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맹자집주 (261)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46JG/btr3XWHR5CO/aWX0nswkEkPb9eLQwP5yqk/img.jpg)
孟子曰: 「仲子, 不義與之齊國而弗受, 人皆信之, 是舍簞食豆羹之義也. 人莫大焉亡親戚·君臣·上下. 以其小者信其大者, 奚可哉?」 孟子가 말하였다. “陳仲子는 不義로써 그에게 齊나라를 주더라도 받지 않을 것을 사람들이 모두 믿고 있거니와, 이것은 한 그릇의 밥과 한 그릇의 국을 버리는 정도의 廉義이다. 사람에게는 人倫보다 더 큰 것이 없는데 親戚과 君臣과 上下관계를 무시하였다. 그의 작은 염의를 가지고 인륜의 큰 것이라 믿으니 어찌 현명하다고 하겠는가?” 仲子, 陳仲子也. 仲子는 陳仲子이다. 言 仲子設若非義而與之齊國, 必不肯受. 齊人皆信其賢, 然此但小廉耳. ‘仲子는 설령 義가 아닌 것으로 齊나라를 주더라도 필시 받으려 하지 않을 것이니, 齊나라 사람들이 모두 그의 어짊을 믿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다만 작은 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vOuJt/btr3WbSPZEH/iqeKY5KQteUrom4Nu7pqc0/img.jpg)
桃應問曰: 「舜爲天子, 皐陶爲士, 瞽瞍殺人, 則如之何?」 桃應이 물었다. “舜임금이 天子가 되고 皐陶가 士가 되었는데, 瞽瞍가 사람을 죽였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桃應, 孟子弟子也. 桃應은 孟子의 弟子이다. 其意以爲舜雖愛父, 而不可以私害公; 皐陶雖執法, 而不可以刑天子之父. 도응은 속으로 ‘舜임금이 비록 아버지를 사랑하나, 사사로운 情으로 公義를 해칠 수 없고, 皐陶는 비록 法을 집행하고 있으나, 天子의 아버지를 형벌할 수는 없다.’라고 여겼다. 故設此問, 以觀聖賢用心之所極, 非以爲眞有此事也. 그러므로 이러한 질문을 하여 聖賢의 마음 씀의 지극함을 살펴보려 한 것이지, 실제로 이런 일이 있다고 한 것은 아니다. 孟子曰: 「執之而已矣.」 孟子가 말하였다. “法을 집행할 뿐이다.” 言皐陶之心, 知有法而已,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11Pt/btr32vKcVhN/sAt3LiwrkW3npux4ln8MM1/img.jpg)
孟子自范之齊, 望見齊王之子. 喟然歎曰: 「居移氣, 養移體, 大哉居乎! 夫非盡人之子與?」 孟子가 范땅으로부터 齊나라에 가서 齊王의 아들을 멀리서 보고, 喟然히 말하였다. “거처가 기세를 바꾸어 놓고 봉양이 몸을 바꿔놓으니, 크구나, 거처이여! 모두 사람의 자식이 아니겠는가? 范, 齊邑. 范은 齊나라 고을이다. 居, 謂所處之位. 居는 處하는 바의 자리를 이른다. 養, 奉養也. 養은 奉養함이다. 言人之居處, 所繫甚大, 王子亦人子耳, 特以所居不同, 故所養不同而其氣體有異也. ‘사람의 거처는 관계된 바가 매우 크니, 王子도 또한 사람의 자식이로되, 다만 거처하는 곳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러므로 봉양하는 바가 같지 않아 그 氣와 體에 다름이 있다.’라는 말이다. 孟子曰: 「王子宮室·車馬·衣服多與人同, 而王子若彼者,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qllGc/btr3XzMVGJq/RJ5XnEoE6FuB6KFJEb0O90/img.jpg)
孟子曰: 「食而弗愛, 豕交之也; 愛而不敬, 獸畜之也. 孟子가 말하였다. “먹이기만 하고 사랑하지 않으면 돼지로 대하는 것이요, 사랑하되 공경하지 않으면 짐승으로 기르는 것이다. ►交=接=待 ►六畜:馬羊牛(초식)鷄犬豚(곡물) 육축 중에 豚은 역할이 없으니 천하다고 봄. 馬:乘 羊:乳, 毛 牛:耕 鷄:晨 犬:守夜 交, 接也. 畜, 養也. 交는 接함이요, 畜(휵)은 기름이다. 獸, 謂犬馬之屬. 獸는 개와 말의 등속이다. 恭敬者, 幣之未將者也. 恭敬이라는 것은 幣帛을 받들기 전에 이미 있는 것이다, 將, 猶奉也. 詩曰: 「承筐是將.」 將은 奉과 같으니, 詩經(小雅 鹿鳴篇)에 이르기를, ‘광주리로 받아 받든다.’라고 하였다. 程子曰: 「恭敬雖因威儀幣帛而後發見, 然幣之未將時, 已有此恭敬之心, 非因幣帛而後有也.」 程..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H4JEG/btr38ovKIyy/mPOAaRvRYbjk1QJLD0wTdK/img.jpg)
孟子曰: 「形色, 天性也; 惟聖人, 然後可以踐形.」 孟子가 말하였다. “形體와 氣色은 天性이니, 오직 聖人인 뒤에야 形色을 실천할 수 있다.” 人之有形有色, 無不各有自然之理, 所謂天性也. 사람의 形體가 있고 氣色이 있는 것은 각기 自然의 이치가 있지 않음이 없으니, 이른바 天性이다. 踐, 如踐言之踐. 踐은 말을 실천한다는 踐과 같다. 蓋衆人有是形, 而不能盡其理, 故無以踐其形; 惟聖人有是形, 而又能盡其理, 然後可以踐其形而無歉也. 衆人들은 이 형색을 가지고 있으나 능히 그 이치를 다하지 못하므로 그 形色을 實踐할 수 없고 오직 聖人은 이 형체를 가지고 있고 또 능히 그 이치를 다할 수 있으니, 그러한 뒤에야 그 형색을 실천하여 부족함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程子曰: 「此言聖人盡得人道而能充其形也. 蓋人得天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knGN/btr35dvc8f1/aG0JnxJHGkXWjuhk5VrpYk/img.jpg)
齊宣王欲短喪. 齊나라 宣王이 喪期를 단축하고자 하였다. 公孫丑曰: 「爲期之喪, 猶愈於已乎?」 公孫丑가 말하였다. “期年의 居喪이 그래도 그만두는 것보다는 나을 터이다.” 已, 猶止也. 已는 止와 같다. 孟子曰: 「是猶或紾其兄之臂, 子謂之姑徐徐云爾, 亦敎之孝弟而已矣.」 孟子가 말하였다. “이는 혹자가 그 兄의 팔뚝을 비트는데, 그대가 그에게 이르기를 우선 천천히 하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또한 제선왕에게도 孝弟를 가르칠 뿐이다.” 紾, 戾也. 진(紾)은 어그러지게 하는 것이다. 敎之以孝弟之道, 則彼當自知兄之不可戾, 而喪之不可短矣. 孝弟의 도리를 가르치면, 저는 마땅히 兄을 비틀어서는 안 되고 喪期를 단축해서는 안 됨을 스스로 알게 되리라. 孔子曰: 「子生三年, 然後免於父母之懷, 予也有三年之愛於其父母乎?」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HOdU/btr36RkQ3o7/OuR6w6EtGK7bpuCJQFIrlK/img.jpg)
孟子曰: 「君子之所以敎者五: 孟子가 말하였다. “君子가 가르치는 방법이 다섯 가지이다. 下文五者, 蓋因人品高下, 或相去遠近先後之不同. 아래 글의 다섯 가지는, 人品의 高下와, 或은 서로간 거리의 遠近과 先後가 같지 않음으로 因한 것이다. 有如時雨化之者, 時雨(단비)가 化育하듯이 하는 경우가 있으며, 時雨, 及時之雨也. 時雨는 때에 알맞은 비이다. 草木之生, 播種封植, 人力已至而未能自化, 所少者, 雨露之滋耳. 초목이 자랄 때 파종하고 잘 북돋아 주어, 인력이 이미 지극하여도 능히 스스로 화육하지 못하니, 이때 부족한 것은 雨露의 滋養일 뿐이다. 及此時而雨之, 則其化速矣. 이때에 미쳐서 비가 내리면 그 화육함이 빠르다. 敎人之妙, 亦猶是也, 若孔子之於顔曾是已. 사람을 교화시키는 묘법도 또한 이와 같으니, 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Ppi8/btr34Np0UuX/uOK0QQvO8prAMDBTkVekt1/img.jpg)
公孫丑曰: 「道則高矣, 美矣, 宜若登天然, 似不可及也. 何不使彼爲可幾及而日孶孶也?」 公孫丑가 말하였다. “성인의 道가 높고 아름다우나, 아마도 하늘에 오르는 것과 같아서, 미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어찌 배우는 사람에게 거의 미칠 수 있다고 여기게 해서, 날마다 부지런히 부지런히 힘쓰게 하지 않습니까?” ►宜=疑 孟子曰 大匠不爲拙工 改廢繩墨 羿不爲拙射 變其彀率. 孟子가 말하였다. “솜씨 좋은 목수가 拙工을 위하여 먹줄놓는 법을 고치거나 廢하지 않으며, 羿가 拙射를 위하여 활 당기는 率을 변경하지 않는다. 彀率, 彎弓之限也. 彀率(구솔)은 활을 당기는 한계이다. 言敎人者, 皆有不可易之法, 不容自貶以殉學者之不能也. ‘사람을 가르치는 자에게는 모두 바꿀 수 없는 법칙을 가지고 있으니, 스스로 貶下하여 배우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5zhzD/btr38MDltWl/qDeTogCy6tTP6fZCQjJVoK/img.jpg)
孟子曰: 「天下有道, 以道殉身; 天下無道, 以身殉道. 孟子가 말하였다. “天下에 道가 있으면 道가 자신을 따라 실현되게 하고, 天下에 道가 없으면 자신이 道를 따른다. 殉, 如殉葬之殉, 以死隨物之名也. 殉은 殉葬의 殉과 같으니 죽음으로써 상대방을 따름을 이른다. 身出則道在必行, 道屈則身在必退, 以死相從而不離也. 자신이 출사하면 道는 반드시 실천함에 있고, 道가 굽혀지면 몸은 반드시 물러남에 있어야 하니, 죽음으로써 뒤따르고 떨어지지 말아야 한다. 未聞以道殉乎人者也.」 도를 가지고 남을 따른다는 말은 내가 듣지 못하였다.” 以道從人, 妾婦之道. 道를 가지고 남을 따름은 妾婦의 道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u65G/btr35xmImJn/y5gmlsvGuG8kF071yJT6BK/img.jpg)
公都子曰: 「滕更之在門也, 若在所禮而不答, 何也?」 公都者가 말하였다. “滕更이 문하에 있을 적에 禮遇할 입장에 있은 듯한데 (그의 물음에) 대답하지 않으심은 어째서입니까?” 趙氏曰: 「滕更, 滕君之弟, 來學者也.」 趙氏가 말하기를, ‘滕更은 滕나라 군주의 아우로, 와서 배운 자이다.’라고 하였다. 孟子曰: 「挾貴而問, 挾賢而問, 挾長而問, 挾有勳勞而問, 挾故而問, 皆所不答也. 滕更有二焉.」 孟子가 말하였다. “貴한 신분을 믿고 묻거나, 재능을 믿고 묻거나, 나이 많음을 믿고 묻거나, 功勞가 있음을 믿고 묻거나, 底意를 가지고 물으면, 모두 대답하지 않는 것이다. 滕更이 그것 중에 두 가지를 가지고 있었다.” 趙氏曰: 「二, 謂挾貴·挾賢也.」 趙氏가 말하였다. ‘두 가지는 挾貴와 挾賢을 이른다.’ 尹氏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