할 수 밖에 없다.荊軻挾匕首卒刺陛下. 《文選 吳都賦注引上秦始皇帝書》-형가는 비수를 품고 있다가 갑자기 폐하를 찔렀다.卒有驚事, 中軍疾擊鼓者三. 《墨子 號令篇》-졸지에 경계할 일이 생..
한문의 허사(虛詞) 足足用 충분히 足以 충분히足은 ① “값에 상응하다.” ② “충분하다”라는 두 가지 뜻의 부사어로 사용된다. “足以”[충분히 …할 수 있다. …하기에 족하다]라는 단어로 많이 사용된다. 이 足자의 용법은 예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다. 足用이란 단어도 많이 쓰이는데 그 뜻은 足以와 같다. (1) 足은 “…할 가치가 있다” · “충분히”라는 뜻이다. 足以 · 足用도 같다.士志於道, 而恥惡衣惡食者, 未足與議也. 《論語 里仁》-선비가 도에 뜻을 두고서 나쁜 옷과 나쁜 음식을 부끄럽게 여긴다면, 그와 더불어 의논할 가치가 없다.荊軻曰: “此國之大事也. 臣駑下, 恐不足任使.” 《史記 刺客列傳》-형가가 말했다: “이것은 국가의 대사입니다. 신이 미력하여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지 두렵습니다.”河..
한문의 허사(虛詞) 諸其諸 아마도諸는 그 용법이 대단히 많다. ① 오늘날에도 쓰이는 諸位、諸同志에 있어서와 같이 수량형용사로 쓰인다. ② 之자와 같은 용법의 대명사로 쓰인다. ③ 于(於)와 같은 전치사(개사)로 쓰인다. ④ 兼詞로서 “之于(~의 정도에 이르다)” “之乎(~에 관해서는)” “之如(~으로 말하면)”와 같은 合音字를 나타낸다. 諸자가 合音字로 쓰이는 경우에는 저로 읽는다. ⑤ 助詞로서 부사의 어미로 쓰인다. (1) 諸는 수량형용사로 쓰여, “모든” · “여러”의 뜻을 나타낸다. 諸大夫皆曰賢, 未可也. 《孟子 梁惠王下》 -대부들이 모두 인재라고 말해도, 아직은 들어주지 마십시오. [모든 백성들이 모두 다 인재라고 말할 때 그를 채용하십시오.] 冒頓大怒, 曰: “地者, 國之本也, 奈何予之? 諸..
한문의 허사(虛詞) 第弟 아우 第令~ 일지라도 藉第令 설사~일지라도 第자와 弟는 동음이다. 고대인들은 이 두 개의 글자를 임의로 바꿔 썼다. (다만, 兄弟의 弟는 第자로 쓸 수 없고, 第宅[제택]의 第자를 弟자로 쓸 수 없다. 그러나 허사로 쓸 때는 임의로 바꿔 쓸 수 있다.) 위진 시기 이후에는 허사로 쓸 경우 일반적으로 第를 사용했으며, 弟는 쓰지 않았다. 부사, 접속사, 조사 등으로 쓰인다. (1) 第는 명령문에서 따로 고려할 필요가 없음을 표시한다. “얼마든지” · “마음 놓고” 陰使人至豨所, 曰: “第擧兵! 吾從此助公.” 《史記 淮陰侯列傳》 -비밀리에 사자를 진희에게 보내 말했다: “마음 놓고 군사를 일으키시오! 나는 여기서 그대를 도울 것이오.” 君弟重射! 臣能令君勝. 《史記 孫吳列..
한문의 허사(虛詞) 竊竊은 부사로 쓰이며 두 가지 용법이 있다. ① “암암리에” “은밀히” “몰래”의 의미로 쓰이고, ② 고대인들이 자기를 크게 드러내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신 또는 자신의 의견을 낮추어서 “저”, “저의 의견”이라는 의미로 쓰였다. 두 번째 용법은 현대 중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1) 實義的 의미로서의 竊 : “암암리에” “은밀히” “몰래” 叔孫通之降漢, 從儒生弟子百餘人, 然通無所言進, 專言諸故羣盜壯士進之. 弟子皆竊罵. 《史記 叔孫通列傳》 -숙손통이 한나라에 항복했을 때, 따르는 유생과 제자가 백여 명이었는데, 숙손통은 선비 중 어느 누구 한 사람도 한나라 왕에게 추천하여 벼슬길을 열어주지 않고, 도적이나 장사치들만 추천했다. 그래서 제자들은 뒤로 숙손통을 욕했다. 齊使者如梁..
한문의 허사(虛詞) 旃“旃이전”은 세 가지 용법이 있다. ① “之”에 해당하며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고 동사의 목적어로서만 쓰인다. ② 명령문의 끝에 쓰여 권유의 어기를 돕는다. ③ 세 번째로는 지언(之焉)이라는 합음사로서 대명사인 “之”와 조사인 “焉”의 합음으로 “之”는 목적어가 되고 “焉”은 충고 및 반문의 어기를 돕는다. (1) “旃이 전”은 대명사로서 사람과 사물을 가리킨다. “이 · 이것” “그 · 그것”初, 虞叔有玉, 虞公求旃, 不獻. 《左傳 桓公10年》-옛날에 우숙에게 보옥이 있었는데, 우공이 그것을 요구해도 헌상하지 않았다.上愼旃哉! 《詩經 衛風 陟岵》-부디 몸조심하십시오! (2) 旃은 때로는 명령문의 끝에 쓰여 권유의 어기를 돕는다.願勉旃! 毋多談! 《楊惲: 報孫會宗書》-이처럼 노력하고..
한문의 허사(虛詞) 適(오로지)“適다만 적”자의 본음은 “括묶을괄”[kuò]자였으나 이후 각각 별도의 글자가 되었다. 다만 括는 “適맞을적”자의 간체자로 쓰였다. 고대에는 이 글자는 두 가지 음으로 읽혔는데 일반적으로는 [shì]로 읽혔고 다른 하나는 “오로지”의 뜻으로 쓰일 때는 “嫡아내적”자와 같은 음인 [dí]로 읽혔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는 이 글자를 “적”으로 읽되, 별도의 글자로 취급하기로 한다. (1) “適오로지적”은 부사로 쓰이며 “오로지”로 해석한다.一國三公, 吾誰適從? 《左傳 僖公5年》-한 나라에 임금이 셋이니, 나는 오로지 누구를 따라야 하는가?楚執政衆而乖, 莫適任患. 《左傳 昭公30年》-초나라는 정권을 잡은 무리들이 서로 사이가 벌어져, 전적으로 환난을 책임질 자가 없습니다.
한문의 허사(虛詞) 適適會 때마침 “適맞을적”은 실사로서 “가다” “시집가다” “적합하다” 등의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논하지 않는다. 허사로서는 부사로 쓰여 “때마침”이라는 뜻으로 쓰였고, 오늘날에도 “適逢其會”[때마침 좋은 기회를 만나다.]라는 성어에 그 뜻이 남아 있다. (1) 適은 두 가지 일이 시간상으로 꼭 맞음을 나타낸다. 때로는 適會라는 두 글자로 쓰기도 한다. “때마침” · “공교롭게” 夫身中大創十餘, 適有萬金良藥, 故得無死. 《史記 魏其武安侯列傳》-관부 자신도 몸에 십여 군데의 큰 상처를 입었는데, 때마침 만금의 가치가 나가는 좋은 약이 있었으므로 죽음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此時魯仲連適游趙. 《史記 魯仲連列傳》-노중련이 조나라로 유세하러 온 것은 마침 이때였다. 僕懷欲陳之而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