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16.渭川田家(위천전가)-王維(왕유)

耽古樓主 2023. 8. 16. 06:55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渭川田家(위천전가)
-王維(왕유)

斜光照墟落
석양은 들녘의 농가를 비추고
窮巷牛羊歸
궁벽한 골목으로 소와 양 돌아오네
野老念牧童
노인은 목동을 걱정하며
倚杖候荊扉
지팡이 짚고 사립문에서 기다리네
雉雊麥苗秀
꿩이 우니 보리에 이삭 패고
蠶眠桑葉稀
누에는 잠들어 뽕잎 드물다
田夫荷鋤立
농부들은 호미를 메고 서서
相見語依依
마주보며 정담을 이어간다
卽此羨閑逸
이를 보니 한가롭고 편안한 생활 부러워
悵然吟式微
서글피 式微를 읊조리네

 
 

2.通釋

석양이 들판의 농가를 비추고 있고한 무리의 소와 양들이 깊고 구석진 골목으로 돌아오고 있다.
노인은 소와 양떼를 돌보러 나간 아이를 걱정하며사립문 옆에 지팡이를 짚고 서 있다.
꿩이 우니 보리는 이미 패고누에가 깊이 잠든 때라 마을의 뽕나무 잎은 성글다.
농부들은 호미를 메고 길가에 서서 웃으며 일상의 이야기들을 나눈다.
이 광경을 보니 그들의 편안하고 한적한 생활이 부러워전원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3.解題

왕유는 開元 29년(741) 가을부터 종남산에 기거하며 관직생활을 하기도 하고은거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天寶 3년(744)에 이르러 근 삼년동안 일련의 산수전원시를 썼는데이 시는 張九齡이 폄직당하고 李林甫가 정권을 쥔 후에 왕유가 진퇴양난 속에서 관직세계를 떠나 조용한 전원생활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을 잘 반영하였다.
이 때문에 ‘歸’를 眼字로 평하기도 한다.
시 전반에 걸쳐 시골 사람들의 진실함과 순박함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여한 폭의 풍경화를 연상시킨다.
 
 

4.集評

○ 元陳孚遠歸帆絶句云 日落牛羊歸 渡頭動津鼓 烟昏不見人 隱隱數聲櫓 識者以爲不減王維 明 楊慎《升庵詩話》 卷7
元 陳孚遠의 〈歸帆〉 절구에, “날 저물어 소와 양이 돌아오고나룻머리에 북소리 들리네연기 피어나는 저물녘 사람은 보이지 않고은은한 몇 자락의 노 젓는 소리.[日落牛羊歸 渡頭動津鼓 烟昏不見人 隱隱數聲櫓]”라고 하였는데학자들은 이를 두고 왕유에 뒤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5.譯註

▶ 斜光 석양이다.
▶ 墟落 들판의 농가, ‘落’은 촌락을 뜻한다.
▶ 窮巷 매우 구석진 작은 골목으로여기에서 ‘窮’은 깊다[深]는 뜻이다.
▶ 麥苗秀 보리 이삭이 패는 것이다.
▶ 立 宋蜀本 《王摩詰文集》‧《文苑英華》‧《唐文粹》에는 모두 ‘至’라 되어 있다趙殿成의 《王右丞集箋注》에 ‘立’이라 하였으므로그것을 따른다.
▶ 依依 친절히 담화를 나누는 것으로정과 뜻이 깊고 돈독하여 차마 떠나가기 어려워하는 모양이다.
▶ 卽此羨閑逸 悵然吟式微 : ‘式微’는 《詩經》 〈邶風〉의 “날이 이미 어두워졌는데어찌하여 아직도 돌아가지 않는가?[式微式微 胡不歸]”에서 나왔으며, ‘式’은 발어사, ‘微’는 쇠락했다는 뜻이다이 시에서 마지막 두 구의 뜻은 전원생활을 흠모하여하루빨리 관직을 떠나 전원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한 것이다.
 

渭川田家(위천전가)-王維(왕유)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