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논어집주 (501)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 第十章 顏淵問為邦。 顔淵이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물었다. 顏子王佐之才,故問治天下之道。 顔淵은 王者를 보좌할 만한 재목이었다. 그러므로 天下를 다스리는 方道를 물었다. 曰為邦者,謙辭。 (제후의)나라를 다스린다고 말한 것은 겸사이다. 子曰: 「行夏之時,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夏나라의 월력을 행하며, ” 夏時,謂以斗柄初昏建寅之月為歲首也。 夏나라 월력은 北斗星 자루가 초저녁에 寅方을 가리키는 달로써 歲首[정월]로 삼는다. 天開於子,地辟於丑,人生於寅,故斗柄建此三辰之月,皆可以為歲首。 하늘은 子會에서 열려지고, 땅은 丑會에서 열려지고, 人物은 寅會에서 생겨났다. 그러므로 北斗星 자루가 이 세 별을 가리키는 달을 모두 歲首로 삼았다. 而三代迭用之,夏以寅為人正,商以丑為地正,周以子為天正也。 三代가 번갈아 썼으니, ..
▣ 第十一章 子曰: 「人無遠慮,必有近憂。」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으로서 멀리 사려함이 없으면 틀림없이 가까운 근심이 있다.” 蘇氏曰: 「人之所履者,容足之外,皆為無用之地,而不可廢也。 故慮不在千里之外,則患在幾席之下矣。」 蘇氏가 말하였다. “사람이 발을 디딤에, 발을 용납하는 이외에는 모두 無用之地가 되나 버릴 수는 없다. 그러므로 생각이 천리 밖에 있지 않으면 근심은 几席의 아래에 있다.”
▣ 第十二章 子曰: 「已矣乎!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그만두어야겠다! 내 德을 좋아하기를 女色을 좋아하듯이 하는 자를 보지 못하였다.” 已矣乎,歎其終不得而見也。 已矣乎란 끝내 그런 사람을 얻어 보지 못함을 탄식하신 것이다.
▣ 第十三章 子曰: 「臧文仲其竊位者與? 知柳下惠之賢,而不與立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臧文仲은 아마도 지위를 도적질한 자일 터이다. 柳下惠가 재덕이 출중함을 알면서도 더불어 조정에 서지 아니하였구나!” ▶賢:才德出衆 竊位,言不稱其位而有愧於心,如盜得而陰據之也。 竊位란 그 지위에 걸맞지 못하여 마음에 부끄러움이 있어서 마치 도둑질하여 얻고 몰래 점거한 것과 같음을 말한다. 柳下惠,魯大夫展獲,字禽,食邑柳下,謚曰惠。 柳下惠는 魯나라 大夫 展獲이니 字는 禽이요, 柳下에 食邑을 하였고 시호를 惠라 하였다. 與立,謂與之並立於朝。 與立은 그와 더불어 함께 조정에 섬을 말한다. 范氏曰: 「臧文仲為政於魯,若不知賢,是不明也;知而不舉,是蔽賢也。 不明之罪小,蔽賢之罪大。 故孔子以為不仁,又以為竊位。」 范氏가 말하였다. “臧文仲..
▣ 第十四章 子曰: 「躬自厚而薄責於人,則遠怨矣。」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자기 몸에 자책하기를 후하게 하고, 남을 책망하기를 적게 한다면 원망이 멀어질 터이다.” 責己厚,故身益修;責人薄,故人易從。 자신을 책하기를 후하게 하므로 자신을 더욱 닦게 되고, 남을 책하기를 박하게 하므로 사람이 따르기 쉽다, 所以人不得而怨之。 사람들이 그를 원망할 수 없기 때문이다.
▣ 第十五章 子曰: 「不曰如之何如之何者,吾末如之何也已矣。」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어찌할까 어찌할까 하고 여기지 않는 자는 나도 어찌할 수가 없을 뿐이다.” 如之何如之何者,熟思而審處之辭也。 如之何如之何란 충분히 생각하고 살펴서 처리한다는 말이다. 不如是而妄行,雖聖人亦無如之何矣。 이와 같게 하지 않고 함부로 행동한다면 비록 聖人이라도 어찌할 수가 없다.
▣ 第十六章 子曰: 「群居終日,言不及義,好行小慧,難矣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여럿이 거처하며 하루를 마치면서도 말이 義에 미치지 못하고, 작은 지혜를 실행하기 좋아한다면 患難이 있을 터이다.” 小慧,私智也。 小慧는 사사로운 지혜이다. 言不及義,則放辟邪侈之心滋。 말이 義에 미치지 못하면 放辟하고 邪侈한 마음이 불어난다. 好行小慧,則行險僥倖之機熟。 작은 지혜를 행하기 좋아하면, 험한 것을 행하고 요행을 바라는 기틀이 무르익는다. 難矣哉者,言其無以入德,而將有患害也。 難矣哉란 德에 들어갈 수가 없어서 患害가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였다.
▣ 第十七章 子曰: 「君子義以為質,禮以行之,孫以出之,信以成之。 君子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는 義로써 바탕을 삼고, 禮로써 그것(義)을 행하며, 겸손함으로써 그것을 표출하며, 信으로써 그것을 완성하나니, 이것이 君子이다.” 義者制事之本,故以為質干。 義란 일을 제어하는 근본이므로 質幹[根幹]로 삼는다. 而行之必有節文,出之必以退遜,成之必在誠實,乃君子之道也。 의를 행할 때는 반드시 節文이 있으며, 의를 표출할 때는 반드시 겸손함으로써 하며, 의를 이룸에 틀림없이 성실함이 있는 것, 이것이 바로 君子의 道이다. ▶節文:품절과 법도 程子曰: 「義以為質,如質干然。 禮行此,孫出此,信成此。 此四句只是一事,以義為本。」 程子가 말씀하였다. “義로써 바탕을 삼는다는 것은 質幹과 같이 하는 것이다. 그러나 禮는 이것..
▣ 第十八章 子曰: 「君子病無能焉,不病人之不己知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는 자신이 無能함을 병으로 여기고, 남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병으로 여기지 않는다.”
▣ 第十九章 子曰: 「君子疾沒世而名不稱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는 종신토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못함을 싫어한다.” 范氏曰: 「君子學以為己,不求人知。 然沒世而名不稱焉,則無為善之實可知矣。」 范氏가 말하였다. “君子는 자신을 위하여 학문하고 남이 알아주기를 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종신토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않는다면, 善을 행한 실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病之者病我 疾之者疾人 (병통으로 여긴다 함은 자신에 대한 것이고 미워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에 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