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史記 (124)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본 편은 孟子와 荀卿의 合傳이며 전국시대의 음양가, 도가, 법가, 명가, 묵가의 대표적인 인물 12명에 대하여도 기술하였다. 사마천은 를 읽고 공자의 말을 인용하여 “이로움에 따라서 행동하면 원망하는 자가 많다.”라고 기술하였다. 1. 論評 太史公曰: 태사공은 말한다. 余讀孟子書,至梁惠王問「何以利吾國」,未嘗不廢書而嘆也。 曰:嗟乎,利誠亂之始也! 내가 를 읽다가 梁惠王이 「어찌하면 우리나라를 이롭게 하겠소.」 라고 묻는 구절에 이르러 책을 덮고 탄식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아, 이로움이란 진실로 혼란의 시작이구나!’ 夫子罕言利者,常防其原也。 무릇 공자가 이로움에 대해 거의 말하지 않음은 언제나 혼란의 근원을 막기 위함이었다. 故曰 「放於利而行,多怨」。 그러므로 말하였다. “이로움에 따라서 행동하면 원망하는..

백기(? ~ 기원전 257년 11월)는 중국 전국시대 秦의 장군이다. 秦 昭襄王 때에 趙 · 魏 · 韓 · 楚 등의 나라들과 싸워서 많은 승리를 거두고 秦의 영토를 크게 넓혔다. 그러나 말년에는 소양왕과의 갈등 끝에 실각하고 자살을 강요당하여 죽었다. 《전국책》에서는 그의 이름을 公孫起라고도 하였다. 武安君의 칭호를 받았다. 王翦(? ~ ?)은 중국 전국시대 秦의 장군이다. 전국시대 秦의 대표적인 명장으로 평가받는 인물로, 시황제 때에 조 · 연 · 초 등의 나라들을 공격해서 차례로 멸망시키며 중국의 통일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의 아들인 왕분과 손자인 왕리 또한 3대에 걸쳐 명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白起者,郿人也。 白起는 郿 사람이다. 善用兵,事秦昭王。 용병에 뛰어나 秦昭王 嬴稷을 섬겼다. 昭王十三年,而..

전국시대 秦의 相邦. 秦昭王의 외삼촌이며 宣太后의 異父동생이다. 작위는 穰侯. 소양왕과 선태후를 보좌하면서 白起를 중용해 서북쪽의 義渠를 멸망시켜 秦의 배후를 안정시키고 영토를 넓혀 통일의 기반을 마련한다. 당시 穰 땅을 봉지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 穰侯라고도 부른다. 수십년간 秦의 정치를 실질적으로 이끌고 있다가 親政을 꾀한 소왕과 范睢에 의해 권력을 잃게 되었다. 지나친 축재와 사치로 비판받았다. 범수에 의해 함곡관 밖으로 내쫓길 때, 짐을 실은 수레가 1,000대가 넘었다고 한다. 조숭이 장개에게 살해당할 때 재물을 실은 수레가 100대였다고 하니, 양후의 재산은 조씨 일가의 것의 10배가량 된다고 추정할 수 있다. 참고로 그가 권력을 잡고 있던 시기에는 실권자나 다름없어서 소왕 시기의 업적은 대부분..

이편은 樗里子와 甘茂의 전기이다. 樗里子의 이름은 疾로 진혜왕의 庶弟이다. 樗里(지금의 섬서성 위현渭縣 남)에 살았기 때문에 그곳의 이름을 따서 樗里子라 하였다. 처음에 庶長으로 임명되었다가 右丞相이 되었다. 지략이 뛰어나 智囊이라는 별명으로 불리었다. 甘茂는 본래 楚 下蔡 출신으로, 하채의 史擧先生을 섬기며 百家之術을 배웠다. 사거는 본래 하채의 문지기였는데, 왕을 섬기지도 않고 집안을 돌보지도 않아서 세간에는 악명을 날렸다. 그럼에도 감무는 그를 섬기며 따랐다. 진혜왕 때에 위장,저리자와 함께 초의 한중을 빼앗았다. 진무왕 때 좌승상이 되었고, 韓의 宜陽을 공격하던 중에 식양재피라는 고사를 남기고 결국 韓軍을 대파하고 宜陽과 武遂를 빼앗ᅌᅡᆻ다. 진소왕 때 감무는 韓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하여 ..

장의(張儀, ? ~ 기원전 309년)는 중국 전국시대 秦의 정치가·외교가이다. 친구 蘇秦과 함께 鬼谷先生에게서 수학한 적이 있었다. 그는 秦에 등용되기 전까지 갖은 수모를 겪다가 마침내 秦 혜문왕을 만나 정치 고문이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재상으로 승진되었는데, 蜀를 평정하고 魏의 일부를 차지하는 공을 세웠다. 6년 뒤에 秦과 짜고 魏의 재상이 되었는데, 魏로 하여금 진을 섬기게 하려 했으나 말을 듣지 않자 秦에게 몰래 연락해 魏가 크게 지도록 만들었다. 이듬해 齊가 魏를 공격하고 마침내 秦이 魏를 공격할 목적으로 먼저 韓를 쳐, 군사 8만 명을 몰살시켰다. 이에 장의는 魏王을 설득하여 소진이 이룩해낸 합종책의 약속을 깨고 秦과 화친했으며, 장의는 다시 秦으로 돌아가 재상이 되었다. 3년 뒤 ..

蘇秦者, 東周雒陽人也.소진( ? ~ BC 284)은 東周의 雒陽 사람이다.東事師於齊, 而習之於鬼谷先生.스승을 찾아 동으로 제에 가서 鬼谷先生에게서 배웠다.出游數歲, 大困而歸.제후에게 유세하기 몇 해, 큰 어려움을 겪고 집으로 돌아왔다.▶ 鬼谷先生: 전국 때 제나라의 출신의 縱橫家로 이름은 전하지 않는다.일설에는 楚 출신이라고도 한다. 지금의 하남성 方城 부근의 穎川 陽城의 鬼谷이라는 곳에 은거하여 살았기 때문에 鬼谷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하였다. 鬼谷은 일설에는 지금의 섬서성 涇陽의 扶風의 池陽 부근이라고도 한다. 그의 사상은 黃老의 에서 출발하였다.세상의 일을 논하여 일을 도모함에 있어서 우선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이는 단계를 거쳐,자기의 마음으로써 미루어 상대방의 마음을 읽는 에 이르러, 마침내 ..

商鞅(기원전 390년 ~ 기원전 338년)은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 秦의 法家를 대표하는 중요한 정치가였다. 商을 분봉받아 후작이 되어 상앙으로 부르며 본래의 姓은 姬, 氏는 공公孫, 이름은 鞅이다. 또 다른 별칭으로 衛의 公族이라서 衛鞅이라 불렸다. 주나라 왕족과 위 공족의 후예였으며, 車裂刑의 창시자였는데 후일 그 자신이 거열형으로 처형된다.사상적인 면은 魏의 이회에게 크게 영향을 받았다. 오가작통법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什伍制를 만들었다. 또한, 동양 최초로 노예 제도의 부분적 폐지를 주장하였다. 부국강병의 술책으로 진효공을 설득하는 데 성공하여 좌서장을 거쳐 총리 격인 大良造로 승진하여 정치개혁의 총설계자가 되었다. 두 차례의 변법을 성공시켜 약소국 秦을 일약 강대국으로 만들어냈다. 저서로는 ..

孔子(기원전551년~기원전479년)는 세계 4대 성인의 한 사람이다. 본명은 孔丘이며 춘추시대 魯의 사람으로 유교의 始祖이다. 춘추시대의 정치가·사상가·교육자이고, 魯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기도 하다. 공자는 제자 중 六藝에 통달한 자가 77명이라고 하였으며, 사마천은 論語 및 孔子世家, 春秋左氏傳 등을 인용하여 제자들을 낱낱이 설명하여 장문의 형식을 취하였다. 사마천은 “나는 공자의 제자들의 이름과 언행을 모두 ‘논어’에 나오는 사제 사이의 문답에서 취한 뒤 이를 차례로 정리하여 중니제자열전을 만들었다. 의심나는 것은 싣지 않았다.” 라고 기술하였다. 孔子曰 「受業身通者七十有七人」. 공자가 말하였다. “학업에 힘써 六藝에 통달한 자는 77명이다.” 皆異能之士也。 모두 뛰어난 재능을 지닌 선비이다...

伍子胥(? ~기원전484년)는 춘추시대의 정치가로, 이름은 員이며 子胥는 字이다. 楚출신으로 아버지가 費無忌의 흉계로 인하여 楚平王의 노여움을 샀다. 아버지와 형이 처형되자 楚를 탈출하였다. 온갖 고초를 겪으면서 吳로 망명하여 오왕 闔閭에게 등용되어 손무와 함께 초를 격파하고 복수하였으나, 오왕 합려가 죽고 아들인 夫差가 즉위하자 사이가 벌어지고 모함을 받아 자살하였다. 사마천은 “오자서는 모든 고초를 참고 견디며 공명을 이루었다. 강인한 대장부가 아니면 누가 이런 일을 이룰 수 있겠는가” 라고 평하였다. 伍子胥者,楚人也,名員。 伍子胥는 楚사람이며 이름은 員이다. 員父曰伍奢。員兄曰伍尚。 원의 아버지는 伍奢이고, 원의 형은 伍尚이다. 其先曰伍舉,以直諫事楚莊王,有顯,故其後世有名於楚。 그의 선조는 伍舉인데, ..

孫子는 중국 춘추시대의 전략가로 본명이 孫武이며 자는 長卿으로 齊 출신이다.(기원전545년경~기원전470년경). 吳왕 闔廬 때 등용되어 伍子胥와 함께 楚를 무찔렀다. 孫子는 경칭이며 13편을 지었으며 강태공의 六韜三略을 기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孫子武者,齊人也。 孫子 武는 齊 사람이다. 以兵法見於吳王闔廬。 병법으로 吳왕 闔閭를 뵙게 되었다. 闔廬曰: 「子之十三篇,吾盡觀之矣,可以小試勒兵乎?」 합려가 말하였다. “그대의 13편을 내가 모두 읽어보았는데 조금이라도 군대를 지휘해 보일 수 있겠소?” 對曰: 「可。」 손무가 대답하였다. “가능합니다. ” 闔廬曰: 「可試以婦人乎?」 합려가 말하였다. “부녀자라도 시험해볼 수 있겠소?” 曰: 「可。」 손무가 대답하였다. “가능합니다. ” ▶ 闔閭(합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