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論語集註 微子 第十八(논어집주 미자 제십팔) 第一章 본문
반응형
▣ 微子 第十八
此篇多記聖賢之出處,
이편에는 성현의 출처를 기록한 것이 많다.
凡十一章。
모두 11장이다
▣ 第一章
微子去之,箕子為之奴,比干諫而死。
微子는 떠나갔고箕子는 종이 되고比干은諫하다가 죽었다.
▶마융,정현(마융의 제자),포함은 훈고학에 기초를 두고 논어를 주해함.
▶공안국은 공자의 후손으로 이론이 독특하였다
微、箕,二國名。
微와 箕는 두 나라 이름이다.
子,爵也。
子는 爵位이다.
微子,紂庶兄。
微子는 紂王의 庶兄이다.(紂王의 同母兄이다. 어머니가 왕비가 되기 전의 所生임)
箕子、比干,紂諸父。
箕子와 比干은 紂王의 諸父[叔父]이다.
微子見紂無道,去之以存宗祀。
微子는 紂王이 無道한 것을 보고 떠나가서 宗祀를 보존하였다.
箕子、比干皆諫,紂殺比干,囚箕子以為奴,箕子因佯狂而受辱。
箕子와 比干이 모두 諫하니 紂王이 比干을 죽이고 箕子를 가두어 奴役하게 하였다. 箕子는 인하여 거짓 미친 체하고 모욕을 받았다.
孔子曰:
「殷有三仁焉。」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殷나라에 세仁者가 있었다.
三人之行不同,而同出於至誠惻怛之意,故不咈乎愛之理,而有以全其心之德也。
세 사람의 행위은 같지 않으나 똑같이 지성과 惻怛[悲憂]한 뜻에서 나왔다. 그러므로 사랑의 이치〔仁〕에 어기지 않아 마음의 德을 온전히 할 수 있었다.
▶心之德: 至誠
▶愛之理: 惻怛
楊氏曰:
「此三人者,各得其本心,故同謂之仁。」
楊氏가 말하였다.
“이 세 사람은 각각 그 本心을 얻었다. 그러므로 똑같이 仁者라고 이르셨다.”
반응형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集註 陽貨 第十七(논어집주 양화 제십칠) 第二十五章 (0) | 2023.02.21 |
---|---|
論語集註 陽貨 第十七(논어집주 양화 제십칠) 第二十六章 (0) | 2023.02.20 |
論語集註 微子 第十八(논어집주 미자 제십팔) 第二章 (0) | 2023.02.20 |
論語集註 微子 第十八(논어집주 미자 제십팔) 第三章 (0) | 2023.02.20 |
論語集註 微子 第十八(논어집주 미자 제십팔) 第四章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