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116)
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虛詞) 未未尝 일찍이 ~한 적이 없다 未足 ~할 가치가 없다 未必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未는 첫째, 否定副詞로서 ① “없다, 아니다” “아직…하지 않다”라는 뜻을 나타내거나 ② 동사, 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의 앞에 쓰여 부정을 표시하는 不을 뜻하는 용법이 있다. 둘째, 문장의 끝에 쓰여 의문의 어기를 표시하는 용법이 있다. 이와 같이 문장의 끝에 “未” 자를 쓰게 되면, 기실은 다소간에 생략이 있다는 뜻을 내비치면서 의문의 어기를 포함하게 된다. 즉 “未” 자 다음에는 피부정적 언사가 이어지기 마련인데 그것은 생략될 수도 있다. 만약 의문문이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어기사 “也” 자를 쓴다. 의문문이라면, 어떠한 어기사도 쓰지 않는다. (1) 未는 부사로서 “아직 … 않다”의 의미로 쓰인다...
한문의 허사(虛詞) 勿勿은 대부분 부정부사로서 특히 금지사로 많이 쓰인다. 간혹 의미가 없는 조사로 쓰이는데 어법적 기능을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無와 毋의 경우와 같다. (1) 勿은 不과 용법이 같다.對曰: “信. 噫! 公命, 我勿敢言.” 《書經 金騰》-대답해 말했다: “진실입니다. 아! 주공께서 명하심에, 우리들이 감히 말을 못하옵니다.”君子于役, 如之何勿思? 《詩經 王風 君子于役》-임이 부역 가셨으니, 어찌 그립지 않으랴? (2) 勿은 금지의 명령 부사로 쓰인다.丹所報, 先生所言者, 國之大事也. 愿先生勿泄也! 《史記 刺客列傳》-제가 원수를 갚겠다고 한 것과, 그것을 선생과 의논한 것은, 모두 국가의 대사입니다. 원컨대 누설되지 않도록 해 주십시오.始皇謝曰: “已矣! 將軍勿復言!” 《史記 王翦列傳》-..
한문의 허사(虛詞) 無無有無는 본래 “없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그런데 만약 “없다”라는 뜻으로 無有라고 썼다면 여기에서의 “無”는 “有”자의 상황어(부사어)로서 이것은 곧 부정부사가 된다. 無는 또한 부정부사 “不”로 쓰이며, 또한 “…을 하지 말라”라는 뜻의 ‘금지사,’ 즉 “莫 ~하지마라” “不要 ~하지마라”라는 뜻으로 쓰인다. 기타 다른 용법도 더 있다. (1) 無는 無指代名詞로서 “아무도 없다” · “방법이 없다 · 어찌할 수 없다”의 뜻으로 쓰인다.相人多矣, 無如季相. 《史記 高祖本紀》-여러 사람의 상을 보았지만, 아무도 그대 만한 사람이 없었읍니다.奮無文學, 恭謹無與比. 《史記 萬石君傳》-석분은 학문에 힘쓰지는 않았지만, 공손하고 삼가하기로는 그에 비교할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이상 예문에서..
한문의 허사(虛詞) 毋“毋없을무”는 “無없을무”자와 대부분 용법이 같은데 이는 古音이 기본적으로 같았기 때문이다. 다만 毋는 습관적으로 ‘금지 부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能飮一杯無?”[술 한 잔 하지 않으려는가?]와 같은 無자 용법은 보이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이와 같은 無자 용법이 뒤늦게 쓰여지기 시작되었던데 연유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1) 毋는 無指代名詞로 쓰인다. “아무도…하지 않다” 上察宗室諸竇毋如竇嬰賢, 乃召嬰. 《史記 魏其侯列傳》-종실과 두씨 일족을 통틀어 아무도 ‘두영’처럼 유능한 자가 없다고 생각한 황제는 ‘두영’을 불렀다. 盡十二月, 郡中毋聲, 毋敢夜行. 《史記 酷吏王溫舒列傳》-12월이 다 갈 무렵, 군내에는 이의를 제기하는 자가 없어졌고, 아무도 감히 밤에 걸..
한문의 허사(虛詞) 亡亡은 두 가지 음이 있다. ① “망”으로 읽는다. 亡失、逃亡、滅亡、消亡 등으로 쓰인다. 모두 實詞이다. 亡其 妄其 등에 관하여는 妄에서 살펴본 바 있다. ② “무”로 읽는다.대부분의 용법이 無와 같으며, “없다”의 뜻으로 해석한다. 부사 및 부정적 응대사로 쓰인다. (1) “亡 없을 무”은 “무”로 읽는다. 용법과 의미는 모두 無자와 같다. “…이 아니다”☞때로는 亡 다음에 동사가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부사로 쓰인 것이다.軍亡導, 或失道. 《史記 李廣傳》-군대에 향도가 없어서, 일부 길을 잃은 자가 발생했다. 天積氣耳, 亡處亡氣. 《列子 天瑞篇》-하늘은 본래 형체가 있는 것이 아니고, 형체가 없는 기운이 쌓여서 이루어진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어디든 기운이 없는 곳이 없다. 常..
한문의 허사(虛詞) 每每每항상每에 관한 고대와 현대의 용법은 거의 차이가 없다. (1) 每는 명사 앞에서 관형어[한정어]로 쓰인다. “매” · “모두”子入太廟, 每事問. 《論語 八佾》-공자께서 태묘(나라의 큰 사당. ‘주공 묘’)에 들어가서 매사를 물으셨다. 故爲政者, 每人而悅之, 日亦不足矣. 《孟子 離婁下》-그러므로 정치하는 사람이,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려 한다면, 날수(日數)가 부족할 것이다. (2) 每는 부사로 쓰여 여러 차례, 혹은 중복되어 발생함을 나타낸다. “매번” · “…할 때마다”孝王慈孝, 每聞太后病, 口不能食, 居不安寢. 《史記 梁孝王世家》-양효왕 자상은 효성스러워서, 매번 태후께서 병이 나셨는지, 식사는 잘 드시는지, 잠은 잘 주무시는지 물었다. 每與人言, 多詢時務; 每讀書史, 多求道理..
한문의 허사(虛詞) 罔“罔그물망”은 오직 상고 시대에만 쓰였다. 《書經》에 그 용례가 가장 많고 《詩經》에도 간혹 보인다. 그런데 《易經》의 卦辭나 爻辭에 보이는 “罔”은 허사가 아니다. 《書經 金騰》에 보이는 “王其罔害”[왕은 장차 해가 없을 것이다.]라는 문장에 쓰인 “罔”자도 역시 허사가 아니다. 허사로 쓰인 믿을만한 용법으로서는 ① 無指代名詞와 ② 否定副詞를 들 수 있다. (1) “罔”은 無指代名詞로 쓰인다. “아무도 …하는 사람은 없다”四方之民罔不祇畏. 《書經 金騰》-세상 사람들 중에 누구도 불공경하거나, 무서워하고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爾庶邦君越庶士御士罔不反曰: “艱大.” 《書經 大誥》-그대들 모든 나라의 군주 및 각급 관리들은 아무도 다음과 같이 보고하지 않는 이가 없다: “재난이 ..
한문의 허사(虛詞) 妄妄其 아니면 忘其 아니면 亡其 아니면“妄”은 부사로 “터무니없다” “황당무계하다” 또는 “대충” · “멋대로”의 뜻으로 쓰인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痴心妄想[허황된 망상을 하다] 轻举妄动[경거망동] 妄自尊大[함부로 잘난체하다] 등의 성어에서 이러한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妄其”는 선택 접속사로서 “A인지 아니면 B인지”를 뜻한다. (1) 妄은 부사로 쓰여 “함부로” · “멋대로” · “경솔히”를 뜻한다.然豈可以貪爵祿而使吾君有妄施之名乎. 《莊子 讓王篇》-그렇지만 어찌 벼슬과 녹을 탐하여 우리 임금으로 하여금 함부로 상을 내리신다는 나쁜 명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겠습니까?秦始皇東游會稽, 梁與籍俱觀. 籍曰: “彼可取而代也!” 梁掩其口, 曰: “無妄言, - 族矣!” 《史記 項羽本紀》-진시황..
한문의 허사(虛詞) 良良은 부사로서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1) 동작, 행위, 성질, 상황 등에 대한 긍정이나 강조를 나타낸다. “진실로” · “확실히”¶ 古人思秉燭夜遊, 良有以也. 《曹丕: 與吳質書》○ 고인들이 촛불을 환히 밝히고 밤에 노는 것은, 정말로 그 까닭이 있다.¶ 用人不當其才, 聞賢不試以事, 良可恨也. 《傅玄: 馬先生傳》○ 그 사람의 재능에 맞지 않는 자리에 사람을 쓰는 것과, 실제로 시험해 보지 않고 남의 말만 듣고 사람을 쓰는 것은 정말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麋麑稍大, 忘己之麋也, 以爲犬良我友. 《柳宗元: 臨江之麋》○ 아기 사슴은 점차 성장하면서, 자기가 사슴인 것을 잊고, 개를 정말로 자기의 친구로 여겼다.☞상기 마지막 예문의 良은 본래 부사이지만, 판단문에 쓰여서 系詞[연결동사..
한문의 허사(虛詞) 來“來”자의 용법은 고대의 용법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도 있고, 남아 있으나 의미가 약간 변한 것도 있으며, 이미 쓰이지 않는 것도 있다. (1) 來는 현대 민간 가곡이나 숙어 그리고 물건을 사라고 외치는 말 중에 襯字로 들어간다.☞친자(襯字)란 문장 중에 별다른 뜻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노래의 가사 또는 가창의 필요에 의하여 덧붙이는 글자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正月里來是新春”[정월이라 새 봄이 왔다.] “不愁吃來不愁穿”[먹을 걱정, 입을 걱정이 없다.]과 같은 문장에서 “來"는 아무런 뜻이나 작용이 없이 그저 한 음절을 추가하여 7자구를 맞추어 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이러한 용법은 상고시대에도 있었고, 현재도 있다.旣醉旣飽 福祿來反. 《詩經 周頌 執兢》-이미 취하고 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