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26.賊退示官吏 幷序(적퇴시관리 병서)-元結(원결)

耽古樓主 2023. 10. 29. 10:58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賊退示官吏 幷序(적퇴시관리 병서)
-元結(원결)

癸卯歲 西原賊入道州 焚燒殺掠 幾盡而去.
癸卯年에 西原 지역 도적들이 道州로 쳐들어와 불을 지르고 살상과 약탈을 자행하여 거의 다 쓸어버린 뒤에 물러갔다.
明年 賊又攻永州 破邵 不犯此州邊鄙而退 豈力能制敵歟.
이듬해 도적들이 또 永州를 공격해 邵州를 파괴했는데 그 고을의 주변지역은 침범하지 않고 물러갔으니어찌 힘으로 적을 제압할 수 있었겠는가.
蓋蒙其傷憐而已.
적들이 가엾게 여겨준 덕분이었다.
諸使何爲忍苦徵歛.
그런데 관리들은 어쩌면 그리도 잔인하리만큼 혹독하게 세금을 거둘 수 있단 말인가.
故作詩一篇以示官吏.
그러므로 시 한 편을 지어 관리들에게 보인다.

 

 

昔歲逢太平, 山林二十年.
지난 날 태평시절엔, 산림 속에서 스무 해를 보냈지요.
泉源在庭戶, 洞壑當門前.
샘은 뜨락에 있었고, 깊은 계곡도 문 앞에 있었지요.

 

井稅有常期, 日晏猶得眠.
세금에도 정해진 기한이 있어, 해가 높이 솟아도 잠잘 수 있었답니다.
忽然遭世變, 數歲親戎旃.
갑자기 시절이 변하여, 수 년 동안 兵亂을 겪었다.

 

今來典斯郡, 山夷又紛然
지금 이 고을을 맡게 되었는데, 산적들이 또 어지러이 일어났습니다.
城小賊不屠, 人貧傷可憐
마을이 작아 도적들조차 해치지 아니하니, 가난하고 상처입은 백성들이 가련해서랍니다.


是以陷鄰境, 此州獨見全.
이에 이웃 지역은 함락됐지만, 이 고을만은 홀로 온전했습니다
使臣將王命, 豈不如賊焉.
사신들은 왕명을 받들고 왔으면서, 어찌 도적보다 못한 것인지.

 

今彼徵歛者, 迫之如火煎.
지금 저 세금 거두는 관리들, 백성들 핍박하길 불에 볶듯 한다.
誰能絶人命, 以作時世賢.
누가 사람 목숨 해치고서, 시대의 현인인들 될 수 있겠습니까.

 

思欲委符節 , 引竿自刺船.
생각 같아선 부절 버리고, 상앗대 가지고 홀로 배를 저어
將家就魚麥 , 歸老江湖邊.
가족과 함께 곡식과 해산물 풍성한 곳으로 가, 물가에서 만년을 보내고 싶을 뿐입니다

 
 

2.通釋

 
지난날 태평시절엔 산림 속에서 살며 스무 해를 무사히 보냈습니다.
샘이 집안 뜨락에 있었고 깊은 계곡도 바로 문 앞에 있었습니다.
세금은 정해진 기한이 있어 해가 중천에 뜬 늦은 시각까지도 여전히 잠을 잘 수 있을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시절이 변하여서 수 년 동안 직접 난리를 다 겪었고지금은 이 고을을 맡게 되었는데 산적들이 또 어지럽게 여기저기서 일어났습니다.
마을이 작아서 도적들조차 해치지 않으니가난하고 상처 입은 백성들을 그들이 가련하게 여겼기 때문입니다.
이 일로 해서 이웃 마을은 도적들에게 함락되었지만 유일하게 이 고을만 온전히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왕명을 받들고 이 고을에 내려온 사신들은 어찌 도적만도 못한 것입니까.
지금 세금을 거두는 저 관리들은 불에 볶듯 백성들을 핍박해 세금을 거두니백성의 목숨을 해쳐서야 누군들 한 시대의 훌륭한 관리라 할 수 있겠습니까.
마음 같아서는 관리의 징표인 부절을 버리고상앗대 가지고 홀로 배를 저어가족들 데리고 해산물과 곡식이 넉넉한 곳으로 떠나 물가에서 만년을 보내고 싶을 따름입니다.
 
 

3.解題

 

원결은 道州刺史를 맡은 지 2년째 되는 해그의 나이 42세(764) 때 이 시를 썼다그가 다스리던 道州가 西原蠻族들의 소요로 인해 어지러웠는데이듬해 조정에서는 세금 거두는 관리를 보내어 가혹하게 세금을 징수하였다원결은 백성들을 괴롭히지 않고 잘 보살피는 관리를 염원하였으므로 이 시를 지어 그들에게 보인 것이다시는 태평시대의 기억뒤이은 변란그리고 도적들만도 못한 관리들의 모습마지막으로 시대에 분노하는 시인의 모습을 차례로 서술하고 있다.
두보의 시 가운데 〈同元使君舂陵行 幷序〉란 시가 있다두보는 이 시의 서문에서원결의 〈舂陵行 幷序〉와 〈賊退示官吏 幷序〉를 읽고 원결을 높이 평가하였고원결의 詩意에 동감하여 자신 또한 救世에 뜻이 있음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4.集評

 

 

 

5.譯註

 
▶ 元結 : 719~772. 는 次山호는 漫叟로 魯山人이다玄宗 天寶 12년(753) 진사가 되었다安史의 난에 탁월한 전공을 세웠으며 저서로 《元次山集》이 있다.
▶ 癸卯歲 나라 代宗 廣德 元年(763), 원결의 나이 41세 때로 이 해 원결은 道州刺史를 맡고 있었다.
▶ 西原 지금의 廣西省 扶南縣 西南지역으로《唐書》에 〈西原蠻傳〉이 보인다.
▶ 永州 지금의 湖南省 零陵縣이다.
▶ 邵 지금의 湖南省 寶慶縣이다.
▶ 邊鄙 주변지역이란 뜻이다.
▶ 泉源 물이 솟는 근원처를 말하며 泉原으로 쓰기도 한다.
▶ 洞壑 깊은 계곡 혹은 동굴을 뜻하는데신선이 사는 곳을 주로 가리킨다.
▶ 井稅 田稅를 말한다.
▶ 親戎旃 兵亂을 겪음을 이른다. ‘戎旃’은 군대의 깃발로 군영을 뜻한다.
▶ 典斯郡 : ‘典’은 맡는다는 뜻이며, ‘斯郡’은 道州를 말한다.
▶ 山夷 원래는 산중의 무장세력에 대한 貶稱이다여기서는 西原 蠻族을 말한다.
▶ 使臣將王命 : ‘使臣’은 당시 租庸使를 가리킨다세금을 걷기 위해 각 州縣에 파견된 관리들이다. ‘將’은 받든다는 뜻이다.
▶ 今彼徵歛者 : ‘令彼徵歛者’로 되어 있는 本도 있다으로 해석하면 ‘徵歛者’는 중앙에서 내려온 관리 아래 징수 실무를 담당하는 다른 하급관원들이 되고으로 해석하면 ‘徵歛者’는 중앙에서 내려온 관리들이 된다.
▶ 時世賢 당시 통치자들이 賢能하다고 인정하는 관리이다.
▶ 委符節 : ‘委’는 버린다[放棄]는 뜻이다. ‘符節’은 관리들의 印信으로 文字를 篆刻해 반으로 쪼개 각자 보관해 두었다가 일이 생기면 서로 맞춰보았다.
▶ 刺船 : ‘刺’(척)은 노를 젓는다는 뜻이다.
▶ 將家就魚麥 : ‘將’은 거느리다데려가다라는 뜻이다. ‘魚麥’은 魚米之鄕으로 어류와 곡물 생산이 풍부한 지방을 말한다.
▶ 歸老 사직하고 만년을 보내다혹은 만년을 보내다終老 또는 養老로도 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