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맹자집주 진심장구 상 제43장 본문
반응형
公都子曰:
「滕更之在門也, 若在所禮而不答, 何也?」
公都者가 말하였다.
“滕更이 문하에 있을 적에 禮遇할 입장에 있은 듯한데 (그의 물음에) 대답하지 않으심은 어째서입니까?”
趙氏曰:
「滕更, 滕君之弟, 來學者也.」
趙氏가 말하기를,
‘滕更은 滕나라 군주의 아우로, 와서 배운 자이다.’라고 하였다.
孟子曰:
「挾貴而問, 挾賢而問, 挾長而問, 挾有勳勞而問, 挾故而問, 皆所不答也.
滕更有二焉.」
孟子가 말하였다.
“貴한 신분을 믿고 묻거나, 재능을 믿고 묻거나, 나이 많음을 믿고 묻거나, 功勞가 있음을 믿고 묻거나, 底意를 가지고 물으면, 모두 대답하지 않는 것이다.
滕更이 그것 중에 두 가지를 가지고 있었다.”
趙氏曰:
「二, 謂挾貴·挾賢也.」
趙氏가 말하였다.
‘두 가지는 挾貴와 挾賢을 이른다.’
尹氏曰:
「有所挾, 則受道之心不專, 所以不答也.」
尹氏가 말하였다.
‘믿는 바가 있으면 道를 받는 마음이 專一하지 못하니, 이 때문에 대답해주지 않았다.’
此言
君子雖誨人不倦, 又惡夫意之不誠者.
이것은
‘君子가 비록 사람을 가르치기를 게을리하지 않으나, 또한 뜻이 정성스럽지 못한 자를 싫어한다.’라는 말이다.
반응형
'맹자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집주 진심장구 상 제41장 (0) | 2023.03.16 |
---|---|
맹자집주 진심장구 상 제42장 (0) | 2023.03.16 |
맹자집주 진심장구 상 제44장 (0) | 2023.03.16 |
맹자집주 진심장구 상 제45장 (0) | 2023.03.16 |
맹자집주 진심장구 상 제46장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