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189.閣夜〈각야〉-杜甫(두보)

耽古樓主 2023. 12. 2. 00:49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閣夜〈西閣의 밤〉
-杜甫(두보)

 

歲暮陰陽催短景 天涯霜雪霽寒宵.
세모의 시간은 짧은 해를 재촉하고 하늘 끝 차가운 밤 서리도 눈도 그쳤네.

五更鼓角聲悲壯 三峽星河影動搖.
오경의 북과 호각 소리 비장하고 삼협의 강물에 별그림자 흔들린다.

野哭千家聞戰伐 夷歌幾處起漁樵.
들녘의 곡소리 집집마다 전란소식 들어서인데 오랑캐 노래 여기저기서 어부와 초부들이 부르네.

臥龍躍馬終黃土 人事音書漫寂寥.
제갈량도 공손술도 한 줌 흙으로 끝났으니 세상사와 벗의 소식 적막한들 어쩌랴.

 
 

2.通釋

 

한 해가 저무는 세밑이라 시간은 빨리 흘러 낮은 짧기만 하다.
고향과 멀리 떨어진 이곳에서 추운 겨울밤을 보내는데 눈마저 그쳐 쓸쓸하기 그지없다.
늦은 새벽에 들리는 북 소리와 호각 소리는 비장하고삼협에 비치는 별그림자는 전쟁의 기운을 알리는 듯 어지러이 흔들리고 있다.
전쟁이 일어났다는 소식에 집집마다 곡소리가 들리는데그 지방 소수민족의 어부와 초부들은 여기저기서 노래를 부른다.
臥龍이라 불리던 제갈량도 躍馬라 불리던 공손술도 모두 한 줌 흙으로 돌아갔으니보잘것없는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세상사와 벗들의 소식 모두 적막한들 어찌하랴되는 대로 맡겨야지.

 
 

3.解題

 

大曆 元年(766) 겨울 杜甫는 夔州에 머물면서 西閣에 우거하고 있었는데당시 이곳은 崔旰이 일으킨 전란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
또 이 시기는 그와 가깝게 지내던 鄭虔‧李白‧嚴武‧高適 등이 차례로 세상을 떠난 때이기도 하다杜甫는 天涯淪落한 자신의 신세를 세모의 감회에 담았다.
제1‧2구는 시간과 공간적 배경을 제시하고 있는데세밑 눈마저 그쳐 한기가 더 심하게 느껴지는 밤에 잠을 못 이루는 모습을 통해 노년에도 고향을 멀리 떠나 지내야 하는 고달프고 외로운 처지를 보여준다.
제3‧4구는 듣고 본 것에 대해 묘사함으로써 전란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어지러운 시대상황을 표현하였고이렇게 잦은 전란으로 불안해하는 백성들의 모습을 제5‧6구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 중 제3‧4구는 蘇軾이 《東坡志林》 卷7에서 ‘七言之偉麗’로 꼽은 구절이기도 하다.
마지막 두 구는 고인이 된 두 사람을 통해 자신의 울적한 심사를 풀어내고 있는데기주에 유리되어 포부를 펼치지 못하는 처지와 벗들과 소원한 데서 오는 비애가 담겨 있다.

 

 

 

4.集評

 

○ 此老杜夔州詩 所謂閣夜盖西閣也
이 老杜(杜甫)의 夔州詩에서 이른바 〈閣夜〉라는 제목의 ‘閣’은 西閣이다.
悲壯動搖一聯 詩勢如之
‘五更의 북과 호각 소리 비장하고 三峽의 강물에 별그림자 흔들린다.[五更鼓角聲悲壯 三峽星河影動搖]’고 한 연은 시의 기세가 한결같다.
臥龍躍馬俱黃土 謂諸葛公孫賢愚共盡 孔丘盜跖俱塵埃 玉環飛燕皆塵土一意 感慨豪蕩 他人所無 元 方回《瀛奎律髓》 登覽類
‘제갈량도 공손술도 모두 흙이 되고[臥龍躍馬俱黃土]’는 제갈량과 공손술처럼 어질고 어리석은 이가 모두 죽었음을 말한 것으로 ‘공구와 도척이 모두 먼지가 되었네.[孔丘盜跖俱塵埃]’(〈醉時歌〉), ‘옥환과 비연은 모두 티끌이 되었네.[玉環飛燕皆塵土]’(辛棄疾〈摸魚兒〉)와 같은 뜻인데감개와 호탕함이 다른 사람에게는 없는 것이다.

○ 歲已暮矣 陰陽迅速 又催短景 人生幾何
한 해가 이미 저물어가는데 시간의 흐름은 빨라 또 짧은 해그림자도 재촉하니 인생은 그 얼마나 되겠는가.
只此無限悲感
이것이야말로 끝없는 슬픔이다.
乃身在天涯 而霜雪初霽 寒宵孤居
또 내 몸은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데 서리와 눈도 막 그쳐서 추운 밤에 외로이 거하고 있다.
人心不歡 而鼓角聲悲也 人心不寧 而星河影搖也
사람의 마음이 즐겁지 않으니 북과 호각 소리는 비장하고마음이 편하지 않으니 물에 비친 별그림자는 흔들린다.
戰伐敗而野哭者約有千家 漁樵樂而夷歌者能有幾處 當此危亂 謂非豪傑不能拯濟
전쟁에 패하자 천여 집의 사람들은 들에서 곡하고어부와 초부들은 즐거워하며 여기저기서 오랑캐 노래를 잘도 부르는데이처럼 위태롭고 어지러운 시기에는 호걸이 아니면 구할 수 없다고 한다.
而追論往事 以臥龍而終與躍馬者同歸黃土 況我
옛일을 떠올려 얘기해보면 와룡선생(제갈량)도 끝내 약마(공손술)와 함께 흙으로 돌아갔으니 하물며 나 같은 사람이겠는가.
今日若論人事 流離衰病已如此矣
지금 세상사로 논한다면 유리되고 쇠락함이 이미 이와 같은 지경에 이르렀다.
音書謂家報 公家京師 有家報 必及朝事
音書는 집안 소식을 말하는데 公家와 京師에서는 집안 소식을 전할 때 반드시 조정의 일을 언급한다.
音書所傳 亦無好消息 漫然寂寂寥寥
전해진 음서에도 좋은 소식이 없으니모두가 적막하고 쓸쓸할 뿐이다.
虛度時日 與前輩同於淪沒而已
세월을 헛되이 보내다가 선배들과 함께 죽을 뿐이다.
心如懸旌 奈何不與鼓角同悲而星河共搖也
마음은 매달린 깃발과 같으니어찌 고각과 함께 슬프지 않고 물에 비친 별그림자와 함께 흔들리지 않겠는가.
此詩全於起結着意 而向來論詩 止稱五更一聯 倂不知其微意之所在也
이 시는 기구와 결구에 주제를 드러낸 것이 완전한데 지금까지 이 시를 논할 때에 ‘五更鼓角聲悲壯 三峽星河影動搖’ 한 연을 칭찬하는 데에 그쳤으니그 미묘한 뜻이 어디에 있는지 전혀 모르는 것이다.
臥龍句總爲自家才不得施 志不得展而發 非笑諸葛也
‘臥龍躍馬終黃土’ 구는 모두 스스로의 재주를 펼 수 없고 뜻을 펼 수 없다는 데에서 나온 것이요제갈량을 비웃는 것이 아니다.
蜀都賦云夷歌成章 明 王嗣奭《杜臆》 卷8
〈촉도부〉에서 말한 오랑캐의 노래가 三章으로 한나라의 덕을 칭송하는구나[夷歌成章]’과 같은 것이다.

○ 老杜七言律全篇可法者 紫宸殿 退朝 九日 登高 送韓十四 香積寺 玉台觀 登樓 閣夜 崔氏莊 秋興八篇
老杜(杜甫)의 칠언율시 중에 전편을 법으로 삼을 만한 것은〈紫宸殿〉〈退朝〉〈九日〉〈登高〉〈送韓十四〉〈香積寺〉〈玉台觀〉〈登樓〉〈閣夜〉〈崔氏莊〉〈秋興八篇〉 등이다.
氣象雄蓋宇宙 法律細入毫芒 自是千秋鼻祖 明 胡應麟《詩藪》 〈內篇〉 卷5
기상이 웅장하여 우주를 덮고 법도가 세밀하여 털끝에도 들어갈 만하니이 때문에 천추의 비조가 된다.
○ 此在閣夜而傷亂也
이는 밤에 서각에 있으면서 전란을 슬퍼한 것이다.
上四閣夜景象 下四閣夜情事
앞의 4구는 서각의 밤 풍경이고뒤의 4구는 서각에서의 밤의 정취이다.
鼓角夜所聞 星河夜所見 野哭夷歌 將曉所傷感者 末則援古人以自解也
북과 호각 소리는 밤에 들리는 것별은 밤에 보이는 것들에서의 곡소리와 오랑캐 노래는 새벽녘에 느끼는 슬픈 감상이고마지막에는 고인의 일을 가지고 와 자신의 감정을 풀어내었다.
鼓角之聲 當更盡而悲壯 星河之影 映峽水而動搖 皆宵霽之景
북과 호각 소리는 오경을 지나 울리니 비장하고별그림자는 삼협에 비쳐 흔들리니 모두 눈이 그친 밤 풍경이다.
吳論悲壯動搖下兩字另讀
吳氏가 ‘五更鼓角聲悲壯 三峽星河影動搖’ 구를 읽을 때 아래 두 글자인 悲壯과 動搖를 따로 읽어야 한다고 논하였다.
思及千古賢愚同歸於盡 則目前人事 遠地音書 亦漫付之寂寥而已 淸 仇兆鰲《杜詩詳注》 卷18
천고의 賢人과 愚人이 모두 죽기 마련이라는 데 생각이 미치니눈앞의 일과 멀리서 오는 소식 역시 적막하고 하염없이 쓸쓸함에 부칠 뿐이다.

○ 無首無尾 自成首尾 無轉無接 自成轉結 但見悲壯動人 詩至此而律髓之選法 於是乎窮 淸 馮舒《瀛奎律髓彙評》 卷1引
머리도 없고 꼬리도 없는데 저절로 머리와 꼬리를 이루었고전환도 없고 접속도 없는데 저절로 전환하여 맺게 되었다. (이 시를) ‘비장’과 ‘동요’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시가 여기에 그친다면 《瀛奎律髓》의 選法이 궁색해진다.

 

 

 

5.譯註

 

▶ 閣 夔州의 西閣을 지칭한다.
▶ 陰陽 日月로시간을 의미한다.
▶ 短景 겨울은 밤이 길고 낮이 짧기 때문에 ‘短景’이라 한다여기서 ‘景’은 햇빛을 뜻한다.
▶ 天涯 杜甫가 우거하고 있는 기주를 말하는 것으로여기서는 시인의 고향과 상대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 霽 본디 비가 그치고 날씨가 갬을 말하지만인신하여 서리나 눈이 사라지거나 구름이나 안개가 흩어질 때도 이렇게 말한다.
▶ 五更 하룻밤을 다섯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맨 마지막 시간으로새벽 3시에서 5시 사이를 지칭한다즉 날이 밝아올 무렵을 말한다.
▶ 三峽星河影動搖 : ‘三峽’은 長江三峽으로 瞿塘峽‧巫峽‧西陵峽을, ‘星河’는 별과 은하수를 지칭한다. ‘별그림자가 흔들린다.[影動搖]’는 것은 전쟁의 징조를 비유한 말이다《史記》 〈天官書〉에 “禮‧德‧義‧殺‧刑이 다 잘못되자 塡星(土星)이 이 때문에 동요한다.[禮德義殺刑盡失 而塡星乃爲之動搖]”라고 하였다.
▶ 野哭 적절하지 않은 곳에서 곡하는 것을 말한다즉 들에서 곡하는 것은 凶事로타향에서 부모의 부고를 듣고 급히 집으로 갈 때에 길에서 곡하지 않을 수 없음이 그 한 예이다.(《禮記集說》 卷19)
▶ 戰伐 代宗 永泰 元年(765) 의 崔旰이 成都尹인 郭英義를 죽이고 반란을 일으킨 것을 말한다.
▶ 夷歌 그 지방 소수민족의 노래이다.
▶ 幾處 : ‘數處’라고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臥龍躍馬 : ‘臥龍’은 제갈량을 가리키는데제갈량이 일찍이 남양에서 손수 밭을 가니 당시 사람들이 와룡이라 불렀다. ‘躍馬’는 公孫述을 가리키는데공손술은 西漢 말년에 에 거하면서 스스로 王이 되었다左思의 〈蜀都賦〉에 공손이 말을 달려 帝라고 칭하였다.[公孫躍馬而稱帝]”라고 하였다당시 기주에는 제갈량과 공손술의 사당이 있었다.
▶ 人事音書 세상사와 벗으로부터 온 소식을 뜻한다.
▶ 漫 : ‘頗’ 또는 ‘久’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悲壯動人 《瀛奎律髓》에는 ‘悲壯動揺一聯’이라고 되어 있다(이 시의 첫 번째 집평 참조). ‘動人’은 ‘動搖’의 오자로 보인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