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192.詠懷古跡 其三〈영회고적 기삼〉-杜甫(두보)

耽古樓主 2023. 12. 5. 00:49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詠懷古跡 其三〈옛 자취를 읊으며 심회를 적다 세 번째 시〉
-杜甫(두보)

群山萬壑赴荊門 生長明妃尙有村.
뭇 산 온 골짝이 荊門으로 달려가는 곳에 明妃가 나서 자란 마을이 아직도 있다.

一去紫臺連朔漠 獨留靑塚向黃昏.
紫臺를 한번 떠나 북녘 사막으로 갔었는데 푸른 무덤만이 남아 황혼을 향해 있다.

畫圖省識春風面 環珮空歸月下魂.
그림으로는 봄바람 같은 얼굴 알 수가 없었기에 環珮만 달 아래 혼이 되어 허망하게 돌아왔다.

千載琵琶作胡語 分明怨恨曲中論.
천년 동안 비파에 담긴 오랑캐의 말 분명 그 곡조에는 원한을 이야기하고 있으리.

 
 

2.通釋

 

모든 산과 골짜기가 荊門으로 달려가는 곳에明妃 왕소군이 태어나서 자란 귀주의 한 마을이 지금도 남아 있다.
황궁에서 북녘 사막으로 이어진 길을 한번 떠난 뒤다시 돌아오지 못한 그녀는 사시사철 푸른 풀이 돋아 있는 무덤이 되어 지금 저 황혼을 바라보고 있을 터이다.
화공이 그린 못생긴 얼굴로 인하여 흉노로 보내어져 그곳에서 한을 품고 죽었지만죽어서도 나라를 그리워하여 달 아래 혼이 되어 環珮 소리 짤랑이며 돌아왔다.
천년 전 왕소군이 비파를 타며 오랑캐 말로 부른 노래는 지금도 분명히 그녀의 원한을 말하고 있으리라.

 
 

3.解題

 

왕소군의 고향집이 있는 明妃村에서 그녀를 회상하며 지은 시이다.
북방 이민족에 대한 화해정책의 희생양으로 비극적 운명을 살다 간 왕소군의 일대기가 제3구부터 제8구까지 42자에 함축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그녀가 남긴 ‘무덤’과 ‘환패’와 ‘노래’를 통하여부조리한 현실로 인해 황제를 모시지 못하고낯설고 머나먼 북쪽 흉노족에게 시집을 가서 끝내 귀환을 허락받지 못하고 이국땅에서 잠든 원한이 매우 선명하게 중첩되어 표현되어 있다.
杜甫가 懷才不遇한 자신의 처지를 기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李白白居易李商隱王安石 등 수많은 시인들이 이 고사를 소재로 시를 지었고〈昭君出塞圖〉라는 그림에는 왕소군이 오랑캐의 복장에 말을 타고 손으로 비파를 끌어안고 있는 모습이 전한다.

 

 

 

4.集評

 

○因昭君村而悲其人
昭君村으로 인해 왕소군을 슬퍼하였다.
昭有國色 而入宮見妒
소군은 당대 가장 아름다운 여인으로 궁에 들어가서 시기를 받았다.
公亦國士 而入朝見嫉 正相似也 悲昭以自悲也
공 역시 나라의 뛰어난 선비로 조정에 들어가서 질투를 받아 정말 서로 같은 처지였으니소군을 슬퍼하여 자신을 슬퍼한 것이다.
紫臺用江淹賦中語 猶云紫禁
‘紫臺’는 江淹의 에 나오는 말을 쓴 것으로 ‘紫禁’과 같은 말이다.
連今作㜕締姻也
‘連’은 오늘날 ‘㜕’이라고 쓰는데 혼사를 맺는다는 뜻이다.
旣連朔漠 而冢留獨靑 知其雖死不忘故土也
북쪽의 사막으로 시집간 뒤에 무덤이 남아 홀로 푸르니그녀가 비록 죽어도 옛 고향 땅을 잊지 못함을 알 수 있다.
至今畵圖 可識者乃其面耳 不識魂猶南歸 深夜月明 若聞環佩之聲焉
지금까지 남아 있는 그림은 그녀의 얼굴만을 알 수 있을 뿐그녀의 혼이 남쪽으로 오고 싶어 하는지는 알 수 없는데이 시에서는 깊은 밤 달 밝을 때면 마치 그녀의 환패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月夜當作夜月 不但對春風 而與夜月具來 意味逈別
‘月夜’는 ‘夜月’이 되어야 하니, ‘春風’과 대구가 될 뿐만 아니라달은 밤과 함께 와야 의미가 더욱 분명해지기 때문이다.
千歲猶存琵琶 猶存胡中之語 蓋寫此怨恨于曲中 而人當自解也 -明 王嗣奭,《杜臆》卷8
천년 후에도 비파가 남아 있고 오랑캐 땅의 언어가 남아 있으니대개 그녀의 원망이 노래에 담겨 있음을 사람들은 스스로 이해할 것이다.

○ 詠明妃 爲千古負才不偶者十分痛惜
明妃를 읊은 것은 천고에 재주를 품고 있으면서도 불우한 자를 위해 매우 애통해하며 안타까워한 것이다.
前解 欲說荊門有明妃村
전반부에 대한 풀이:형문에 明妃村이 있다는 사실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先看群山萬壑句 用形家尋龍向穴之法 大奇
먼저 ‘群山萬壑赴荊門’의 구를 보면그 집을 묘사한 것이 큰 용이 굴을 향해 가는 법을 썼으니대단히 기이하다.
盖聳起則爲山 跌下則爲壑 聳起則又爲山 無量劫來 天地如此浩浩也
대개 위로 솟으면 산이 되고 아래로 내달리면 계곡이 되었다가 솟으면 다시 산이 되는데끝없이 이어지니 천지는 이와 같이 넓고 넓은 것이다.
于其間有楚 楚山楚水 起伏無數 遙遙直走千里萬里 而後有荊門 而後荊門有村 而後村中有明妃
그 사이에 초나라가 있고초나라의 산과 강이 수없이 기복을 일으키며 아득히 천리만리를 곧바로 달려 나가니그 뒤에 형문이 생겼고그 뒤에 형문의 마을이 생겼고그 뒤에 마을에서 명비가 태어난 것이다.
然則此明妃 其爲天地間氣特鍾可知
그러한즉 명비는 천지간의 기운이 특별히 모여 태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今明妃往矣 村則尙有
지금 명비는 떠나갔지만그 마을은 아직 남아 있다.
尙有村者 言但有村而已矣
‘尙有村’이라고 한 것은 다만 마을만 남아 있다는 뜻이다.
三四承上村字 言明妃當日雖生長此村 而後不復爲村有者 爲入漢宮也 乃至明妃旣入漢宮 幷不復爲漢宮有者 則爲去紫臺也
3‧4구는 ‘村’자를 이어명비가 당시에 비록 이 마을에서 나고 자랐지만 그 후에 마을에 있지 못하고 한나라 궁실로 들어갔고명비가 한나라 궁실에 들어간 뒤에는 또 한나라 궁실에 있지 못하고 황궁을 떠났음을 말하였다.
夫明妃而去紫臺 明妃之踪迹尙可問也
무릇 명비로서 단순히 황궁을 떠나갔다면 그 자취를 물을 수 있을 것이다.
明妃去紫臺 遂連朔漠 明妃之踪迹則不可問也
그러나 명비가 황궁을 떠나 마침내 북녘의 사막으로 갔기 때문에그 종적을 물을 수 없게 되었다.
嗚呼 其骨旣朽 其冢猶靑 絶代佳人 湮沒于此
오호라그녀의 뼈는 이미 썩고 무덤만이 아직도 푸르니 절세가인이 여기서 사라졌다.
視當年生長之難 辜負多少
당년에 어렵게 생장한 것에 견주어보면 너무나 외면당하고 있는 것이다.
後解 從上轉下 轉出從來棄才之主一面照膽鏡來
후반부에 대한 풀이:위 구절을 이어 아래 문장으로 전환한 시로종래 재주 있는 신하를 버린 군주의 일면을 腸腑를 비추는 거울로 묘사한 것이다.
眞才貴于確知確見 原無按圖索駿之事
진정한 才人은 확고한 식견으로 인하여 귀하게 되니그림을 보고 준마를 찾는 일 따위는 없다.
況元帝以漢天子擇美婦人 則後庭春風之面 何難一一盡見 一一盡識
하물며 元帝가 한나라의 천자로서 아름다운 부인을 택할 때後庭의 봄바람 같은 얼굴들을 하나하나 모두 보고 하나하나 알아보는 것이 무엇이 어렵겠는가.
而顧憑賤工之手以爲進退 可鄙也
그런데도 미천한 화공의 손에 맡겨 선택하였으니비루하다 할 만하다.
探帝之意 不過爲後宮充斥 欲盡識其面 其數何啻千萬
원제의 마음을 헤아려보면 후궁을 충원하는 것에 불과하니그 얼굴을 모두 보고자 하였다면 그 수가 어찌 천만 명뿐이겠는가.
姑且案圖召幸 貪一時省事而已
그런데도 그림을 보고 불러들여 은총을 내렸으니 임시방편을 탐했을 뿐이다.
因此一省之故 乃至生奸生房闥而帝弗疑 迹混丹靑而帝不顧
이와 같이 일을 줄임으로 인하여 간교함이 궁궐의 내전에서 생겨났는데도 원제가 의심하지 않았고그림이 잘못되어도 원제는 돌아보지 않았던 것이다.
美如明妃 抱恨絶域 雖以天子之勢 欲再識春風之面 卽亦豈能歸其環佩哉
明妃와 같은 아름다운 여자가 恨을 안고 먼 오지로 떠나갔으니비록 천자의 권세를 가지고 봄바람 같은 얼굴을 다시 보고자 하여도 어찌 능히 그녀가 찼던 환패를 돌아오게 할 수 있었겠는가.
故曰空歸月夜魂也
그러므로 ‘달 아래 혼이 되어 허망하게 돌아왔다.[空歸月下魂]’라고 한 것이다.
不但生不能歸 試聽其琵琶怨恨之曲 分明甘作胡語 雖千載而下永不願爲漢婦矣
살아서 돌아오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녀가 연주한 비파의 원한 맺힌 곡을 들어본다면 분명 오랑캐 말로 노래하였지만천년이 지난 뒤에도 영원히 한나라의 여인이 되고 싶어 하지 않았겠는가.
豈非當日不識面之故致然歟
어찌 그 당시 얼굴을 알아주지 않은 연유로 여기에 이른 것이 아니겠는가.
省作省事之省
‘省’은 ‘省事’의 ‘省’이다.
若作實字解 何能與空歸對耶
만약 實字로 해석한다면 어찌 ‘空歸’와 대구가 될 수 있겠는가.
此不可不辨 -明 金聖嘆,《杜詩解》卷3
이것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 詠懷古跡五首 前庾信宋玉 後蜀主孔明 豈古跡竟無 詠懷絶少 而以明妃厠其中耶
〈詠懷古跡〉 五首는 앞에서 庾信과 宋玉을뒤에서 蜀主와 諸葛孔明을 읊었는데어찌 古跡이 끝내 다하고 감회를 노래할 것이 없어서 明妃를 그 사이에 끼워넣은 것이겠는가.
蓋以明妃天地所鍾靈 至今傳頌 而漢帝止從畫圖一識面 終死胡中
대개 명비는 천하의 영기가 모여서 생겨난 사람으로 지금까지도 칭송되는데나라 元帝가 그림으로만 한 번 보고 말아서 끝내 오랑캐 땅에서 죽고 말았다.
貴妃何如人
양귀비는 어떤 사람인가.
竟致馬嵬之亂
마침내 馬嵬의 亂이 일어나도록 하지 않았는가.
可傷孰甚
두 사람 중 누구를 위해 더 傷心해야 하는가.
此首全在言外見卓識 -淸 李調元,《雨村詩話》
이 시 전체에 言外의 탁월한 식견이 담겨 있다.

○ 因村而詠明妃 憫怨思也
昭君村으로 인하여 명비를 노래했으니고향을 그리워한 원한을 안타깝게 여긴 것이다.
結語怨恨二字 乃一詩歸宿處
결구의 ‘怨恨’ 두 글자는 전체 시의 귀결처이다.
起筆珍重 著遺村說 另爲一截
첫 시작을 진중하게 하여 마을이 남아 있다는 설을 드러내어 따로 한 구절을 만들었다.
中四 述事申哀 筆情繚繞 一去怨恨之始也 獨留怨恨所結也
가운데 네 구에서 사실을 기술하고 슬픔을 펴낼 때붓 끝에 담긴 정이 곡진하다, ‘一去’는 ‘怨恨’의 시작이고, ‘獨留’는 ‘원한’의 끝맺음이다.
畵圖識面 生前失寵之怨恨可知 環佩歸魂 死後無依之怨恨何極
‘畵圖識面’이라 했으니 생전에 임금의 은총을 얻지 못한 원한을 알 수 있고, ‘環佩歸魂’이라 했으니 죽은 뒤에 의지할 곳이 없는 원한이 어찌 다할 수 있겠는가.
末卽借出塞聲點明 -淸 浦起龍,《讀杜心解》卷4
마지막 구절은 변방의 노래를 빌려 이 점을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 只敍明妃 始終無一語涉議論 而竟無不包
다만 명비에 대해서 이야기하였을 뿐 처음부터 끝까지 의론과 관계된 말이 한마디도 없으나 함축되지 않은 것이 없다.
後來諸家總不能及 -淸 李子德,《杜詩鏡銓》卷13
후대의 제가들이 모두 미칠 수 없는 점이다.

○ 詠昭君詩 此爲絶唱
소군을 노래한 시 중 이 작품이 절창이다.
餘皆平平 至楊憑馬駝絃管向陰山 風斯下矣 -淸 沈德潛,《唐詩別裁集》卷14
나머지는 모두 비슷한 수준인데楊憑의 “말과 낙타현악기와 관악기가 陰山을 향한다.”는 風格이 떨어진다.

○ 詠明妃詩多矣 沈歸愚推此詩爲絶唱
명비를 읊은 시는 많으나 沈歸愚는 이 시를 절창으로 치켜세웠다.
以能包擧其生平 而以蒼凉激楚出之也
그녀의 일생을 포괄하여 처량하고 비통하게 표출했기 때문이다.
首句詠荊門之地勢 用一赴字 沈着有力
첫 구에서 형문의 지세를 읊으며 ‘赴’ 한 글자를 사용한 것은 침착함에 공력이 들어가 있다.
次句謂如此山水名邦 而淸淑之氣 獨鍾于女子 至今江頭行客 猶說遺村
다음 구에서 이와 같은 산수의 명승지에 淸淑한 기운이 오로지 이 여인에게 모였다고 하였으니지금까지도 강가를 오고 가는 나그네들은 남아 있는 이 마을에 대해 말한다.
寰中艶迹 可與西子苧羅村千秋爭美矣
천하의 강토에 남아 있는 미인의 자취로는 西施가 태어난 苧羅村과 천추의 아름다움을 다툴 만하다.
三四謂一去胡沙 愈行愈遠 而芳魂戀闕 墓門草色長靑 表明妃之志也
3‧4구에서는 오랑캐의 사막으로 한번 떠나간 뒤 가면 갈수록 멀어져 꽃다운 혼이 궁궐을 그리워하여묘지의 풀빛이 오래 푸르다고 하였으니 이는 명비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五六謂漢帝僅于畵中一見 悔莫能追 環佩空歸 安得更承恩澤 哀明妃之遇也
5‧6구는 漢帝가 그림으로 한번 본 뒤 후회해도 소용이 없는데환패만이 부질없이 돌아왔으니어찌 다시 은총을 받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여 명비의 운명을 슬퍼하였다.
收句謂漢家宮闕 久已煙消 卽埋玉荒邱 亦長淪邊徼
마지막 구에서 한나라 궁궐이 오래전에 연기처럼 사라져 명비가 묻힌 무덤도 오랜 세월 변방에 버려져 있는데,
其遺音感人者 幸有馬上琵琶 流傳舊樂 掩抑冰弦 如訴出絶塞飄零之苦 差足爲明妃寫怨矣 -現代 兪陛雲,《詩境淺說》
그녀가 남긴 노래가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은 다행히 말을 타고 가면서 타던 비파 소리가 옛 가락에 전해 내려와 그 침울한 소리가 마치 멀리 떨어진 변방에서 떠도는 고통을 하소연하는 듯하다고 하였으니명비를 위하여 그녀의 원한을 충분히 그려냈다 할 만하다.

 

 

 

5.譯註

 

▶ 荊門 형문산을 지칭한다湖北省 宜都縣 서북쪽에 있다.
▶ 明妃 王昭君이라 칭해진 漢나라 궁녀로서이름은 이며 昭君은 字이다나라 文帝 司馬昭의 이름을 하여 明君으로 이름을 바꾸었다《明一統志》의 ‘昭君村’에 대한 에 “貴州의 동북쪽 40리 지점에 있다.[在貴州東北四十里]”라고 하였는데오늘날 湖北省 秭歸縣 지역이다한나라 竟寧 元年匈奴王 呼韓邪에게 시집보낼 궁녀를 뽑을 때畵師 毛延壽가 뇌물을 주지 않은 왕소군을 추하게 그려 그녀가 뽑혔는데뒤에 元帝가 미인임을 알고 모연수를 참수하였다는 고사가 전한다.
▶ 紫臺 제왕의 궁전으로紫宮이라고도 칭한다.
▶ 朔漠 북방의 사막지대를 뜻한다여기서는 왕소군이 시집가는 흉노족의 지역을 지칭한다.
▶ 靑塚 왕소군의 묘를 지칭한다현재 내몽고 자치구 呼和浩特市 남쪽 20리 지역에 있다《明一統志》 卷20에 왕소군의 묘는 옛 豐州 서쪽 60리 지점에 있다흉노 땅은 흰색의 풀이 많은데이 무덤만이 푸르렀으므로 靑冢이라 하였다.[在古豐州西六十里 地多白草 此冢獨靑 故名靑冢]”라고 하였다《後漢書》 〈南匈奴傳〉에 “호한야선우가 죽자 소군이 한나라로 돌아가게 해달라고 상서하였으나성제는 오랑캐의 풍속을 따랐다고 하여 허락하지 않으니소군이 마침내 흉노에서 죽었다.[呼韓邪鮮于死 昭君曾上書求歸 成帝令從胡俗 不許 昭君終死於匈奴]”라고 하였다.
▶ 畫圖省識 그림으로는 그녀의 미모를 알 수 없다는 뜻이다《西京雜記》 卷2에 “元帝는 후궁이 많아 평상시 볼 수가 없었으므로 화공에게 모습을 그리게 하고그 그림을 살펴보고 불러들여 합방하였다宮人들이 모두 화공에게 뇌물을 주었는데많은 경우는 십만이었고적은 경우도 오만보다 적지 않았다오직 王嬙만은 뇌물을 주지 않아 마침내 왕을 모실 수 없었다후에 흉노가 入朝하여 閼氏로 삼을 미인을 구하였는데이때 왕이 그림을 보고 왕소군이 가도록 하였다그녀가 떠날 때에 이르러 불러 보니용모가 후궁 중에 제일이었고 응대도 잘하고 거동도 우아하였다왕이 후회하였으나 명부가 이미 정해졌고제왕이 외국에 대한 신의를 중시해야 했기에 다른 사람으로 바꾸지 못하였다이에 이 사건을 철저하게 조사하여 화공들이 모두 처형되어 저자거리에 버려졌다.[元帝後宮旣多 不得常見 乃使畵工圖形 按圖 召幸之 諸宮人 皆賂畵工 多者十萬 少者亦不減五萬 獨王嬙不肯 遂不得見 後匈奴入朝求美人爲閼氏 於是上案圖以昭君行 及去召見 貌爲後宮第一 善應對 擧止閑雅 帝悔之 而名籍已定 帝重信於外國 故不復更人 乃窮案其事 畫工皆棄市]”라고 하였다.
▶ 環珮 부녀자의 장신구로 여기서는 왕소군을 비유하였다.
▶ 月下 : ‘月夜’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琵琶作胡語 왕소군이 흉노에 살면서 비파를 치며 흉노의 말로 부른 노래를 지칭한다왕소군이 비파를 잘 탔으므로 흉노에서 삶을 상상하여 말한 것이다《古今事文類聚》에 “왕소군이 처음 흉노 땅으로 갈 때가는 길에 향수와 원망이 일어나 마침내 말 위에서 비파를 타며 그 恨을 기탁한 것이 지금까지 전하는데, ‘소군원’이라 부른다.[王昭君 初適匈奴 在路愁怨 遂於馬上彈琵琶 以寄其恨 至今傳之 謂之昭君怨]”라고 하였다.
▶ 腸腑를 비추는 거울 진나라 咸陽宮에 있었던 거울로 사람의 장부를 비춰볼 수 있다고 전한다北周의 庾信이 〈鏡賦〉에서 “거울이 바로 쓸개와 심장을 비추는 듯하니 접하기 어렵고 값으로 따질 수 없도다.[鏡乃照膽照心 難逢難値]”라고 하였다.
▶ 楊憑 당나라 德宗 年間에 활동한 인물로서는 虛受虢州의 弘農 사람이다생몰년이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大曆 年間에 登第하여 湖南‧江西 觀察使와 京兆尹 등의 관직을 지냈다두 동생과 함께 시문을 잘 지어 ‘三楊’이라 칭해지기도 하였다.
▶ 陰山 內蒙古自治區 남부 지역에 동북으로 이어진 陰山山脈을 지칭한다산 사이에 통로가 뚫려 있어 예로부터 남북 교통의 관문이 되었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