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97次北固山下〈北固山 아래 머물다〉-王灣(왕만)

耽古樓主 2023. 11. 19. 09:19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97次北固山下〈北固山 아래 머물다〉-王灣(왕만)

 

客路靑山外 行舟綠水前.
나그넷길 靑山 밖에 나 있고뱃길은 綠水 앞을 지난다.

潮平兩岸闊 風正一帆懸.
潮水가 잠잠해 강변 언덕 트였고바람이 순해 돛 하나 달았다.

海日生殘月 江春入舊年.
지는 달따라 바다에서 해 솟고가는 해에 봄은 강가에 들어와 있는데.

鄕書何處達 歸雁洛陽邊.
집에 보낸 편지 어디에 닿았을까 돌아가는 기러기 낙양 옆을 지날 텐데.

 
 

2.通釋

 

내가 가야 할 길은 강북의 북고산 밖 저 먼 곳인데나는 지금 배를 타고 강남의 녹수를 지나고 있다.
물이 불어 강 표면이 잠잠해 江岸과 똑같이 평평해져서 시야가 툭트였다.
거기에 바람까지 순하고 좋아 돛 하나를 높이 매달았다.
달이 지는 가운데 바다에서 해가 솟아오르고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강가에 봄은 이미 와 있다.
해마다 봄은 돌아오건만 나는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편지만 보내는데 그 편지는 지금 어디에 도착했을까.
머리 위로 돌아가는 기러기는 북쪽으로 날아 내 고향 낙양을 지나갈 텐데 내 소식 전해줄 수 있으려나.

 

 
 

3.解題

 

이 시는 여행하면서 본 경치에 鄕愁의 감정을 담은 시다.
지금 시인은 강남에 있으면서 고향인 낙양을 그리워하고 있다.
배를 타고 북고산 아래를 지나며 綠水靑山으로 강남의 경치를 묘사하고 있는데 그 경치에 봄기운이 들어 있다.
해마다 돌아오는 봄인데 자기는 언제 고향에 돌아가려나 하는 생각이 든 것이다.
두 번째 구절의 ‘綠水’는 여섯 번째 구절인 ‘江春入舊年’과 호응하고 있다.
頸聯인 ‘海日生殘月 江春入舊年’은 인구에 회자되는 名句로이 高妙한 표현을 두고 상찬한 말이 많다.

 

 

 

4.集評

 

○ 灣詞翰早著 爲天下所稱 最者不過一二
王灣의 글은 일찍부터 저명해 천하의 칭송을 받았는데가장 뛰어난 것은 한둘에 지나지 않는다.
游吳中作江南意詩云 海日生殘月 江春入舊年 詩人已來少有此句
吳 지역을 유람하면서 지은 〈江南意〉 시에 “지는 달 따라 바다에서 해 솟고가는 해에 봄은 강가에 들어와 있구나.”라고 하였는데 시인이 있은 이래 이런 구절은 드물게 존재한다.
張燕公手題政事堂 每示能文 令人楷式 唐 殷璠《河岳英靈集》 卷下《唐人選唐詩》 十種收錄
張燕公이 政事堂 위에 손수 써놓고는 문장에 능한 사람에게 보여주어 사람들에게 모범으로 삼도록 했다.

○ 詩不可不造句
시는 구절을 만들지 않을 수 없다.
江中日早 殘冬立春 亦尋常意思
강 가운데 일찍 해가 뜨고 겨울이 가고 봄이 오는 것은 또 심상한 뜻일 뿐이다.
而王灣云 海日生殘月 江春入舊年 一經錘煉 便成警絶
그런데 王灣은 “지는 달 따라 바다에서 해 솟고가는 해에 봄은 강가에 들어와 있구나.”라고 하여 한 번 단련을 거치자 바로 놀랍고 뛰어난 구절이 되었다.
宜張曲江懸以示人 淸 沈德潛《說詩晬語》 《淸詩話》 收錄
張曲江이 이 글을 걸어두고 사람들에게 보여준 것은 당연한 일이다.

○ 潮平兩岸闊 風正一帆懸 或作兩岸失 非是 凡波浪洶勇 則隔岸不見 波平岸始出耳 闊與平字相應 猶懸與正字相應 若使斜風 則帆欹側不似懸矣
‘물이 불어 강변 언덕 트였고바람이 순해 돛 하나 달았다.[潮平兩岸闊 風正一帆懸]’라는 구절은 혹 ‘강가 언덕 사라졌다.[兩岸失]’로 쓰기도 하는데 옳지 않다무릇 파도가 거세게 치면 저 너머 강 언덕은 보이지 않고 파도가 잠잠해져야 언덕이 비로소 드러난다. ‘트였다[闊]’는 말은 ‘잠잠하다[平]’는 말과 서로 호응한다〈다음 구절의〉 ‘달았다[懸]’와 ‘순하다[正]’는 말이 서로 호응하는 것과 같다만약 바람이 비껴 불면 돛이 기울어져 매단[懸것 같지 않았을 것이다.
黃白山評:
黃白山이 이에 대해 평하였다.
平猶滿也
‘잠잠하다[平]’는 말은 가득하다는 뜻이다.
凡潮落則岸邊之地盡見
무릇 조수가 빠지면[落강가의 땅이 다 드러난다.
故覺其狹
그래서 강이 좁은 줄 알게 된다.
潮滿則岸邊之地 爲水所沒
조수가 차면 강가의 땅이 물에 잠긴다.
故覺岸闊
그래서 강이 넓어진 줄 알게 된다.
苟識其意 則作失字亦可 蓋指岸邊之地而言
그 뜻을 안다면 ‘사라졌다[失]’로 써도 또한 옳으니 대체로 강가의 땅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然覺闊字妙些
하지만 ‘트였다[闊]’는 말이 묘한 줄 알겠다.
賀力辨正此字 而究竟失作者之意
賀裳이 힘써 이 글자를 辨正했지만 마침내는 작자의 의도를 잘못 알았다.
總之誤認平字作落字也) - 淸 賀裳《載酒園詩話》 1, 《淸詩話續編》 收錄
총괄하자면 ‘잠잠하다[平]’는 말을 ‘〈조수가〉 빠졌다[落]’로 썼다고 잘못 알았던 것이다.)

○ 河岳英靈集選王灣江南意云 江南多新意 東行伺早天 潮平兩岸闊 風正一帆懸 海日生殘月 江春入舊年 從來觀氣象 惟向此中偏
《河岳英靈集》에 실린 王灣의 〈江南意〉는 다음과 같다. “강남에서 새로운 생각이 많아져동쪽으로 가며 이른 아침 하늘을 본다조수가 잠잠해 강변 언덕 트였고바람이 순해 돛 하나 달았다지는 달 따라 바다에서 해 솟고가는 해에 봄은 강가에 들어와 있는데이전부터 기상을 보아왔지만유독 이것에 마음이 기우는구나.”
芮挺章 國秀集選王灣次北固山下云
芮挺章의 《國秀集》에 실린 王灣의 〈次北固山下〉는 다음과 같다.
客路靑山外 行舟綠水前
나그넷길 靑山 밖에 나 있고뱃길은 綠水 앞을 지난다.
潮平兩岸闊 風正一帆懸
조수가 잠잠해 강변 언덕 트였고바람이 순해 돛 하나 달았다.
海日生殘月 江春入舊年 鄕書何處達
지는 달 따라 바다에서 해 솟고가는 해에 봄은 강가에 들어와 있는데집에 보낸 편지 어디에 닿았을까.
歸雁洛陽邊
돌아가는 기러기 낙양 옆을 지날 텐데.”
殷芮皆唐人 何所傳各異如此
殷璠과 芮挺章은 모두 당나라 사람인데 어디서 전해진 것이기에 각각 이렇게 다를까.
愚按兩岸闊 闊字不如失字之雋 而首尾四句 當以芮選正
내 생각엔 ‘강변 언덕 트였고[兩岸闊]’의 ‘트였다[闊]’는 말은 ‘사라졌다[失]’는 말의 풍부함보다 못하며앞뒤 4구는 당연히 芮挺章이 뽑은 게 올바르다.
殷選首尾詞意 殊欠老成
殷璠이 뽑은 앞뒤 4구의 뜻은 전혀 老成한 맛이 없다.
沈歸愚別裁亦主芮氏 而失字獨從殷氏 未免任意取携
沈歸愚의 《唐詩別裁集》 또한 芮挺章을 위주로 하였는데, ‘失’字만은 殷璠을 따르고 있어 자기 뜻대로 가져온 혐의를 면치 못하였다.
王新城刪纂殷芮選本 不加考訂
王新城은 殷璠과 芮挺章의 選本을 편찬하고 깎아내면서 상고해 바로잡는 일을 하지 않았다.
至三昧集乃從芮氏 但注曰一本作江南意云云而已 淸 潘德輿《養一齋詩話》《淸詩話續編》 收錄
《三昧集》에 이르러서야 芮挺章을 따르고다만 ‘〈江南意〉라고 한 本도 있다.’고 注를 달았을 뿐이다.

 

 

 

5.譯註

 

▶ 北固山 江蘇省 鎭江市 북쪽에 있는데 삼면이 강에 임해 있고 형세가 험해 北固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金山焦山과 함께 京口三山으로 불린다.
▶ 次北固山下 제목을 ‘江南意’로 쓰기도 한다.
▶ 王灣 生沒年 未詳洛陽人이다玄宗 先天 年間에 진사에 급제滎陽主簿‧洛陽尉 등을 역임했다開元 연간의 유명한 시인 가운데 한 명이었다《全唐詩》에 시 10首가 전한다.
▶ 靑山外 靑山下라고 한 本도 있다. ‘靑山’은 北固山을 가리킨다.
▶ 綠水 : ‘綠水’는 長江을 가리킨다.
▶ 潮平 조수가 불어 수면이 강 언덕과 나란해졌다는 말이다. ‘平’은 뒤의 ‘闊’과 서로 호응하는 표현이다.
▶ 風正 바람이 순한 것이니, ‘正’은 順의 뜻이다.
▶ 海日生殘月 江春入舊年 이 시구는 도치된 구절로달이 지면서 바다로 해가 떠오르고한 해가 지나면서 봄이 강가에 왔다는 말이다. ‘入舊年’은 정확히는 한 해가 아직 다 저물지 않았는데 봄이 먼저 와 있다는 뜻이다.
▶ 歸雁 북으로 돌아가는 기러기라는 뜻으로서신을 가리키기도 한다.
▶ 張燕公 燕公은 당나라 張說의 封號인데장열은 문장이 매우 뛰어나서 당시에 大手筆이라 일컬어졌다.
▶ 張曲江懸以示人 張曲江이 아니라 張說인데 착오가 있는 듯하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