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一章 본문
子張 第十九
此篇皆記弟子之言,而子夏為多,子貢次之。
이 篇은 모두 弟子들의 말을 기록한 것인데, 子夏의 말이 많고 子貢이 그 다음이다.
蓋孔門自顏子以下,穎悟莫若子貢;自曾子以下,篤實無若子夏。
孔子의 門下에 顔子 이하로는 영특함이 子貢만한 이가 없고, 曾子 이하로는 독실함이 子夏만한 이가 없다.
故特記之詳焉。
그러므로 특별히 그들을 기록한 것이 자세하다.
凡二十五章。
모두 25章이다.
▣ 第一章
子張曰:
「士見危致命,見得思義,祭思敬,喪思哀,其可已矣。」
子張이 말하였다.
“선비가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바치며, 利得을 보고 義를 생각하며, 祭祀에 恭敬을 생각하며, 喪事에 슬픔을 생각한다면 선비라고 할 수있다.”
▶其可已矣=其可以士已矣
致命,謂委致其命,猶言授命也。
致命은 목숨을 바침을 이르니 授命이란 말과 같다.
▶見得思義(=見利思義)가 평소에 생각하여(繹理) 바탕이 되어 있어야 행동할 때 見危致命(=見危授命)이 發露된다.
四者立身之大節,一有不至,則餘無足觀。
이 네 가지는 몸을 지키는 큰 節目이니, 한 가지라도 지극하지 못함이 있으면 그 나머지는 족히 볼 것이 없다.
故言士能如此,則庶乎其可矣。
그러므로 선비가 이와 같게 할 수 있어야 거의 괜찮다고 말하였다.
반응형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集註 微子 第十八(논어집주 미자 제십팔) 第十章 (0) | 2023.02.20 |
---|---|
論語集註 微子 第十八(논어집주 미자 제십팔) 第十一章 (0) | 2023.02.20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二章 (0) | 2023.02.20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三章 (0) | 2023.02.20 |
論語集註 子張 第十九(논어집주 자장 제십구) 第四章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