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논어집주 (501)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 第九章 宰予晝寢。 子曰: 「朽木不可雕也,糞土之牆不可杇也, 於予與何誅。」 宰予가 낮잠을 자자,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고, 거름흙으로 쌓은 담장은 흙손질할 수가 없다. 내 宰予에 대하여 꾸짖을 것이 있겠는가?” 晝寢,謂當晝而寐。 晝寢은 낮을 당하여 잠자는 것을 말한다. 朽,腐也。雕,刻畫也。杇,鏝也。 朽는 썩은 것이요, 雕는 조각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이요, 杇는 흙손질이다. 言其志氣昏惰,教無所施也。 그 뜻과 기운이 게으르고 흐려서 가르침에 베풀 것이 없음을 말씀하였다. ▶志氣昏惰:志는 惰하고 氣는 昏함을 말한다. 與,語辭。誅,責也。言不足責,乃所以深責之。 與는 어조사이다. 誅는 꾸짖음이니, 꾸짖을 것이 없다고 말씀한 것은 바로 그를 깊이 꾸짖으신 것이다. 子曰: 「始吾於人也,聽其言..
▣ 第十章 子曰: 「吾未見剛者。」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아직 剛한 자를 보지 못하였다.” 或對曰: 「申棖。」 혹자가 대답하였다. “申棖입니다.” 子曰: 「棖也欲,焉得剛?」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申棖은 욕심이 많으니, 어찌 剛일 수 있겠는가?” 剛,堅強不屈之意,最人所難能者,故夫子歎其未見。 剛은 뜻이 굳세고 강하여 굽히지 않는다는 뜻이니, 사람으로서 가장 능하기 어려운 것이므로 夫子께서 아직 보지 못하였다고 탄식하셨다. 申棖,弟子姓名。 申棖은 弟子의 姓名이다. 欲,多嗜欲也。多嗜欲,則不得為剛矣。 欲은 嗜慾이 많은 것이다. 嗜慾이 많으면 剛함이 될 수 없다. 程子曰:「人有欲則無剛,剛則不屈於欲。」 程子가 말씀하였다. “사람이 욕심이 있으면 剛하지 않고, 剛하면 욕심에 굽히지 않는다.” 謝氏曰: 「剛與欲正..
▣ 第十一章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吾亦欲無加諸人。」 子貢이 말하였다. “저는 남이 나에게 시행하기를 원하지 않는 일을 저도 남에게 시행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子曰: 「賜也,非爾所及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賜야! 이것은 네가 미칠 바가 아니다.” 子貢言我所不欲人加於我之事,我亦不欲以此加之於人。 子貢이 말하기를 “남이 나에게 시행하기를 원하지 않는 일을 나도 남에게 시행하지 않으려고 한다.”라고 하였다. 此仁者之事,不待勉強,故夫子以為非子貢所及。 이것은 仁者의 일로서 억지로 힘쓸 필요가 없으므로 夫子께서 子貢이 미칠 바가 아니라고 하신 것이다. 程子曰: 「我不欲人之加諸我,吾亦欲無加諸人,仁也;施諸己而不願,亦勿施於人,恕也。 恕則子貢或能勉之,仁則非所及矣。」 程子가 말씀하였다. “내가 남이 나에게 시행하..
▣ 第十二章 子貢曰: 「夫子之文章,可得而聞也;夫子之言性與天道,不可得而聞也。」 子貢이 말하였다. “夫子의 文章은 들을 수 있었으나, 夫子께서 性과 天道를 말씀하시는 것은 들을 수 없었다.” 文章,德之見乎外者,威儀文辭皆是也。 文章은 德이 밖으로 나타나는 것이니, 威儀와 文辭가 모두 이것이다. 性者,人所受之天理;天道者,天理自然之本體,其實一理也。 性은 사람이 부여받은 天理요, 天道는 天理自然의 본체이니, 그 실상은 한가지 이치이다. 言夫子之文章,日見乎外,固學者所共聞;至於性與天道,則夫子罕言之,而學者有不得聞者。 夫子의 文章은 날마다 외면에 드러나서 진실로 배우는 자들이 함께 들을 수 있으나, 性과 天道에 있어서는 말씀을 적게 하시어 배우는 자들이 들을 수 없는 자가 있었다. 蓋聖門教不躐等,子貢至是始得聞之,而歎其美也..
▣ 第十三章 子路有聞,未之能行,唯恐有聞。 子路는 좋은 말을 듣고 아직 실행하지 못했으면 오히려 다른 말을 들을까 근심하였다. ▶唯:=猶 前所聞者既未及行,故恐復有所聞而行之不給也。 전에 들은 것을 아직 미처 실행하지 못하였으므로, 다시 들음이 있어 그것을 실행함에 충분하지 못할까 근심하였다. 范氏曰: 「子路聞善,勇於必行,門人自以為弗及也,故著之。 若子路,可謂能用其勇矣。」 范氏가 말하였다. “子路는 좋은 말을 들으면 반드시 실행하는 데 용감하니, 門人들이 스스로 따라갈 수 없다고 여겼으므로 이것을 기록하였다. 子路와 같다면 그 용맹을 잘 썼다고 말할 만하다.”
▣ 第十四章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 子貢이 물었다. “孔文子를 무엇 때문에 文이라고 시호하였습니까?” 子曰: 「敏而好學,不恥下問,是以謂之文也。」 孔子께서 대답하셨다. “明敏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였으며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이런 까닭으로 文이라 하였다.” 孔文子,衛大夫,名圉。 孔文子는 衛나라 大夫이니 이름은 어(圉)이다. 凡人性敏者多不好學,位高者多恥下問。 대체로 사람의 성품이 明敏한 자는 대부분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고, 지위가 높은 자는 대부분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럽게 여긴다. 故謚法有以「勤學好問」為文者,蓋亦人所難也。 그러므로 謚法에 부지런히 배우고 묻기를 좋아하는 것을 文이라 하는 것이 있으니, 이 역시 사람이 하기 어려운 것이다. 孔圉得謚為文,以此而已。 孔圉가 文..
▣ 第十五章 子謂子產: 「有君子之道四焉:其行己也恭,其事上也敬,其養民也惠,其使民也義。」 孔子께서 子産을 평하셨다. “君子의 道가 네 가지 있으니, 몸가짐이 공손하며, 윗사람을 섬김이 공경스러우며, 백성을 기름이 은혜로우며, 백성을 부림에 마땅하게 하였다.” 子產,鄭大夫公孫僑。 子産은 鄭나라 大夫 公孫僑이다. 恭,謙遜也。敬,謹恪也。惠,愛利也。 恭은 겸손이요, 敬은 삼감이요, 惠는 사랑하여 이롭게 하는 것이다. 使民義,如都鄙有章、上下有服、田有封洫、廬井有伍之類。 使民義란 이를테면 도시와 지방에 따라 법도의 차이가 있으며, 계급의 上下에 따라 복장이 다르며, 土地에는 두둑과 도랑을 두고, 집과 마을〔井〕에는 다섯 가호를 1保로 하는 따위와 같다. 吳氏曰: 「數其事而責之者,其所善者多也,臧文仲不仁者三、不知者三是也。 ..
▣ 第十六章 子曰: 「晏平仲善與人交,久而敬之。」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晏平仲은 남과 교제를 잘하는구나! 오래되어도 공경하니.” ▶皇本에는 ‘久人而敬之’라 하여 사람들이 안평중을 공경한다고 한다. 晏平仲,齊大夫,名嬰。 晏平仲은 齊나라의 大夫이니 이름은 嬰이다. 程子曰: 「人交久則敬衰,久而能敬,所以為善。」 程子가 말씀하였다. “사람은 사귀기를 오래하면 공경이 쇠해지니, 오래되어도 공경함은 사귀기를 잘한 것이다.”
▣ 第十七章 子曰: 「臧文仲居蔡,山節藻梲,何如其知也?」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臧文仲이 큰 거북을 보관하는 집을 짓는데 기둥머리 斗栱에는 山 모양을 조각하고 들보 위 동자기둥에는 水草를 그렸으니,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臧文仲,魯大夫臧孫氏,名辰。 臧文仲은 魯나라 大夫 臧孫氏이니 이름은 辰이다. 居,猶藏也。 居는 藏과 같다. 蔡,大龜也。 蔡는 큰 거북이다. (천자가 쓰는 거북으로 점칠 때 쓴다) 節,柱頭斗栱也。藻,水草名。 節은 기둥머리의 斗栱이다. 藻는 水草의 이름이다. 梲,樑上短柱也。 梲은 들보 위 동자기둥이다. 蓋為藏龜之室,而刻山於節、畫藻於梲也。 점을 칠 때 사용하는 거북껍질을 보관해 두는 방을 만들면서 기둥머리 두공에는 山 모양을 조각하고 들보 위 동자기둥에는 水草를 그렸다. 當時以文仲為知,孔子言..
▣ 第十八章 子張問曰: 「令尹子文三仕為令尹,無喜色;三已之,無慍色。 舊令尹之政,必以告新令尹。何如?」 子張이 물었다. “令尹인 子文이 세 번 出仕하여 令尹이 되었으되 기뻐하는 기색이 없었고, 세 번 벼슬을 그만두게 하였는데도 노한 기색이 없었습니다. 옛날 자신이 맡아보던 令尹의 정사를 반드시 새로 부임해온 令尹에게 알려주었으니, 어떻습니까?” 子曰: 「忠矣。」 孔子께서 대답하셨다. “충성스럽다.” 曰: 「仁矣乎?」 물었다. “仁이라고 할 만합니까?” 曰: 「未知,焉得仁?」 대답하였다. “모르겠다. 어찌 仁이 될 수 있겠는가?” 令尹,官名,楚上卿執政者也。 令尹은 벼슬 이름이니, 楚나라의 上卿으로 정권을 잡은 자이다. 子文,姓鬥,名谷於菟。 子文의 姓은 鬪요, 이름은 穀於菟(누오도)이다. 其為人也,喜怒不形,物我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