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82.行路難 三首之一(행로난 삼수지일)-李白(이백)

耽古樓主 2023. 11. 9. 21:06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82行路難 三首之一(가는 길 험난해라 세 수 중 첫 번째 시)-李白(이백)

 

金樽淸酒斗十千 玉盤珍羞値萬錢.
금 술동이의 맑은 술은 천 말()의 열 배이고옥쟁반의 진수성찬 만전의 값이지만,

停杯投筯不能食 拔劍四顧心茫然.
잔 멈추고 젓가락 놓은 채 먹지 못하고검 빼들어 사방을 둘러보아도 마음은 막막하구나.

欲渡黃河冰塞川 將登太行雪滿山.
황하를 건너려니 얼음이 강을 막고태항산을 오르려니 눈이 산에 가득하여,

閑來垂釣碧溪上 忽復乘舟夢日邊.
한가롭게 낚싯대를 푸른 시냇가에 드리우다홀연 다시 배를 타고 장안 가는 꿈을 꾸네.

行路難 行路難 多歧路 今安在.
가는 길 어려워라가는 길 어려워라갈래 길 많은데 내 갈 길은 지금 어디.

長風破浪會有時 直挂雲帆濟滄海.
긴 바람 타고 물결 헤치며 갈 날이 있으리니구름 같은 돛 달고 창해를 건너리라.

 
 

2.通釋

 

금 술동이에 맑은 술이 찰랑대니 그 값어치는 만금에 달하는 것이다옥쟁반에는 훌륭한 안주가 담겨져 있으니 그 값어치는 만금에 달하는 것이다.
이처럼 좋은 술과 훌륭한 안주를 두고 결국 나는 잔과 젓가락을 놓은 채 술과 음식을 목으로 넘기지 못한다.
이에 분연히 칼을 빼어들고 사방을 둘러보아도 마음이 막막하기만 하다.
나는 황하를 건너고 싶지만 얼음이 물길을 가로 막고태항산을 오르고 싶어도 온 산에 눈이 가득하다.
옛날 강태공처럼 한가롭게 푸른 시냇가에서 낚싯대를 드리우다가 홀연 다시 배를 타고 장안으로 가는 꿈을 꾸며 다시 등용되기를 기다린다.
가는 길이 어찌도 이리 어렵단 말인가.
여러 갈래 길 가운데 내가 가야 할 길은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겠다.
그래도 언젠가는 긴 바람을 타고 만리의 물결을 헤쳐 나갈 때가 있을 것이니그날이 오면 나는 곧 구름 같은 돛을 달고 저 창망한 바다를 건너가리라.

 

 

 

3.解題

 

〈행로난〉은 樂府雜曲歌이다.
이 시는 이백이 天寶 3년(744)에 지은 작품으로서그가 벼슬길에 있다가 장안에서 낙양으로 떠날 시점에 지은 것이다.
이백의 〈행로난〉 제1수는 세상살이의 어려움 때문에 훌륭한 안주와 좋은 술을 대하고도 차마 먹지 못하고 마음만 아득해지는 느낌을 담아내었다〈蜀道難〉과 〈行路難〉은 모두 벼슬길의 험난함을 암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하지만한편으로는 강태공과 이윤의 故事를 빌어 다시 長安으로 복귀하여 자신의 포부를 펼칠 날이 왔으면 하는 심사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4.集評

 

○ 忠臣之去國 屛妻之辭家 强忘恩情
忠臣이 나라를 떠나고 쫓겨난 아내가 집을 떠날 때는 억지로 恩情을 잊는다.
初若永爲割斷矣 忽復眷顧反歸 如李白行路難篇
처음에는 영원히 끊어버릴 것 같지만홀연 다시 그 정이 생각나 돌아오게 되니 이백의 〈행로난〉과 같다.
首云金樽美酒斗十千 玉盤珍羞直萬錢 金其樽而玉其盤則器之華也
首句에 ‘金樽美酒斗十千玉盤珍羞直萬錢’이라 하니금으로 술동이를 만들고 옥으로 쟁반을 만들어 그릇이 화려하다는 것이다.
斗十千則酒之多也 直萬錢則羞之美也
‘斗十千’은 술이 많다는 것이고 直萬錢은 음식이 맛이 좋다는 뜻이다.
次云停盃投筯不能食 拔劒四顧心茫然
다음은 “停盃投筯不能食拔劒四顧心茫然”인데,
夫酒旣如此之多 羞旣如此之美 所盛之器 又旣如此之華 而停盃而不能飮其酒 投筯而不能食其羞者 四顧茫然之故也
대저 술도 이처럼 많고 음식도 이처럼 맛 좋으며 담은 그릇 또한 이처럼 화려한데잔을 멈추고 술을 마실 수 없고 젓가락을 던지고 그 음식을 먹을 수 없는 것은 사방을 둘러보아도 망연하기 때문이다.
次云欲渡黃河冰塞川 將登太行雪滿山 此言行於山而雪滿 行於水而冰塞
다음은 ‘欲渡黃河冰塞川將登太行雪滿山’이라 하니이는 산을 가려 해도 눈으로 온산이 덮여 있고 물을 건너려 해도 얼음으로 막혀 있다는 뜻이다.
四方環顧 行路皆難
사방을 둘러보아도 가는 길이 모두 어렵다.
上所道拔劍茫然者此也
위에서 말했던 ‘拔劍茫然者’가 이것이다.
次云閒來垂釣碧溪上 忽復乘舟夢日邊
다음은 ‘閒來垂釣碧溪上忽復乘舟夢日邊’인데 이는 다음과 같은 뜻이다.
此言旣知行路之難 來釣碧溪之上 則江湖境僻 漁釣心閒 到此君國之念 固似永斷焉
행로의 어려움을 이미 알아 푸른 시냇가에 와서 낚시를 드리우니강호의 외딴 곳에서 낚시를 함에 마음은 한가로워 여기에 이르러 君國의 상념을 진실로 영영 끊어 버린 것 같았다.
而儵忽之間 依俙一夢 復到於白日之邊 其所欲斷者 亦不能自斷
그런데 잠깐사이에 꿈을 꿔 다시 ‘白日之邊’ 즉 長安에 이르렀으니끊어버리고 싶었으나 스스로 끊을 수 없었던 것이다.
而乘舟二字極有味
아울러 ‘乘舟’ 두 글자에 지극히 묘미가 있다.
次云行路難行路難 多歧路今安在 此旣斷者復續 不勝感唶之意
다음은 ‘行路難行路難 多歧路今安在’인데이는 이미 끊어진 것이 다시 이어져 感唶의 뜻을 이길 수 없다.
因復再言行路難以爲歎
이 때문에 재차 ‘행로난’이라 말하며 탄식하고 있는 것이다.
而多歧路三字 應上四顧 今安在三字起下句意
‘多歧路’ 세 글자는 위의 ‘四顧’와 호응하며, ‘今安在’ 세 글자는 아래 구의 뜻을 흥기시킨다.
末云長風波浪會有時 直掛雲㠶濟滄海 此言路不必終難 當有直逢快步之時 聊以自慰者也
끝에는 ‘長風波浪會有時直掛雲㠶濟滄海’이라 하였는데이는 行路가 꼭 어렵지만은 않을 것이며 마땅히 빠르게 걸어갈 때를 만날 것이라며 스스로를 위로한 것이다.
而若往若還 若歔若笑 千載之下 可見其磊落抑塞之胸中也 朝鮮 申景濬《旅菴遺稿》 8, 〈雜著‧詩中筆例〉
가는 듯하다가 돌아오는 듯 하고 흐느끼는 듯하다가 웃는 듯하니천년 후에도 그 磊落하고 抑塞한 흉중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行路難嘆世路艱難及貧賤離索之感 古辭亡 後鮑照 擬作爲多 白詩似全學照 明 胡震亨《李白詩校注》 卷3
(舊題樂府〈행로난〉은 세상살이의 어려움과 빈천하고 고독한 처지의 감상을 한탄한 것으로 옛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후에 포조가 모방한 작품을 많이 지었고이백의 시는 전적으로 포조의 시를 배운 것이다.

○ 世路難行如此 惟當乘長風 挂雲帆以濟滄海 將悠然而遠去 永與世違 不蹈難行之路 庶無行路之憂耳 明 朱諫《李詩選注》 卷2
인생의 길이 이처럼 어렵다면 오직 큰 바람을 타고 구름 같은 돛을 달아 창해를 건너 아득히 멀리 떠나서 영원히 세상을 벗어나야만 한다그렇다면 어려운 인생길을 가지 않게 될 것이니세상살이의 근심이 거의 없어질 것이다.

 

 

 

5.譯註

 

▶ 斗十千 술이 많다는 의미이다. ‘十千’은 천의 열 배즉 萬을 뜻한다.
▶ 珍羞 진귀하고 맛 좋은 음식을 뜻한다. ‘羞’는 ‘饈’字와 동일하다.
▶ 拔劍四顧心茫然 欲渡黃河冰塞川 이 구절은 鮑照의 〈擬行路難〉에, “상을 마주하고 먹을 수 없어검을 빼들고 기둥을 치며 길게 탄식한다.[對案不能食 拔劍擊柱長歎息]”라는 시구를 차용한 것이다.
▶ 太行 산 이름으로主峰은 山西省 晉城縣 동남부에 있으며河北과 河南의 경계가 된다또한 汾河의 동쪽碣石山의 서쪽으로서 萬里長城과 黃河 사이에 있는 모든 산이 太行산맥을 이룬다.
▶ 滿山 : ‘暗天’이라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垂釣碧溪上 전하는 말에 의하면 姜太公이 渭水의 磻溪에서 낚시를 하고 있다가 나라 文王을 만나 등용되었다고 한다.
▶ 日邊 당나라 수도 長安을 가리킨다《宋書》 〈符瑞志〉 上에, “伊摯(伊尹)가 탕임금의 부름을 받을 때 배를 타고 해와 달 근처를 지나가는 꿈을 꾸었다.[伊摯將應湯命 夢乘船過日月之傍]”라는 구절이 있다이후로 ‘日邊’은 황제가 있는 서울을 가리키게 되었다.
▶ 長風破浪 《宋書》 〈宗慤傳〉에 의하면종각이 어릴 적에 그의 숙부 宗炳이 그에게 소원을 묻자종각이 대답하길 “원컨대긴 바람을 타고 만리의 물결을 깨뜨리고 싶습니다.[願乘長風 破萬里浪]”라 하였다고 한다이러한 연유로 훗날 원대한 포부를 비유하게 되었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