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247.何滿子(하만자)-張祜(장호)

耽古樓主 2023. 12. 14. 17:35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何滿子〈하만자〉
-張祜(장호)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고향은 삼천 리 깊은 궁궐에서 이십 년.

一聲何滿子 雙淚落君前.
한 가락 하만자 소리에 두 줄기 눈물 임금 앞에 떨어진다.

 
 

2.通釋

 

고향으로부터 삼천 리나 떨어진 궁궐 깊은 곳에 갇혀 20년을 살아왔다.
宮女의 恨을 노래한 하만자의 노랫소리 한 가락 들으니군왕 앞에서 두 줄기 눈물이 흐른다.

 
 

3.解題

 

이 시는 제목이 〈宮詞 二首〉로 전하기도 하는데두 수 중 첫 번째 작품이다.
고향을 떠나 궁중에 갇혀 사는 궁녀의 원한을 표현하였다.
삼천 리는 공간적 거리를이십 년은 시간적 거리를 뜻하는데단순한 數字로 궁녀의 원한을 표출하였다.
또한 3‧4구는 ‘하만자’ 곡조를 武宗 앞에서 부르다 창자가 끊어져 죽은 孟才人의 고사를 통하여 ‘하만자’곡이 상징하는 궁녀의 원한을 극명하게 표출하였다.
비록 20자의 단편이지만 고향으로 돌아갈 수도 없고 나이가 들어 왕의 총애를 받을 수도 없는 궁녀의 참담한 처지를 형상화한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장호가 무종과 맹재인의 고사에 감화되어 시를 지었다는 사실은 《唐詩紀事》(卷52)에 나오는데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武宗의 병이 위중해지자孟才人을 지목하며 ‘내가 죽으면 너는 어떻게 하겠느냐?’라고 묻자그녀는 생황 주머니를 가리키며 울면서 말하기를 ‘이것으로 목을 매고자 합니다.’라고 하였다.
무종이 근심스러워하자 다시 말하기를 첩이 일찍이 익힌 노래가 있는데 청컨대 上의 앞에서 한 곡 불러 그 근심을 풀고자 합니다.’라고 하였다.
무종이 허락하자이에 하만자 한 곡을 불렀는데氣가 다하여 그 자리에서 죽었다.
무종이 의원에게 살펴보게 하니의원이 말하기를 ‘맥은 아직 따뜻하나 창자가 이미 끊어졌습니다.’라고 하였다.
무종이 죽었을 때관이 무거워 움직일 수 없었는데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맹재인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냐?’라고 하였다.
이에 그녀의 관을 가져오도록 명하여관이 이르자 무종의 관이 움직였다.
장호가 맹재인을 위하여 탄식하고에 쓰기를 ‘재인은 진심으로 인해 죽었고上은 진심으로 인해 명을 내렸으니비록 옛 시대에 의로움에 격양된 것도 이보다 더할 수 없다.’라고 하고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그녀의 노래와 자태로 인하여 교태로운 모습을 노래하였더니 궁중에 전파되어 열두 해 봄이 되었네한 곡조 하만자를 노래한다면 황천의 맹재인을 조문해야 하리라.’[武宗疾篤 目孟才人曰 吾卽不諱 爾何爲哉 指笙囊泣曰 請以此就縊 上憫然 復曰 妾嘗藝歌 請對上歌一曲 以泄其憤 上許 乃歌一聲河滿子 氣極立殞 上令醫候之 曰脈尙溫而腸已斷 帝崩 柩重不可擧 或曰非俟才人乎 爰命其櫬 櫬至乃擧 祜爲孟才人嘆 序曰 才人以誠死 上以誠命 雖古之義激 無以過也 歌曰 偶因歌態詠嬌嚬 傳唱宮中十二春 却爲一聲河滿子 下泉須弔孟才人]”

 

 

 

4.集評

 

○ 張祜詩曰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一聲何滿子 雙淚落君前
장호의 시에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一聲何滿子 雙淚落君前”이라고 하였다.
按唐武宗疾篤 孟才人以歌笙密侍左右 上目之曰 吾當不諱 爾何爲哉 才人泣曰 請就死 乃歌一聲何滿子 氣亟立殞
살펴보건대나라 武宗이 병이 위중해지자 孟才人이 노래와 생황으로 좌우에서 가까이 모셨는데이 그녀를 지목하며 말하기를 “내가 죽는다면 너는 어찌 하겠느냐?”라고 하자재인이 울면서 말하기를 “곧 죽기를 바랍니다.”라고 하고곧 하만자 한 곡을 부르다가 氣가 다하여 그 자리에서 죽었다.
詩語蓋紀此事也
장호의 詩語는 대개 이 일을 기록한 것이다.
何滿子 樂府曲名 本人名也
하만자는 樂府의 곡명으로 본래는 인명이다.

○ 祜宮詞云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一聲河滿子 淸淚落君前 祜蓋有爲而發也
張祜의 宮詞에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一聲河滿子 淸淚落君前”이라고 하였으니장호는 대개 까닭이 있어 이것을 지은 것이다.
按 何孟春餘冬序錄 唐文宗甘露事後 不樂往往瞠目 獨語曰 須殺此輩
살펴보건대何孟春의 《餘冬序錄》에 “唐 文宗이 甘露의 사변이 있은 뒤에 기분이 좋지 않아서 왕왕 눈을 부릅뜨며 홀로 말하기를, ‘모름지기 이놈들을 죽여야 한다.’고 했다.
後賦詩曰 輦路生春草 上林花滿枝
뒤에 시를 지어 말하기를, ‘輦 가던 길에 봄풀이 우거지고상림 숲엔 꽃이 가지에 가득하구나.
憑高無限意 無復侍臣知
높은 곳에 기대 있는 한없는 뜻侍臣 중 다시 알 사람이 없네.[輦路生春草 上林花滿枝 憑高無限意 無復侍臣知]’라고 하였다.
翌日觀牧丹 誦賦吟罷 始憶舒元輿之詞 歎息泣下
이튿날 모란꽃을 구경하고 를 외고 나서 비로소 舒元輿의 詞를 기억하며 탄식하고 눈물을 흘렸다.
因命作樂聊自適
그리고 악곡을 만들도록 하여 스스로 위안하려 했다.
宮人沈翹翹者歌何滿子 有浮雲蔽白日之句 其聲宛轉 上因欷戱問曰 汝知之耶
宮人 沈翹翹란 자가 하만자를 노래하는데, ‘뜬구름이 밝은 해를 뒤덮었다.[雲蔽白日]’라고 한 구절이 있어 그 소리가 완연하므로 이 그 노래를 듣다 탄식하며 묻기를 ‘네가 어떻게 이 시를 아느냐?
此文選古詩第一首 蓋忠臣爲奸邪所蔽也 乃賜金臂環 問其從來 則吳元濟女也 自陷掖庭 易姓沈氏 配樂籍
이 시는 《文選》의 古詩 첫째 수인데 충신이 간사한 무리들에게 가려진 것을 말한 것이다.’ 하고 드디어 금팔찌를 하사하며 그 내력을 물은즉 ‘吳元濟의 딸인데 掖庭에 들어오면서부터 성을 심씨로 바꾸고 樂府에 배속되었다.’고 하였다.
又秦曰 妾本藝方響 乃白玉也 搥則響 犀爲之
그녀는 또 아뢰기를 첩은 본래 方響을 배웠는데白玉이라 두드리면 소리가 되고犀革으로 만들었사옵니다.
願賜妾 帝命賜之
원컨대 첩에게 하사하여 주시옵소서.’ 하므로 帝는 명하여 주게 하였다.
旣至命奏凉州曲 音韻淸越 聽者無不凄然
악기를 가지고 들어오자 명하여 〈涼州曲〉을 연주하였는데 音韻이 밝고 빼어나서 이를 듣고 슬퍼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하였다.
今以此說較之無不沕合
지금 이 설로써 비교해보면 합치되지 않는 것이 없다.
必是祜當時見有此事而作也
필시 장호가 그 당시에 이러한 일이 있음을 보고서 지었을 것이다.

○ 故國指淮蔡也
故國은 淮‧蔡를 가리킨다.
自元濟敗至甘露變後 亦爲二十餘年矣
오원제가 패한 뒤로부터 감로의 사변 이후까지가 역시 20여 년이 된다.
芝峯類說云 唐武宗疾篤 孟才人以歌笙密侍左右
《지봉유설》에 당나라 武宗의 병이 대단히 위독하자 孟才人이 노래와 생황으로써 친밀히 좌우에서 모시었다.
上目之曰 吾當不爲諱
이 그녀를 지목하며 말하기를 ‘나는 의당 살지 못할 것이다.
何爲哉 才人泣曰 請就死 乃歌一聲何滿子 氣亟立殞
너는 어찌하겠느냐?’ 하자재인은 울며 아뢰기를 ‘청컨대죽음에 나아가겠습니다.’ 하고 드디어 한 가락 하만자를 노래하다가 氣가 막혀서 그 자리에서 죽었다.
張詩卽此事也 此則不然
장호의 시는 바로 이 일을 두고 이른 것이다.” 하였으나이는 옳지 않다.
孟才人所歌卽張祜詠沈翹翹詩 而氣亟立殞
맹재인이 노래한 것은 곧 장호가 심교교를 두고 읊은 시였는데기가 막혀서 당장에 죽었다.
故祜詩又云 却爲一聲河滿子 下泉湏吊舊宮人 則祜之宮詞指沈翹翹 而非孟才人矣
그러므로 장호의 시에 또 “한 가락 하만자를 노래한다면황천의 옛 궁인을 조상해야 하리라.[却爲一聲河滿子 下泉須弔舊宮人]” 하였으니장호의 궁사는 심교교를 가리킨 것이요맹재인은 아니다.
何滿子者曲名 白樂天云 滄州人 姓何名滿
하만자는 곡의 명칭인데白樂天은 말하기를 滄州 사람인데성은 河요이름은 滿이다.
開元中犯罪 繫獄中撰此曲
開元 연간에 죄를 범하여 옥중에 갇혀 있으면서 이 곡을 지었다.
鞫獄者愍之 爲奏 明皇不許 竟坐 -朝鮮 李瀷,《星湖僿說》卷26〈經史門河滿子〉
옥사를 심문하는 자가 불쌍하게 여겨 明皇에게 아뢰었으나허락하지 아니하여 마침내 죄를 받았다.”고 하였다.

○ 祜有觀獵詩幷宮詞 白傅稱之 宮詞云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一聲何滿子 雙淚落君前
장호의 〈觀獵〉 와 〈宮詞〉는 白傅가 칭송한 작품인데〈궁사〉에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一聲何滿子 雙淚落君前”이라고 하였다.
小杜守秋浦 與祜爲詩友
小杜(杜牧)가 秋浦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장호와 더불어 詩友가 되었다.
酷愛祜宮詞 贈詩曰 如何故國三千里 虛唱歌詞滿六宮 -宋 阮閱,《詩話總龜》卷4
두목이 장호의 〈궁사〉를 매우 애호하여 지어준 시에 “故國三千里라는 노래는 어떠하기에헛되이 부른 가사가 여섯 궁전을 가득 채웠는가.”라고 하였다.

○ 祜詩云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杜牧賞之作詩云 可憐故國三千里 虛唱歌詞滿六宮
장호의 시에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이라고 하였는데 杜牧이 칭송하여 시를 짓기를 “가련하도다.
고국 삼천 리의 노래그저 부른 가사가 여섯 궁전을 가득 채웠네.[可憐故國三千里 虛唱歌詞滿六宮]”라고 하였다.
故鄭谷云 張生故國三千里知者 唯應杜紫微
그러므로 鄭谷이 말하기를 “張生(張祜)의 故國三千里라는 노래를 아는 자는 오직 응당 杜紫微(杜牧)가 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諸賢品題如是 祜之詩名 安得不重乎
제현들이 시를 품평한 것이 이와 같으니장호의 시명이 어찌 귀중하지 않겠는가?
其後有解道澄江淨如練 世間唯有謝玄暉 解道江南斷腸句 世間唯有賀方回等語 皆祖其意也 -宋 葛立方,《韻語陽秋》卷4
그 후에 ‘맑은 강은 깨끗하기가 비단과 같다.[澄江淨如練]’는 시를 아는 자는 세상에 오직 謝玄暉만이 있고,‘강남에 창자가 끊긴다.[江南斷腸]’는 구절을 아는 자는 세상에 오직 賀方回(賀鑄)만이 있다는 등의 말은 모두 정곡이 말한 뜻을 본받은 것이다.

○ 樂天云 河滿子 開元中滄州歌者
백낙천이 말하기를 하만자는 開元 연간에 滄州의 노래하는 사람이었다.
臨刑 進此曲 以贖死 竟不得免 白樂天爲詩曰 世傳滿子是人名 臨就刑時曲始成
처형을 당할 때 이 곡을 바쳐 죽음을 대속하고자 하였으나 마침내 죽음을 면하지 못하였다.”라고 하고는백낙천이 시를 지어 말하기를 “세상에 전하는 만자는 사람의 이름이었으니형장에 나갈 때 비로소 이 곡이 완성되었네.
一曲四詞歌八疊 從頭便是斷腸聲
한 곡조 네 구절여덟 첩으로 부르니첫머리부터 줄곧 애끊는 소리라네.[世傳滿子是人名 臨就刑時曲始成 一曲四詞歌八疊 從頭便是斷腸聲]”라고 하였다.
張祜集載
장호의 문집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武宗疾篤 孟才人以歌笙獲寵 密侍左右
武宗이 병이 위중해지자 孟才人이 노래와 생황으로 총애를 얻어 좌우에서 가까이 모셨다.
上目之曰 吾當不諱 爾何爲哉 才人指笙囊泣曰 請以此就縊 復曰 妾嘗藝歌 願歌一曲
이 그녀를 지목하며 말하기를 “내가 죽는다면 너는 어찌 하겠느냐?”라고 하니재인이 생황의 주머니를 가리키며 울면서 말하기를 “이것으로 목을 맬 것입니다.”라고 말하고또 “첩이 일찍이 노래를 익혔는데 원컨대 한 곡을 부르고 싶습니다.”라고 하였다.
上許之 乃歌一聲河滿子 氣亟立殞
上이 허락하니 곧 한 곡조의 하만자를 부르다가氣가 다하여 그 자리에서 죽었다.
上令醫候之 曰脈尙溫而腸巳絶 則是河滿子眞能斷人腸者
上이 의원에게 명하여 살펴보게 하니의원이 말하기를 “맥은 아직도 따뜻한데창자는 이미 끊어졌습니다.”라고 하였으니하만자는 진실로 사람의 애를 끊을 수 있다.
祜爲詩云 偶因歌態詠嬌頻 傳唱宮中十二春
장호가 시를 짓기를 “그녀의 노래와 자태로 인하여 교태로운 모습을 노래하였더니 궁중에 전파되어 열두 해 봄이 되었네.
却爲一聲河滿子 下泉須弔舊才人
한 곡조 하만자를 노래한다면 황천의 옛 재인에게 조문해야 하리라.”라고 하였다.
又有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一聲河滿子 雙淚落君前之詠
또 ‘故國三千里 深宮二十年 一聲河滿子 雙淚落君前’이라는 시가 있다.
一稱十二春 一稱二十年 未知孰是也
한 번은 ‘十二春’이라 하고한 번은 ‘二十年’이라고 하였으니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다.
杜牧之有酬祜長句 其末句云 可憐故國三千里 虛唱歌詞滿六宮 言祜詩名如此而惜其不遇也
杜牧之(杜牧)가 장호의 작품에 창수한 장편의 시가 있는데그 말구에 “가련하구나고국삼천리의 노래헛되이 부른 가사가 여섯 궁전을 가득 채웠네.”라고 한 것은 장호의 시명이 이와 같았음을 말하여 그의 불우함을 안타까워한 것이다.
元微之嘗於張湖南座爲唐有態作何滿子歌云 梨園弟子奏明皇 一唱承恩羈網緩
元微之(元稹)가 일찍이 〈張湖南座爲唐有態作何滿子歌〉에서 “梨園의 제자들이 明皇(唐 玄宗)에게 곡을 연주하니한 번의 노래로 승은을 입어 기강이 느슨하여졌다네.
使將何滿爲曲名 御譜親題樂府纂
장차 하만자로 곡명을 삼으니御譜에 친히 제목을 붙여 악부를 편찬하였네.
魚家入內本領絶 葉氏有年聲氣短
魚家에서 궁궐로 들어올 때 원래 절구를 짓도록 하였는데葉氏는 나이가 있어 소리의 기운이 짧았네.”라고 하였다.
又敍製曲之因與樂天之說同 -宋 葛立方,《韻語陽秋》卷15
또 곡을 들게 된 이유가 서술되어 있는데 백낙천의 설과 같다.

○ 體小詩 聲唱流美 頗諧音調
宮體의 단편시로 가창의 소리가 유려하여 자못 음조가 조화롭다.
中唐以後詩人 如處士者裁思精利 安可多得 -明 徐獻忠,《唐詩品》
중당 이후의 시인 중에 처사(장호)와 같이 구상이 정교한 사람을 어찌 많이 구할 수 있겠는가.

○ 滿子其聲最悲
하만자는 그 소리가 가장 슬프다.
樂天詩云 一曲四辭歌八疊 從頭便是斷腸聲 此詩更悲在上二句
백낙천의 시에 “한 곡조 네 구절여덟 첩으로 부르니첫머리부터 줄곧 애끊는 소리라네.”라고 하였는데이 시는 앞의 두 구가 더욱 슬프다.
如此而唱悲歌 那禁淚落 -淸 宋顧樂,《唐人萬首絶句選》
이와 같이 슬픈 노래를 부르는데어찌 떨어지는 눈물을 금할 수 있겠는가.

 

 

 

5.譯註

 

▶ 張祜 생몰년이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자는 承吉이며淸河(현재 河北省 鋸鹿 부근사람이다.
長慶 연간에 令狐楚에게 추천을 받기도 하는 등 관직을 얻을 기회가 있었으나 끝내 실패하고 淮南에서 은거하다 삶을 마쳤다.
宮詞로 유명하며《張處士詩集》이 전한다.
▶ 故國 고향을 지칭한다.
▶ 何滿子 당나라 현종 때 유명한 가수의 이름에서 유래한 곡조의 이름이다.
白居易가 지은 〈廳歌六絶句〉 제5수 ‘何滿子’의 詩序에 개원 연간의 滄州의 가수 何滿子가 처형을 당할 때 이 곡을 바쳐 죽음을 대속하고자 하였으나 끝내 죽음을 면하지 못하였다.[開元中 滄州有歌者何滿子 臨刑 進此曲以贖死 竟不得免]”라고 하였다.
또한 蘇鶚의 《杜陽雜編》에는 文宗 때 궁인 沈阿翹가 임금을 위하여 何滿子舞를 추었는데시어와 자태가 모두 아름다웠다.[文宗時 宮人沈阿翹 爲上舞何滿子 調辭風態 率皆宛暢]”라고 하였다.
후대에는 詞牌名으로도 쓰였다.
▶ 甘露의 사변 唐 文宗 때 재상 李訓‧王涯 등이 宦官을 살해할 계책을 세웠다 발각되어 처형된 사건을 지칭한다.
金吾廳 뒤 석류나무에 甘露가 있다고 고하여 환관들을 유인하였기에 감로지변이라고 칭한다.
▶ 方響 악기의 하나로상하 2단으로 된 틀에 장방형의 철판을 각각 8개씩 드리우고 2개의 채로 쳐서 소리를 낸다.
▶ 白傅 당나라 때 太子少傅를 지낸 白居易를 가리킨다.
▶ 맑은……있고 玄暉는 南齊의 시인인 謝脁의 字이다.
그가 지은 〈晩登三山還望京邑〉 시에 “남은 노을은 흩어져 비단을 이루고깨끗한 강물은 맑기가 비단결 같다.[餘霞散成綺 澄江淨如練]”라는 시구로 유명한데李白은 〈金陵城西樓月下吟〉에서 “맑은 강은 깨끗하기가 비단과 같다는 표현 알겠으니사람으로 하여금 길이 사현휘를 회상하게 하네.[解道澄江淨如練 令人長憶謝玄暉]”라고 하였다고 한다.
謝玄暉는 남조시대에 시로 유명한 문인으로 謝靈運謝惠連 등과 더불어 ‘三謝’로 칭해진다.
오언시에 뛰어났다고 전한다.
▶ 강남에……있다 賀方回의 〈靑玉案曲〉 중 ‘彩筆新題斷膓’ 句가 유명한데황정견이 〈寄賀方回〉에서 ‘解作江南斷腸句 只今惟有賀方回’라고 한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賀方回는 북송시대 문인으로본명이 賀鑄인데 ‘慶湖遺老’라고 자호하였으며《東山樂府》를 남겼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