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題目 作者 原文 解釋
登高〈등고〉 -杜甫(두보) |
風急天高猿嘯哀 渚淸沙白鳥飛回.
바람 급하고 하늘 높고 원숭이 울음 슬프고 물 맑고 모래 흰데 새는 빙빙 날고 있다.
無邊落木蕭蕭下 不盡長江滾滾來.
가없이 우수수 나뭇잎 떨어지고 다함없이 넘실대며 긴 강물 흐른다.
萬里悲秋常作客 百年多病獨登臺.
만리 밖에서 가을을 슬퍼하며 늘 나그네 되어 늘그막에 병든 몸으로 홀로 누대에 오른다.
艱難苦恨繁霜鬢 潦倒新停濁酒杯.
온갖 고난에 늘어난 흰머리 너무도 한스럽고 늙고 쇠하여 탁주잔을 요사이 멈추었네
2.通釋
가을 하늘은 넓고도 높은데 바람은 매우 급하게 불고 무협의 원숭이 울음소리는 끊임없이 슬프게 들려온다.
가을 물은 맑고, 작은 모래톱에는 하얀 모래가 펼쳐진 가운데 물새는 그 위를 빙빙 돌며 날고 있다. 눈을 들어 바라보니 사방에 낙엽은 우수수 끊임없이 지고 장강 또한 넘실넘실 끝없이 흐른다.
자주 객지 생활을 하는 중에, 이렇게 만리 밖에서 重陽節을 맞게 되니 그간의 괴로움과 고통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겹쳐 배가 된다.
일생 동안 병치레를 하였는데, 이렇게 홀로 누대에 오르게 되는구나.
힘들고 괴로워 백발이 많아진데다, 폐병까지 겹쳐 근자에는 술도 제대로 못 마시게 되었다.
3.解題
이 시는 杜甫가 夔州에 있을 때 지은 것으로, 중양절에 높은 곳에 올라 주위를 관망하며 자신의 감정을 풀어 쓴 시이다.
산과 바다도 뒤엎을 만한 호탕한 기세를 담으면서도 시인 자신의 쓸쓸한 情懷를 대비시킨 것이 특징이다.
1‧2구는 ‘風急’, ‘天高’, ‘猿嘯哀’, ‘渚淸’, ‘沙白’, ‘鳥飛回’ 6개의 형상으로 조합하였다.
따라서 읽어보면 매우 急促하여 가을의 소슬한 意境과 만물이 凋零한 것에 대한 감상을 잘 묘사하였다.
앞의 네 구는 가을의 景象을 묘사하였으며, 뒤의 네 구는 자신의 감회를 풀어내어 일생의 悲歡이 모두 이 시를 통해 표출된다고 평가된다.
4.集評
○ 七律爲格調所拘 欲寓神明于矩矱 殊非易事
칠언율시는 격조에 얽매이니, 법도에 神明을 부치려고 하나 매우 어려운 일이다.
惟少陵才大 變化從心 如公孫舞劍 極縱橫動蕩之致
오직 두소릉(杜甫)만이 재능이 위대하여 마음먹은 대로 변화시켰는데, 마치 공손랑이 검무를 추는 것과 같이 종횡으로 動蕩하는 극치를 다하였다.
七律而同于七古之排奡也
칠언율시이지만 칠언고시의 排奡과 같다.
起結皆用對句 一提便起 一勒便住 忘其爲對偶
〈시의〉 처음과 끝에서 모두 대구를 사용하였는데 한 번 끌면 일어나고 한 번 조이면 멈추어서 對偶가 된 것조차 잊게 된다.
首句于對仗中兼用韻 分之有六層意 合之則寫其登高縱目 若秋聲萬種 排空雜遝而來
首句에서는 대구를 맞추면서도 운자를 썼는데, 나누면 여섯 층의 의미가 있고, 합쳐보면 높은 곳에 올라 마음대로 눈길을 주자 마치 온갖 종류의 가을 소리가 허공을 가르며 함께 밀려들어오는 것과 같음을 묘사한 것이다.
中四句 風利不得泊 有一瀉千里之勢 純以氣行 而意自見
가운데 4구는 세찬 바람을 타고서 멈출 수 없어 일사천리로 나아가는 기세가 있으니 순전히 기운으로써 나아간 것이지만 뜻이 절로 드러난다.
五六句亦分六層意 而以融合出之
5‧6구 또한 여섯 층의 뜻으로 나뉘지만 그것을 잘 융합시켰다.
末句感時傷老 雖佳節開筵 而停杯不御 極寫其潦倒之懷也 與卽從巴峽穿巫峽 便下襄陽向洛陽詩 格調相同
마지막 구에서는 시절에 감회가 생겨 늙어감을 아파하는 것으로, 비록 가절에 연회가 베풀어졌지만 잔을 멈추고 마시지 못하니 그 失意한 정회를 극진히 묘사하였는데, ‘즉시 파협에서 무협을 쏜살같이 지나, 곧장 양양으로 내려가 낙양으로 향하리.[從巴峽穿巫峽 便下襄陽向洛陽(注10)]’라는 시구와 격조가 같다.
若仿其用對句作收筆 以結束無力 則無異頸腹二聯矣 - 現代 兪陛雲, 《詩境淺說》
만약 대구를 써서 시를 마무리 짓는 것을 모방하되 결론 부분에 힘이 없다면 頷聯‧頸聯과 차이가 없을 것이다.
○ 杜陵詩云 萬里悲秋常作客 百年多病獨登臺
杜甫의 시에 ‘萬里悲秋常作客 百年多病獨登臺’라 하였는데,
蓋萬里地之遠也 秋 時之凄慘也 作客 羈旅也 常作客 久旅也
대개 ‘萬里’란 지역이 먼 것이요, ‘秋’는 시절이 처량하고 슬픈 것이요, ‘作客’은 나그네 생활을 하는 것이요, ‘常作客’은 오랫동안 떠돌았다는 것이요,
百年 齒暮也 多病 衰疾也 臺 高逈處也 獨登臺 無親朋也
‘百年’은 나이가 많다는 뜻이요, ‘多病’은 쇠약하여 병이 든 것이요, ‘臺’는 높고 먼 곳이요, ‘獨登臺’란 친한 벗이 없다는 뜻이다.
十四字之間含八意 以對偶又精確 - 淸 仇兆鰲, 《杜詩詳注》
14자 사이에 여덟 개의 뜻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우 또한 정확하다.
○ 上四 登高聞見之景 下四 登高感觸之情
앞의 네 구는 높은 곳에 올라 견문한 경치를 읊은 것이며, 뒤의 네 구는 높은 곳에 올라 촉발된 감정을 읊은 것이다.
登高二字 明與首章相應
‘登高’ 두 글자는 분명하게 首章과 상응한다.
猿嘯鳥飛 落木長江 各就一山一水對言 是登高遙望所得者
‘猿嘯’와 ‘鳥飛’, ‘落木’과 ‘長江’은 각각 山水로써 대구를 맞추었으니 높은 곳에 올라 멀리 바라보며 얻은 것이다.
以上聯多用實字寫景 下聯多用虛字摹神 - 淸 仇兆鰲, 《杜詩詳注》
상련에는 實字로 寫景한 부분이 많고, 하련에는 虛字로 摹神한 부분이 많다.
○ 八句皆對 起二句 對擧之中 仍復用韻 格奇而變 - 淸 沈德潛, 《唐詩別裁集》 卷13
여덟 구가 모두 對가 되는데, 처음 두 구는 대구를 맞추면서도 다시 운자를 썼는데, 격이 기이하고도 변화가 있다.
○ 高渾一氣 古今獨步 當爲杜集七言律詩第一 - 淸 楊倫, 《杜詩鏡銓》 卷17
고아하고도 혼연하여 한 기운으로 이루어졌으니 고금의 독보적인 것으로, 杜甫 시집의 칠언율시 가운데 제일이다.
5.譯註
▶ 登高 : 음력 9월 9일 重陽節에, 높은 곳에 오르는[登高] 풍속이 있었다.
▶ 猿嘯哀 : 巫峽에 원숭이가 많으므로 그 울음소리가 처량하고 슬프게 들리는 것이다.
▶ 無邊落木蕭蕭下 : ‘無邊’은 無邊無際로서, 즉 끝이 없다는 뜻이다. ‘落木’은 落葉과 같으며, ‘蕭蕭’는 잎이 떨어지는 소리를 형용한 것이다.
▶ 不盡 : 無窮無盡과 같은 의미이다.
▶ 萬里悲秋常作客 : 이는 杜甫가 만리타향에서 가을을 맞이하여 경물을 대함에 슬픔이 생겨나고 오랜 객지 생활로 인해 더욱 상심함을 나타낸 구절이다. ‘客’은 杜甫 자신을 지칭한다.
▶ 百年多病獨登臺 : ‘百年’은 일생을 의미한다. 옛사람들은 일생이 백년을 넘지 못한다고 여겼기 때문에 일컬은 것이다. ‘獨登臺’는 중양절에 가족과 함께하지 못하고 홀로 높은 곳에 올라 먼 곳을 조망하는 것이다.
▶ 艱難苦恨繁霜鬢 : 오랜 객지 생활에서 겪게 되는 고난과 괴로움을 의미한다. ‘繁霜鬢’은 백발이 늘어난다는 뜻이다.
▶ 潦倒新停濁酒杯 : ‘潦倒’는 失意, 혹은 衰頹의 의미이다. ‘新停濁酒杯’는 시인이 폐병으로 인해 요사이 술을 끊었다는 뜻이다.
▶ 排奡 : 강하고 힘이 있어 호탕(豪宕)한 것을 말한다.
▶ 卽從巴峽穿巫峽 便下襄陽向洛陽 : 杜甫의 〈聞官軍收河南河北〉 마지막 구절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8.宿府〈숙부〉-杜甫(두보) (1) | 2023.12.02 |
---|---|
187.登樓〈등루〉-杜甫(두보) (1) | 2023.12.02 |
185.聞官軍收河南河北〈문관군수하남하북〉-杜甫(두보) (0) | 2023.12.01 |
184.野望〈야망〉-杜甫(두보) (1) | 2023.12.01 |
183.客至〈객지〉-杜甫(두보) (0) | 202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