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허사(虛詞) 或 본문

한자 한문 공부/한문의 허사

한문의 허사(虛詞) 或

耽古樓主 2022. 12. 31. 04:45
반응형
한문의 허사(虛詞) 或
或者 어쩌면

容或 아마

或恐 혹시

“或”은 현대 중국어에서는 단독으로 쓰이는 예가 비교적 많지 않다.

① 일반적으로 접속사 형태인 “或者”[…이거나, 혹은]로 쓰인다.
예를 들면 “張三或者李四去都行”[장가나 이가나 모두 갔다.]와 같이 쓰인다.

② 또한 부사로서 “아마도, 어쩌면”의 의미로 쓰이는데,
《兒女英雄傳 第1回》에 보이는 “倒不如聽天由命的闖着作去, 或者就在這條路上立起一番事業”와 같이 쓰인다.

고대 중국어에서는 “或”자에 대한 상기 두 가지 용법 이외에
③ 대명사 용법으로도 쓰였다.



(1) 은 주어로 쓰여 “어떤 사람을 뜻한다.

或謂孔子曰: “子奚不爲政? 《論語 爲政》
-어떤 사람이 공자께 여쭈었다: “선생님께서는 어찌하여 정사를 하지 않으십니까?”

楚欲殺之, 或諫, 乃歸解揚. 《史記 晉世家》
-초나라 군대는 그를 죽이고자 했으나, 어떤 사람이 죽이지 말도록 간언했는데, 이에 해양을 석방하여 진나라에 돌려보냈다.

(2) 은 역시 주어로 쓰이지만 그 앞에 선행사가 있으며사람 혹은 사물을 지칭한다.

自時厥後, 亦罔或克壽: 或十年, 或七、八年, 或五、六年, 或四、三年. 《書經 無逸》
-이 뒤로부터는, 아무도 오랫동안 나라를 다스리지 못해: 어떤 이는 십년, 어떤 이는 칠팔년, 어떤 이는 오륙년, 어떤 이는 삼사년을 다스렸을 따름입니다.
상기 예문에서는 ”[하지 못하다]자가 선행사이다.

回視日觀以西峯, 或得日, 或否. 《姚鼐: 登泰山記》
-日觀峯 서쪽 봉우리를 돌아보니, 어떤 봉우리는 햇빛을 받고 있고, 어떤 봉우리는 그렇지 않았다.
상기 예문에서는日觀以西峯”[그 서쪽에 있는 봉우리를 돌아본다.]이 선행사이며, 그 아래 문장에 있는 두 개의 은 모두 以西峯”[그 서쪽에 있는 봉우리]의 일부분이다.

中間崔宗之、房習祖、黎昕、許瑩之徒, 或以才名見知, 或以淸白見賞. 《李白: 與韓荊州書》
-그 중에서 최종지 · 두습조 · 여소 · 허영 등을 천거하여, 어떤 이는 재능으로 천하에 알려지고, 어떤 이는 청렴결백으로 칭찬을 받았다.
상기 예문에서는 崔宗之 之徒까지가 선행사이며, 그 아래 문장에 있는 두 개의 자가 이를 이어받고 있다. 이때 쓰인 어떤 이를 지시하는 지시대명사이다. 한편 선행사로서 ”[아무도않다]자 또는 否定句를 지시하는 이른바 無指代名詞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은 주어가 되고, “도치의 수사 기교의 일환으로 동사가 뒤에 위치하며, 목적어로서 ”[, 여기서는 陳良을 가리킴]자가 추가된다. 이러한 句法은 상고시대에도 있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北方之學者未能或之先也. 《孟子 藤文公上》
-북방의 학자들이 아무도 그를 앞서지 못했다.
상기 예문에서는 北方之學者가 선행사이며, 은 그 北方學者중 임의의 누구이다. 그 다음 문장 즉 彼所謂豪傑之士也”[그 사람은 이른바 호걸 선비이다.]그 사람은 윗 문장의 陳良을 가리킨다.

雖使五尺之童適市, 莫之或欺. 《孟子 藤文公上》
-아무리 5척의 동자로 하여금 시장에 가게 하더라도, 아무도 그(5척동자)를 속이지 않을 것이다.
☞이 예문에서 “莫” 선행사에 해당하고, 중의 임의의 1인이다.

(3) 부사로서 은 확실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아마”, “어쩌면”, “혹시”. 때로는 或者或恐容或으로 연용된다뜻은 모두 같다.

夫子之牆數仞, 不得其門而入, 不見宗廟之美, 百官之富. 得其門者或寡矣. 《論語 子張》
-선생님의 담장은 여러 길이어서, 그 문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아름다운 종묘와 많은 백관들을 볼 수가 없습니다. 그 문을 찾을 줄 아는 자는 아마도 드물 것입니다.

昔者辭以疾, 今日弔, 或者不可乎! 《孟子 公孫醜下》
-어제는 병을 핑계삼아 왕의 부름을 사절했는데, 오늘 문상을 간다고 하면, 아마도 안 되겠지?

遺文逸句容或可尋. 《水經注》
-전해져 내려오는 문장 중, 사소하여 드러나지 않은 어구를, 어쩌면 찾아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

停船暫借問, 或恐是同鄕. 《崔灝: 長干行》
-배를 잠시만 멈추어 주세요, 여쭤볼 말이있습니다. 혹시, 우리 동향사람이 아니신가요?

(4) 은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때로는”, “간혹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僕嘗痛詩道崩壞, 忽忽憤發, 或食輟哺, 夜輟寢, 不量才力, 欲扶起之. 《白居易: 與元九書》
-나는 일찍이 내가 생각하는 詩道가 무너진 것을 가슴 아프게 생각하고, 때로는 먹는 것도 자는 것도 그만두고 내 능력은 돌보지 않고 詩道를 되찾으려 노력했다.

旣第之後, 雖專於科試, 亦不廢詩. 及授校書郎時, 以盈三四百首. 或出示交友如足下輩, 見者皆謂之工. 《白居易: 與元九書》
-27세에 鄕試에 급제한 후에, 비록 과거시험에 전념하면서도, 시를 폐하지는 않았다. 교서랑을 받았을 때는, 이미 시가 삼사백수에 이르렀다. 때로는 그대와 같은 친구에게 보여주면 모두들 좋다고 했다.

(4) 은 連詞로서현대 중국어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는 或者(때로는)가 되지만그 응용 범위는 비교적 협소하다.

예를 들면 紅樓夢 第4에 보이는
每日或飯後, 或晩間, 薛姨妈便過來, 或與賈母閑談, 或與王夫人相敍.”
[매일 때로는 식사 후에, 때로는 저녁 시간에, ‘설이마는 건너와서, 때로는 가모와 한담을 하거나, 때로는 왕부인과 이야기를 나눴다.]와 같은 문장에서 때로는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다만, 고문에서는 몇 개의 술어 사이에 쓰일 때는 일반적으로 자 한 자만 썼다.

其神或歲不至, 或歲數來. 《史記 封禪書》
-그 신은 때로는 일년 내내 오지 않았고, 때로는 일년에 수 차례 왔다.

或命巾車 惑棹孤舟 《陶潛: 歸去來辭》
-때로는 천 덮은 수레를 몰고, 때로는 외로운 조각배를 저었다.

 
반응형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허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虛詞) 會  (0) 2022.12.31
한문의 허사(虛詞) 況  (0) 2022.12.31
한문의 허사(虛詞) 胡  (0) 2022.12.31
한문의 허사(虛詞) 乎  (0) 2022.12.31
한문의 허사(虛詞) 兮  (0) 2022.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