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29.寄全椒山中道士(기전초산중도사)-韋應物(위응물)

耽古樓主 2023. 10. 30. 01:49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寄全椒山中道士(기전초산중도사)
-韋應物(위응물)

 

今朝郡齋冷忽念山中客.
澗底束荊薪歸來煮白石.
오늘 아침 官舍가 싸늘하여문득 산에 있는 사람 떠올렸네.
계곡물 밑에서 땔나무 묶어돌아와서는 흰 돌 삶고 있겠지.

欲持一瓢酒遠慰風雨夕.
落葉滿空山何處尋行跡.
술 한 병 가지고멀리 가서 비바람 치는 밤 위로하고 싶은데,
낙엽이 빈산에 가득하니어디서 발자취 찾을 수 있을까.

 
 

2.通釋

 
오늘 아침은 관사가 싸늘하여 갑자기 산속에 살고있는 벗이 생각났다.
그 벗은 산골짜기 물가에서 땔나무를 해다가 집으로 돌아와서는 그것으로 흰 돌을 삶아 양식으로 쓰고 있을 것이다.
나는 그저 술 한 병을 가지고먼길을 마다 않고 산에 올라 비바람 몰아치는 저녁에 그대를 위로해 주고 싶은데빈산에 낙엽이 가득 쌓여 길을 덮고 있으니 어디로 가야 찾을 수 있을까.

 

 

3.解題

 
 

나라 德宗 建中 3년(782), 위응물은 滁州刺史職을 맡게 되었고그 이듬해 가을에 이 시를 썼다이 시는 평담한 맛을 추구했던 위응물의 시 세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도 유명하다시 전편에 警句가 눈에 띄지 않지만 시의 맑은 느낌은 시인이 흠모했던 도연명의 風格을 띠었다고 평가받는다.
제목의 ‘寄’라는 말에서 산중도사를 그리는 마음이 자연스레 토로되었는데시가 진행되면서 그 마음이 차츰차츰 더 깊어지는 세심함을 느낄 수 있다첫 구절의 ‘冷’자는 시를 쓴 動機를 나타내면서 시 전체를 꿰뚫는 글자다.
나라 葛立方은 《韻語陽秋》에서 위응물의 시를 다음과 같이 평하였다.
위응물의 시는 평이한 곳이 매우 많으나 五字句에 있어서는 초연하게 常規를 뛰어넘었다그러므로 백낙천은 ‘韋蘇州(위응물)의 五言詩는 高雅하고 閒淡해 스스로 一家의 本體를 이루었다.’고 하였고 동파 또한 백낙천의 長短句 3천 수는 도리어 위응물의 五字詩보다 못하다.’고 하였다.[韋應物詩 平平處甚多 至於五字句 則超然出於畦逕之外 故白樂天云 韋蘇州五言詩 高雅閒淡 自成一家之體 東坡亦云 樂天長短三千首 卻遜韋郞五字詩]”

 
 
 

4.集評

 
 

○ 韋蘇州詩云 落葉滿空山 何處尋行跡 東坡用其韻曰 寄語庵中人 飛空本無迹 此非才不逮 蓋絶唱不當和也 宋 許顗《彦周詩話》
韋蘇州(위응물시에, “낙엽이 빈산에 가득하니어디서 발자취 찾을 수 있을까.[落葉滿空山 何處尋行跡]”라 하였는데동파가 그 을 써서 “초막에 있는 사람에게 말을 전하고자 하나허공을 날아다녀 본래 자취가 없구나.[寄語庵中人 飛空本無迹]”라 하였다이는 재주가 미치지 못해서가 아니요대개 絶唱은 和韻하는 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 化工筆 與淵明 采菊東籬下 悠然見南山 妙處不關言語意思 淸 沈德潛《唐詩別裁集》 卷3
조물주의 필법이다도연명의 “동쪽 울타리 아래서 국화 따다가아득히 남산이 바라보이네[采菊東籬下 悠然見南山]”라는 것과 더불어 오묘한 곳은 언어나 意思와는 무관한 것이다.
○ 寄全椒山中道士一作 東坡刻意學之而終不似 盖東坡用力 韋公不用力 東坡尙意 韋公不尙意 微妙之詣也 淸 施補華《峴傭說詩》
〈寄全椒山中道士〉 한 편은 동파가 각별히 힘을 써서 배웠지만 끝내 닮지 못하였다대개 동파는 힘을 썼으나 위응물은 힘을 쓰지 않았고동파는 의도적인 것을 추구했으나 위응물은 의도적인 것을 추구하지 않았기에 미묘한 지경에 이른 것이다.

 
 
 

5.譯註

 
▶ 全椒山 全椒縣에 있는 산 이름이다지금의 安徽省 全椒縣으로 나라 때에는 滁州에 속해 있었다《一統志》에, “滁州에 全椒縣이 있고 에는 산이 있는데 산에 있는 동굴이 아주 깊고 景物이 그윽하다나라 韋應物의 〈寄全椒山中道士〉라는 시는 바로 이곳을 말한다.[滁州有全椒縣 縣有山 山有洞極深 景物幽邃 唐韋應物寄全椒山中道士詩卽此]”라는 기록이 있다.
▶ 郡齋 滁州刺史의 官署 가운데 學舍나 書齋에 해당하는 건물이다.
▶ 煮白石 흰 돌은 전설에서 神仙이 먹는 음식이다劉向의 《列仙傳》 〈白石生〉에, “白石生은 中黃丈人의 제자로 彭祖 때 이미 2,000살 정도였다날아다니는 걸 좋아하지는 않고 다만 長生을 귀하게 여겼으며 흰 돌을 삶아 식량으로 삼았다 …… 白石山에 가서 살았으므로 白石生이라 한다.[白石生 中黃丈人弟子 彭祖時已二千餘歲 不愛飛昇 但以長生爲貴 嘗煮白石爲糧……因就白石山居 號白石生]”라는 기록이 보인다후에 ‘흰 돌을 삶다.[煮白石]’는 말은 道家의 修練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