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128過故人莊〈벗의 田莊에 들르다〉-孟浩然(맹호연)

耽古樓主 2023. 11. 24. 08:01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128過故人莊〈벗의 田莊에 들르다〉-孟浩然(맹호연)

 

故人具鷄黍 邀我至田家.
벗이 닭과 기장밥을 마련해놓고 나를 맞이하여 시골집에 이르렀다.

綠樹村邊合 靑山郭外斜.
초록빛 나무는 마을 주변을 둘렀고 푸른 산은 성곽 밖에 비껴 있구나.

開軒面場圃 把酒話桑麻.
창문 열어 채마밭을 마주하고 술잔 잡으며 농사일 얘기한다네.

待到重陽日 還來就菊花.
중양절 기다렸다가 다시 와 국화에게 나아가리.

 
 

2.通釋

 

오랜 벗이 닭과 기장밥 등 음식을 정성껏 준비해놓고자신의 시골집으로 나를 맞이하였다.
그가 사는 마을은 초록빛 나무가 사방을 빙 둘렀고성곽 밖에는 푸른 산이 비껴 있는 곳이다.
창문을 여니 채마밭이 바라보이고술잔을 기울이며 아무런 근심 없이 농사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중양절이 되면 다시 이곳으로 와서 함께 국화를 즐겨보고자 한다.

 
 

3.解題

 

시골의 자연풍광과 농가생활의 정취를 담박하게 묘사한 대표적인 田園詩이다.
먼저 친구의 초대와 그 友誼를 그리고다음으로 마을의 경치친구와 술을 마시며 담소하는 모습중양절에 대한 약속을 순서대로 나타내었다.
5‧6구는 아무런 걱정과 근심이 없는 전원생활을 표현하였는데, 7‧8구에 나타난 중양절에 대한 약속은 친구와의 우의를 다지는 것임과 동시에 시인의 지향이 전원생활에 있음을 보여준다.
표현된 언어는 淸新하고 질박하며정감은 진실하다.
마지막 구 ‘還來就菊花’의 ‘就’자는 詩眼으로 매우 정련되어 있다.
李珥의 《精言妙選》 〈元字集〉 오언율시에 선집되어 있다.

 

 

 

4.集評

 

○ 孟浩然詩 待到重陽日 還來就菊花 昔刻本脫就字 或以爲醉爲賞爲汎爲對
맹호연의 시 ‘待到重陽日 還來就菊花’는 옛 각본에 ‘就’자가 빠져있어서 혹 ‘醉’나 ‘賞’, ‘汎’, ‘對’일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終不得的字 是知就字妙矣
끝내 적확한 자를 얻지 못하다가 ‘就’자가 묘하다는 것을 알았다.
李郢詩 聞說故園香稻熟 片帆歸去就鱸魚 蓋用此也 朝鮮 李睟光《芝峯類說》 10 文章部 3, 〈唐詩〉
李郢의 시 “듣자하니 고향의 전원에는 벼 익는 향기 가득하다 하니돛단배를 띄워 농어 익는 고향으로 돌아가리라.[聞說故園香稻熟 片帆歸去就鱸魚]”(〈江亭晩秋〉)는 대개 이를 이용한 것이다.

○ 就字妙 一詩借此一字生色 明 鍾惺《唐詩歸》 10 盛唐5
就자가 묘하다한 편의 시가 이 한 글자를 가져와서 빛이 났다.

○ 孟集有 到得重陽日 還來就菊花之句 刻本脫一就字
《孟浩然集》의 ‘到得重陽日 還來就菊花’ 구는 각본에 ‘就’자가 빠져 있었다.
有擬補者 或作醉 或作賞 或作泛 或作對 皆不同 後得善本是就字
모의하여 보충하려는 자가 ‘醉’나 ‘賞’, ‘泛’이나 ‘對’로 하여모두 같지 않았는데나중에 선본을 얻어보니 ‘就’자였다.
乃知其妙 明 楊愼《升菴集》 卷56
비로소 그 오묘함을 알았다.

○ 通體淸妙 末句就字作意 而歸于自然 淸 沈德潛《唐詩別裁集》 卷9
전체가 淸妙하다마지막 구의 ‘就’자는 의도적으로 쓴 것이지만자연스럽게 되었다.

 

 

 

5.譯註

 

▶ 過 여정 중에 들르는 것을 의미한다.
▶ 具鷄黍 : ‘具’는 준비한다는 뜻이고, ‘鷄黍’는 닭고기와 기장밥으로 손님을 대접하는 음식을 의미한다《論語》 〈微子〉편에 “자로를 머물러 묵게 하고는닭을 잡고 기장밥을 지어 먹였다.[止子路宿 殺鷄爲黍而食之]”는 구절이 있다.
▶ 綠樹村邊合 : ‘合’은 두른다는 뜻으로이 구절은 마을이 나무숲에 둘러싸여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 軒 창을 뜻한다.
▶ 場圃 채소를 심거나 작물을 거두어들이는 장소이다.
▶ 話桑麻 : ‘桑麻’는 뽕나무와 삼인데넓은 의미로 농사 또는 농작물을 가리킨다. ‘話桑麻’는 농사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뜻으로陶潛의 〈歸園田居〉에 “서로 만나도 잡된 말 하지 않고다만 뽕과 삼이 자랐는가 이야기하네.[相見無雜言 但道桑麻長]”라는 구절이 있다.
▶ 重陽日 重陽節로옛사람들은 ‘9’를 의 수라고 생각하여 9월 9일(음력)을 重陽節이라 하였다중양절에는 액운을 막기 위해 주머니에 茱萸를 넣고 높은 산에 올라가 국화주를 마시는 풍속이 있다.
▶ 就菊花 : ‘就’는 잡다가까이한다는 뜻으로여기서는 欣賞의 의미를 지닌다옛날 중국에서는 중양절에 국화를 감상하고 국화주를 마시는 풍습이 있었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