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記/本紀

본기12. 孝武本紀(효무본기)

耽古樓主 2023. 2. 25. 09:37

 

이 편은 12본기의 마지막 편으로 前漢의 제7대 황제인 武帝 劉徹에 관한 기록이다.
武帝는 16세 때 아버지 景帝의 뒤를 이어 황제에 올랐으며, 유학자 동중서의 의견을 수렴하여 유학을 국가의 이념이자 학문으로 삼아 다스렸다.
또한 文帝와 景帝의 유업을 이어받아 대내적으로는 정치와 경제 개혁을 실행하고, 대외적으로는 군사를 이용하여 강토를 개척하는 등 재위 54년 동안에 前漢의 군사·정치·경제·문화의 전성시대를 이룩하였다.
사마천은 太史公自序에서
“漢나라가 건국되어 5대를 지나면서 무제 建元연간에 흥성해졌다. 밖으로는 夷狄을 물리치고 안으로는 법제를 정비하였으며, 封禪의 의식을 행하고 역법을 고치고 복색을 바꾸었다. 이에 제12편 ‘今上本紀’를 지었다.”라고 하였는데
이편에서는 사마천이 기록한 무제의 치적보다는 封禪書에 기록된 봉선의 의식 및 신선 사상에 대해 주로 기술하고 있어서, 사마천의 기록이 아니라는 의심이 들게 한다.

 

孝武皇帝者,孝景中子也。
武帝는 景帝의 아들 형제 중의 중간이다.

母曰王太后。

어머니는 王太后이다.

孝景四年,以皇子為膠東王。

경제 4(기원전153)에 황제의 아들로서 膠東王에 봉해졌다.

孝景七年,栗太子廢為臨江王,以膠東王為太子。
경제 7(기원전150)에 栗太子가 폐위되어 臨江王이 되자 교동왕 유철이 태자가 되었다.

孝景十六年崩,太子即位,為孝武皇帝。

경제가 16년 만에 세상을 떠나고 태자가 즉위하니 효무황제다.

孝武皇帝初即位,尤敬鬼神之祀。
효무황제는 즉위하자마자 귀신에 대한 제사를 더욱 경건하게 모셨다.

孝武皇帝 : 사마천의 太史公自序에서는 <今上本紀>로 기록하였으며 今上은 지금의 천자, 漢武帝를 말한다. 효무황제는 무제가 죽은 뒤의 시호이므로 한 무제와 같은 시대를 살았던 사마천이 그렇게 기록하였다고는 볼 수 없다.

<史記列傳 130 太史公自序 本紀 12今上本紀>

王太后 : 景帝의 왕후. 유철의 생모인 왕씨(王娡)

中子 : 형제간 순서가 중간인 아들. 무제 유철은 경제의 11번째 아들이다.

: 존경하다. 중시하다.

 

 

元年,漢興已六十餘歲矣,天下乂安,薦紳之屬皆望天子封禪改正度也。
무제 원년(기원전140), 한나라가 일어난 지 60여 년이 지나면서 천하가 안정되었으므로조정의 대신들은 모두 천자가 封禪을 행하고 역법과 제도를 改正하기를 희망하였다.

而上鄉儒術,招賢良, 趙綰、王臧等以文學為公卿, 欲議古立明堂城南,以朝諸侯。
그러나 황제가 유가의 학술을 숭상하여 賢良들을 초빙하자趙綰·王臧 등이 文學으로서 公卿이 되어 고대의 제도처럼 장안성 남쪽에 明堂을 세워서 제후들의 조회를 받자고 건의하였다.

六十餘歲 : 고조 유방이 기원전 202년에 황제에 즉위하였고 한 무제가 건원 원년(기원전140)에 황제가 되었으므로 60여 년이 지났다고 한 것이다.

乂安 : 안정되다.

薦紳 : 관리. 벼슬아치. 搢紳과 통한다.

封禪 : 고대 帝王이 천지에 제사지내던 의례로 泰山의 산정에서 하늘을 제사지내는 것을 이라하고, 부근의 작은 동산인 梁父山에서 땅에 제사지내는 것을 이라 하였다.

: 皇上. 황제.

: 과 같다. 숭상하다.

儒術 : 儒家의 학술.

賢良 : 한문제 때부터 시작된 과거 제도로, 책문을 통해 직언과 極諫을 잘하는 사람을 뽑았는데, 賢良文學 혹은 賢良方正이라고도 칭함.

建元 원년(기원전140), 천자가 막 즉위하여 천하에 賢良文學으로 이름난 선비들을 초빙하였다.

趙綰 : 전한 중기의 유학자이자 관료로 대나라 사람이다. 신공의 제자로 왕장과 함께 무제의 중용을 받았다. 무제가 평소 유가의 학술을 숭상하여 丞相 竇嬰太尉 田蚡이 모두 유가의 학술을 좋아하여 趙綰을 추천해서 御史大夫로 삼고 王臧郎中令으로 삼았다.<通鑑節要 9>

王臧 : 전한 중기의 유학자이자 관료로 동해군 蘭陵縣 사람이다. 신공의 제자로 조관과 함께 무제의 중용을 받았다.

文學 : 문학으로 이름난 선비. 문학은 儒家의 학설.

明堂 : 天子가 하늘의 명을 받아 백성을 다스린다는 중국 고대의 정통적 정치사상을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를 담은 건물. 조회,제사,慶賞,選士,敎學 등 중요 의식이 행해졌다.

朝諸侯 : 제후들의 조회를 받다.

 

 

草巡狩封禪改歷服色事未就。
巡狩봉선역법과 복색 개정 등의 일에 대한 초안을 마련했으나미처 실현하지 못하였다.

會竇太后治黃老言,不好儒術, 使人微得趙綰等姦利事,召案綰、臧,綰、臧自殺,諸所興為者皆廢。
마침 竇太后가 黃老의 학설을 숭상하고 유가의 학술을 좋아하지 않아사람을 시켜 은밀하게 趙綰 등이 부당하게 이익을 취한 일을 들추어내고조관과 왕장을 불러 심문하자조관과 왕장은 자살하였고 그들이 하려던 일들은 모두 폐지되었다.

: 초고를 쓰다.

巡狩 : 제왕이 나라 안을 두루 보살피며 다니다.

服色 : 옷과 거마와 기물의 빛깔과 꾸밈새. 고대에는 조정에서 숭상하는 색깔을 정하였다.

: 실현하다.

黄老言 : 黄帝老子의 학설. 道家의 학설을 말한다.

: 암암리. 은밀하게.

姦利事 : 부당한 수단으로 이익을 취한 일.

: 심문하다.

 

 

後六年,竇太后崩。
其明年,上徵文學之士公孫弘等。
6년 뒤에 두태후가 세상을 떠났다.
이듬해에 무제는 문학으로 이름난 선비 公孫弘 등을 불러들였다.

竇太后 : 漢文帝 劉恆의 처. 景帝의 어머니.

公孫弘 : 漢武帝內史·御史大夫를 역임하였으며, 기원전124丞相이 되고 平津侯에 봉해졌다.

 

 

明年,上初至雍,郊見五畤。
이듬해황제가 처음으로 雍縣에 행차하여 五畤에서 郊祭를 지냈다.

後常三歲一郊。
그 후로 3년마다 한 번씩 郊祀를 지냈다.

是時上求神君,捨之上林中蹄氏觀。
이때 황제는 神君의 우상을 얻어 上林苑에 있는 蹄氏觀에 모셨다.

神君者,長陵女子,以子死悲哀, 故見神於先後宛若。
신군은 長陵縣의 여자로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죽었는데그런 까닭에 그녀의 동서인 宛若에게 현신한 것이다.

宛若祠之其室,民多往祠。
완약은 그녀를 자기 집에다 모시고 제사를 올렸고많은 사람이 찾아와 제사를 올렸다.

平原君往祠,其後子孫以尊顯。
平原君도 찾아와 제사를 올렸는데훗날 자손들이 이 때문에 존귀해지고 명성이 있었다.

及武帝即位,則厚禮置祠之內中,聞其言, 不見其人云。

무제가 즉위하여 곧 궁중에 사당을 세우고 후한 예물로 제사를 지냈는데신군의 목소리는 들려도 그 모습은 볼 수 없었다고 한다.

이 내용은 봉선서(사기 권28.)의 기록과 유사하다.

郊祀 : 교외에서 지내는 제사.

五畤 : 雍縣 五畤에 있는 사당에서 제사 지내는 곳.

神君 : 신령의 경칭. 여기서는 장릉현의 여자를 말한다.

上林 : 상림원.

蹄氏觀 : 상림원에 있는 사당의 이름.

見神 : 귀신이 모습을 드러내다.

先後 : 동서. 형제의 아내끼리 서로 부르는 호칭.

宛若 : 동서의 .

平原君 : 무제의 외조모 臧兒.

: 語氣詞.

 

 

한문의 허사(虛詞) 云

한문의 허사(虛詞) 云 云云 여차여차하다 云爾 이러이러하다 云何 어떻게 云胡 어떻게 云台 어떻게 云乎 어찌 云자의 實詞적 용법에 관하여는 논외로 한다. 虛詞로서의 云은 兼詞, 助詞, 語氣詞

koahn.tistory.com

 

 

是時而李少君亦以祠灶、穀道、卻老方見上, 上尊之。
당시 李少君도 祠灶·穀道·却老方 따위의 방술로 황제를 뵙자황제가 그를 정중히 대하였다.

少君者,故深澤侯入以主方。
이소군은 옛 深澤侯의 측근으로 조정에 들어와 방술을 주관하였다.

匿其年及所生長,常自謂七十,能使物,卻老。
자기 나이와 성장 과정을 숨긴 채 늘 스스로 70살이라고 하면서 귀신을 부리고 늙지 않게 할 수 있다고 떠벌렸다.

其游以方遍諸侯。
그는 떠돌며 방술로 제후들을 두루 만났다.

無妻子。

처자식도 없었다.

人聞其能使物及不死,更饋遺之,常餘金錢帛衣食。

사람들은 그가 귀신을 부리고 장생불사하게 한다는 소문을 듣고는번갈아 물건을 갖다 주어 늘 금전과 비단과 의복과 음식이 남아돌았다.

人皆以為不治產業而饒給,又不知其何所人, 愈信,爭事之。
이에 사람들은 모두 그가 일하지 않고도 풍족하다고 여겼고또 그가 어떤 爲人인지도 모르면서 더욱 믿고 다투어 그를 섬겼다.

李少君 : 나라 출신으로 安期生(1천 살까지 살았다는 신선)의 가르침을 받아 煉丹術을 배웠지만, 지극히 가난하였기 때문에 비싼 약재를 구할 수 없어 한 무제에게 도움을 청하게 되었다고 한다.

祠灶 : 부뚜막 신에게 제사 드리다.

부뚜막 신에게 제사를 지내면 귀신을 이르게 하여 丹砂를 변화시켜 黃金을 만들 수 있는데, 황금을 가지고 음식을 먹는 그릇을 만들어 사용하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하였다.

穀道 : 곡식을 먹지 않고 솔잎이나 대추·밤 따위를 조금씩 날로 먹은 양생술.

却老方 : 사람이 늙지 않고 장생불사할 수 있는 방술.

主方 : 방술에 관한 일을 주관하다.

使物 : 귀신을 부리다.

: 번갈아. 교대로.

饋遺 : 재물을 보내주다. 선사하다.

饒給 : 풍족하다.

 

 

少君資好方,善為巧發奇中。
소군은 천성적으로 방술을 좋아하였는데교묘히 말하면 기이하게 맞곤 하였다.

嘗從武安侯飲,坐中有年九十餘老人, 少君乃言與其大父游射處,老人為兒時從其大父行,識其處,一坐盡驚。

武安侯 전분의 잔치에 간 적이 있었는데座中에 90살이 넘은 노인이 있었다.
소군이 그 노인의 할아버지와 함께 사냥 갔던 곳을 말하자노인은 어렸을 때 할아버지를 따라간 적이 있어서 그 장소를 알고 있었으므로좌중 모두가 크게 놀랐다.

少君見上,上有故銅器,問少君。
소군이 황제를 뵙자황제가 옛날 청동기를 가지고 있다가소군에게 물었다.

少君曰:
「此器齊桓公十年陳於柏寢。」
소군이 말하였다. “이 기물은 제나라 桓公 10년에 柏寢臺에 진열되어 있던 것입니다.”

已而案其刻,果齊桓公器。
그 후 새겨져 있는 글자를 조사했더니과연 제나라 환공의 기물이었다.

一宮盡駭,以少君為神,數百歲人也。

궁 안의 사람들이 모두 놀라며소군은 으로 수백 살 먹은 사람으로 여겼다.

: 자질. 타고난 재능.

巧發奇中 : 교묘히 말한 것 가운데 기이하게 맞다.

武安侯 : 田蚡.

長陵 사람으로 景帝 王皇后 王娡와 어머니는 같고 아버지가 다른 동생이다.

처음에 諸曹郞이 되고, 경제 말년에 총애를 받기 시작하였다. 외척의 신분으로 武帝의 총애를 받아 太尉를 지냈고, 武安侯에 봉해진 뒤 太尉를 거쳐 丞相이 되었다.

大父 : 祖父.

柏寝 : 柏寢臺. 제나라의 누각명.

已而 : 그 후. 오래지 않아.

: 검사하다.

 

 

少君言於上曰:
이소군이 황제에게 아뢰었다.

「祠灶則致物,致物而丹沙可化為黃金, 黃金成以為飲食器則益壽, 益壽而海中蓬萊僊者可見, 見之以封禪則不死,黃帝是也。
부엌 신에게 제사를 올리면 귀신을 부를 수 있으며귀신을 부르면 丹沙를 황금으로 만들 수 있으며황금을 만든 다음 음식을 담는 그릇으로 쓰면 장수할 수 있고장수하게 되면 바다에 있는 蓬萊山의 신선을 만날 수 있으며신선을 만나 封禪을 행하면 장생불사할 수 있으니 黃帝가 그러하였습니다.

臣嘗游海上,見安期生,食臣棗,大如瓜。
신이 전에 바다를 두루 돌아다니다가 安期生을 만났는데그가 신에게 대추를 먹으라고 주는데 크기가 참외만 하였습니다.

安期生僊者,通蓬萊中,合則見人,不合則隱。」
안기생은 신선이어서 봉래산을 오는데그와 마음이 통하면 모습을 나타내고 그렇지 않으면 숨어버립니다.”

아래의 내용 모두 봉선서(사기 권28.)의 기록과 유사하다.

致物 : 귀신을 부르다.

丹砂 : 수은으로 이루어진 황화 광물.

蓬莱 : 고대 전설의 바다 가운데에 있는 神山의 이름으로 그 산 위에 신선이 산다고 하였다.

僊者 : 신선.

黃帝 : 黃帝 軒轅氏. 중국 신화의 帝王으로 三皇에 이어 중국을 다스린 五帝의 첫 번째 왕이다.

安期生 : 해변에서 약을 팔며 장수하여 千歲翁이라 한다. 진시황이 동쪽을 순시할 때 그와 사흘 밤낮을 이야기하고 금과 옥을 내렸으나, 받지 않고 뒷날 봉래산에서 찾으라며 자취를 감추었다 한다.

: 먹이다.

: 마음이 통하다.

 

 

於是天子始親祠灶, 而遣方士入海求蓬萊安期生之屬, 而事化丹沙諸藥齊為黃金矣。
이에 천자가 처음으로 몸소 부엌 신에게 제사를 올리고方士를 바다로 보내어 봉래산에 사는 안기생의 무리를 찾게 하였으며단사와 여러 약물을 조제하여 황금을 만들게 하였다.

方士 : 신선의 술법을 닦는 사람.

: 와 같다. 약을 조제하다.

 

 

居久之,李少君病死。
한참 뒤에 이소군이 병으로 죽었다.

天子以為化去不死也,而使黃錘史寬舒受其方。
천자는 그가 신선이 되어 간 것이지 죽은 것이 아니라고 여기고黃錘縣의 佐吏 寬舒에게 그의 방술을 배우도록 하였다.

求蓬萊安期生莫能得,而海上燕齊怪迂之方士多相效,更言神事矣。

봉래산의 안기생을 찾게 했으나 찾지 못하였으며과 지역의 바닷가에 사는 황당하고 迂闊한 방사들이 서로 이소군을 모방하여번갈아 와서 신선에 관한 일을 말하는 자가 많았다.

居久之 : 한참 뒤. 오랜 시간이 지나.

: 고대 官府佐吏.

海上燕齊 : 고대 연나라와 제나라 연안 지역.

怪迂 : 황당하고 진부하다.

相效 : 李少君을 모방하다.

 

 

亳人薄誘忌奏祠泰一方,曰:
亳縣사람 薄誘忌가 泰一에게 제사 지내는 방법에 관해 상주하여 아뢰었다.

「天神貴者泰一,泰一佐曰五帝。
천신으로 가장 존귀한 신이 태일이며태일을 보좌하는 신을 五帝라 합니다.

古者天子以春秋祭泰一東南郊,用太牢具, 七日,為壇開八通之鬼道。」

옛날 천자는 봄가을로 장안 동남쪽 교외에서 태일신에게 제사를 지냈으며太牢로 7일 동안 제사를 지냈는데제단에 팔방으로 통하는 鬼道를 만들었습니다.”

於是天子令太祝立其祠長安東南郊, 常奉祠如忌方。

이에 천자는 太祝에게 장안 동남쪽 교외에 사당을 세우고박유기의 방법대로 제사를 올리도록 하였다.

薄誘忌 : 자치통감에는 지방사람 謬忌로 되어있다.

泰一 : 전설에서의 하늘 최고의 신.

太乙神 또는 太一神이라고도 한다. 천지만물의 출현 또는 성립의 근원인 우주의 본체를 인격화한 천제를 말한다.

: 보좌하다.

五帝 : 하늘에서 동····북의 五方을 주재하는 .

동쪽에 蒼帝, 남쪽에 赤帝, 중앙에 黃帝, 서쪽에 白帝, 북쪽에 黑帝를 말한다.

太牢 : 三牲을 모두 사용한 요리. 또는 중에서 쇠고기를 사용한 요리를 지칭하기도 한다.

太祝 : 제사를 관장하며 기도를 하는 관리.

 

 

其後人有上書,言
「古者天子三年一用太牢具祠神三一:
天一,地一,泰一」。
그 후 누군가가 글을 올려서 아뢰었다.
옛날에 천자는 3년에 한 번씩 태뢰를 갖추어 三一神에게 제사를 올렸는데바로 天一神地一神太一神입니다.”

天子許之,令太祝領祠之忌泰一壇上,如其方。
천자는 이를 허락하고 태축에게 박무기가 상주하여 세운 태일신 제단 위에서 제사를 지낼 것을 명하고 상소한 방법에 따르라고 하였다.

後人復有上書,言

「古者天子常以春秋解祠,祠黃帝用一梟破鏡;
冥羊用羊;祠馬行用一青牡馬;
泰一、皋山山君、地長用牛;
武夷君用乾魚;陰陽使者以一牛」。
그 후 어떤 자가 다시 글을 올려 아뢰었다.
옛날 천자는 항상 봄가을로 解祠를 지냈는데黃帝의 제사에는 梟鳥와 破鏡 한 마리씩을冥羊神의 제사에는 양을馬行神의 제사에는 푸른 수말 한 필을太一神과 皐山山君및 地長의 제사에는 소를武夷君의 제사에는 乾魚陰陽使者의 제사에는 소 한 마리를 제물로 바쳤습니다.”

令祠官領之如其方,而祠於忌泰一壇旁。

황제가 사관에게 명하여 그가 말한 방식대로 하되박유기가 건의한 태일신의 제단 옆에서 제사를 올리라고 하였다.

解祠 : 재앙을 없애고 복을 구하기 위한 제사

: 전설에 어미를 잡아먹는 올빼미.

破鏡 : 아비를 잡아먹는다는 나쁜 짐승의 이름. 는 새 이름으로 어미를 잡아먹고, 破鏡은 짐승 이름으로 아비를 잡아먹는다. 黃帝는 이런 것들을 멸종시키고자 관리들에게 제사에서 이것을 사용하게 하였다.

冥羊 : 신의 이름.

馬行 : 신의 이름.

牡馬 : 수말.

皋山山君, 地長 : 신의 이름

武夷君 : 武夷山神

陰陽使者 : 신의 이름.

 

 

其後,天子苑有白鹿,以其皮為幣, 以發瑞應,造白金焉。
그 뒤 천자의 상림원에 흰 사슴이 나타나자 그 가죽으로 화폐를 만들었고하늘의 상서로운 감응에 부합하기 위해 백금을 주조하였다.

以其皮為幣 : 白鹿皮幣) 흰 사슴 가죽으로 만든 화폐를 말한다.

기원전 140(建元1), 한 무제가 즉위한 이후로 국가의 재용이 부족하여 민간에서 불법으로 만든 私鑄錢이 유행하고 물가가 치솟자, 元狩 4(기원전119)에 담당관리가 무제에게 皮幣를 사용하자고 건의하였다. 이에 흰 사슴 가죽으로 피폐를 만들었는데, 크기는 사방 1자로 만들고 오색 실로 가장자리를 수놓았으며 그 가치는 40으로 정하였다.

瑞應 : 임금의 인정에 하늘이 감응하여 나타난 길한 조짐

白金 : 을 말한다.

 

 

其明年,郊雍,獲一角獸,若麃然。
이듬해(기원전122), 옹현에서 교제를 올릴 때 一角獸를 포획했는데 마치 고라니와 같았다.

有司曰:
「陛下肅祗郊祀,上帝報享,錫一角獸, 蓋麟云。」
담당 관리가 말하였다.
폐하께서 교사를 엄숙하고 공경히 지내시자상제께서 그 보답으로 뿔 하나 달린 짐승을 내리셨으니 麒麟인 듯합니다.”

於是以薦五畤,畤加一牛以燎。

이에 그 짐승을 五畤에 바치고제단마다 제물로 소 한 마리씩을 불태워 제사를 지냈다.

賜諸侯白金,以風符應合于天地。

제후들에게 백금을 내려서이런 符應이 하늘의 뜻에 맞는다고 암시하였다.

: 고라니.

肅祗 : 엄숙하고 공경하다.

報享 : 제사지낸 것에 대해 보답하다.

: 하사하다.

蓋麟云 : 기린이라고 생각되나 과연 기린인지를 알지 못하여 라고 말한 것이다.

麒麟. 기린은 聖人이 이 세상에 나면 나타난다고 하는 상상의 동물을 말한다.

는 수컷이며 은 암컷이다.

: 제물을 바치다.

五畤 : 五帝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 文帝 15(기원전165)五畤에 처음 郊祭를 지냈다.

: 나무섶 위에 犧牲을 올려놓고 불태워 하늘에 제사지내다.

: 과 통용된다. 암시하다.

符應 : 天命人事가 서로 일치하다.

: 의 오류이다. <봉선서>에는 로 되어있다.

 

 

於是濟北王以為天子且封禪,乃上書獻泰山及其旁邑。
이에 濟北王은 천자가 장차 봉선을 행할 것으로 여기고上書하여 泰山과 그 주변 읍을 바치겠다고 하였다.

天子受之,更以他縣償之。
천자가 이를 받고 다른 현으로 바꾸어 그에게 보상해 주었다.

常山王有罪,遷,天子封其弟於真定, 以續先王祀,而以常山為郡。

常山王 劉勃이 죄를 짓자 유배보내고그 동생을 眞定에 봉하여선왕의 제사를 잇게 하고 常山을 군으로 삼았다.

然後五嶽皆在天子之郡。
이로부터 五嶽이 모두 천자의 군현에 속하게 되었다.

: 장차.

: 유배하다.

五嶽  : 五岳으로도 쓰며, 중국의 다섯 개의 큰 산으로 東岳泰山, 西岳華山, 南岳衡山, 北岳 恒山,中岳嵩山을 가리킨다.

 

其明年,齊人少翁以鬼神方見上。
그 이듬해(기원전119), 제나라 사람 少翁이 귀신을 부르는 방술로 무제를 뵈었다.

上有所幸王夫人,夫人卒, 少翁以方術蓋夜致王夫人及灶鬼之貌云, 天子自帷中望見焉。

무제가 총애하던 王夫人이 죽었는데소옹이 방술로 밤중에 왕부인과 부엌신의 형상을 불러들이니천자가 장막 안에서 이를 바라보았다.

於是乃拜少翁為文成將軍,賞賜甚多, 以客禮禮之。

이에 소옹을 文成將軍에 임명하고 많은 상을 내리고빈객의 예로 그를 대우하였다.

少翁 : 李少翁. 한나라 때의 方士. 제나라 사람으로 귀신을 부르는 방술로 무제의 총애를 받아 문성장군이 되었다.

: 총애하다.

王夫人 : 무제의 부인으로 齊王 劉閎의 어머니이다. <漢書>에는 李夫人으로 기록되어 있다.

 

 

文成言曰:
「上即欲與神通,宮室被服不象神,神物不至。」
문성장군이 황제에게 아뢰었다.
황제께서 만약 신령과 통하고 싶으시다면궁실의 피복을 신령의 형상으로 하지 않으면 신령은 강림하지 않습니다.”

乃作畫雲氣車,及各以勝日駕車辟惡鬼。

이에 구름무늬를 그린 수레를 만들어 勝日에 수레를 타게 하여 악귀를 피하게 하였다.

又作甘泉宮,中為臺室,畫天、地、泰一諸神, 而置祭具以致天神。

또 甘泉宮을 축조하여 그 안에 臺室을 만들고 천신지신태일신 등 여러 신을 그려 넣은 뒤 제사 용구를 갖추고 천신을 불러들이고자 하였다.

: 만약.

勝日 : 五行家들의 말로 오행의 상극이 되는 5.

, 木克土, 土克水, 水克火, 火克金, 金克木5. 이날 수레를 타면 악귀를 피한다고 하며, 후일 놀기에 아주 좋은 날을 가리키게 되었다.

甘泉宮 : 咸陽 南宮으로, 지금의 陝西省 淳化縣 서북쪽 甘泉山에 있다.

天地泰一 : 천자가 3년에 한 번 소돼지의 세 희생을 갖추어 제사한 세 이다. 천신,지신,태일신.

臺室 : 天地의 신을 제사하기 위한 石室, 武帝는 신선을 추구하여 臺室五檀 등을 축조하였다.

 

 

居歲餘,其方益衰,神不至。
한 해 남짓 지나자 문성장군의 방술이 갈수록 쇠퇴하여 신령이 강림하지 않았다.

乃為帛書以飯牛,詳弗知也, 言此牛腹中有奇。

이에 문성장군은 비단에다 글을 써서 소에게 먹이고 짐짓 모르는 체하며소의 뱃속에 기이한 것이 들어있다고 말하였다.

殺而視之,得書,書言其怪,天子疑之。
소를 죽이고 살펴보니 글이 있었는데글의 내용이 해괴하여 천자가 이를 의심하였다.

有識其手書,問之人,果[偽]書。
문성장군의 필적을 아는 사람이 있어 그에게 물었더니 과연 위조된 글이었다.

於是誅文成將軍而隱之。

이에 문성장군을 죽이고 이 일을 비밀에 부쳤다.

: 쇠퇴하다.

飯牛 : 소에게 먹이다.

: 과 통용된다. 가장하다.

識其手書 : 그가 손수 쓴 필적임을 알아냈다.

 

 

其後則又作柏梁、銅柱、承露僊人掌之屬矣。
그 후 황제는 다시 柏梁臺銅柱承露仙人掌 따위를 만들었다.

柏梁 : 柏梁臺.

장안성 북쪽 대궐 안에 있었다. 향기로운 측백나무를 사용하여 궁전의 들보를 만드니, 향기가10리 안에 풍겼다. 처음에 太后神君을 불러들여 궁중에서 제사하였는데, 이때에 神君이 나갈 것을 요구하므로 마침내 柏梁臺를 지어 머물게 한 것이다.

銅柱 : 承露盤을 받치는 기둥이다.

承露僊人掌 : 나라 武帝甘露를 받는 신선을 建章宮에 세웠다. 承露盤은 이슬을 받는 구리 쟁반이며 높이가 30이요 크기가 열 아름이었다 한다. 위에 仙人掌(신선의 손바닥)이 있어서 옥잔을 받들어 구름 밖의 이슬을 받는데, 여기에 옥가루를 타서 마시면 장생불사할 수 있다고 하였다.

 

 

文成死明年,天子病鼎湖甚,巫醫無所不致, 不愈。
문성장군이 죽은 이듬해(기원전118), 천자가 鼎湖宮에서 심한 병을 얻었는데무당과 의원들이 안 써본 것이 없었으나 호전되지 않았다.

游水發根乃言曰:

「上郡有巫,病而鬼下之。」
游水發根이 이에 아뢰었다.
上郡에 무당이 있는데 병을 앓으면 귀신이 내린다고 합니다.”

上召置祠之甘泉。

황제가 그를 불러 감천궁에서 제사를 올리게 하였다.

及病,使人問神君。

이윽고 무당이 병이 들자 사람을 시켜 무당의 신령에게 물어보게 하였다.

神君言曰:

「天子毋憂病。
病少愈,彊與我會甘泉。」
무당의 신령이 말하였다.
천자는 병을 걱정하지 마시오.
병세가 잠깐 나아지거든 억지로라도 감천궁에 와서 나를 만나시오.”

鼎湖 : 정호궁.

神君 : 무당의 신령.

: 잠깐 동안. 잠깐사이에.

: 억지로.

 

於是病愈,遂幸甘泉,病良已。
그리하여 병에 차도가 있어 감천궁으로 행차하자 병이 깨끗이 나았다.

大赦天下,置壽宮神君。
천하에 대사면령을 내리고 壽宮에 신령을 모셨다.

神君最貴者[太一], 其佐曰大禁、司命之屬,皆從之。

수궁의 신령 중에 가장 귀한 신은 太一神이며그를 보좌하는 大禁司命의 따위가 모두 태일신을 따랐다.

非可得見,聞其音,與人言等。
사람들은 신령의 모습은 볼 수 없고 그들의 말소리만 들을 수 있는데사람과 말하는 듯하였다.

時去時來,來則風肅然也。
그들이 수시로 오가는데 올 때는 바람 소리가 숙연해졌다.

居室帷中。

그들은 실내 장막에서 머문다.

時晝言,然常以夜。
낮에 말하는 때도 있지만 일상적으로 밤에 말을 하였다.

: 행차하다.

: 멈추다. 병이 낫다는 뜻.

 

天子祓,然後入。
천자라도 재앙을 쫓는 제사를 지낸 후에 수궁에 들어갔다.

因巫為主人,關飲食。
수궁은 무당이 주인이기 때문에 신령의 음식을 돌보았다.

所欲者言行下。
신령이 하고자 하는 말은 무당을 통하였다.

又置壽宮、北宮,張羽旗,設供具,以禮神君。
또 신령을 수궁과 북궁에 안치하고 깃털로 장식한 깃발을 내걸고여러 제사용품을 갖추어 예로써 신령을 섬겼다.

神君所言,上使人受書其言,命之曰「畫法」。
신령이 한 말은 황제가 사람을 시켜 받아 적게 했는데이를 畵法이라 하였다.

其所語,世俗之所知也,毋絕殊者,而天子獨喜。

그 말은 세속에서도 알 수 있는 것으로 특별나게 다르지 않았지만천자는 혼자 즐거워하였다.

其事祕,世莫知也。

그런 일들은 비밀에 붙여져 세상에서는 알 수가 없었다.

: 푸닥거리하다. 고대 풍속으로 재난을 물리치고 복을 구하는 일종의 제사 의식.

: 돌보다.

絕殊 : 특별하다.

: 숨기다. 비밀로 하다.

 

 

其後三年,有司言元宜以天瑞命,不宜以一二數。
그로부터 3년 뒤담당 관리가 말하기를 紀年은 마땅히 하늘에서 내린 상서로운 징조로 이름을 지어야지, 1, 2년과 같은 숫자로 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하였다.

一元曰建元,二元以長星曰元光, 三元以郊得一角獸曰元狩云。

첫 연호는 建元으로두 번째 연호는 혜성이 나타났으므로 元光으로세 번째 연호는 郊祠를 올리다가 一角獸를 잡았으니 元狩로 하였다.

: 개시. 紀年. 年號를 세우는 일을 말한다.

天瑞 : 하늘에서 내리는 상서로운 징조.

: 命名하다.

建元 : 한나라의 무제가 사용한 연호(기원전140~135)로 중국 정사에 기록된 최초의 연호이다. 前漢의 제7대 황제 武帝 劉徹(기원전141~87)때의 첫 번째 연호이다. 기원전140년부터 기원전135년까지 6년 동안 사용되었다

長星 : 혜성의 일종.

元光 : 무제의 두 번째 연호(기원전134~129)는 혜성이 나타났으므로 元光이라 하였다.

元狩 : 무제의 세 번째 연호(기원전122~117)는 교사를 올리다가 뿔 하나 달린 짐승을 잡았으므로 元狩로 하였다. 건원부터 원수까지의 연호는 당시에 실제로 사용된 연호가 아니라, 元鼎(기원전116~111)연간에 이르러 붙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其明年冬,天子郊雍,議曰:
「今上帝朕親郊,而後土毋祀,則禮不答也。」
그 이듬해 겨울천자가 옹현에서 교사를 지내고 상의하며 말하였다.
오늘 상제께는 짐이 몸소 교사를 올렸으나 后土에는 제사지내지 못했으니 예법에 부합되지 않는다.”

有司與太史公、祠官寬舒等議:

「天地牲角繭栗。
今陛下親祀后土,后土宜於澤中圜丘為五壇, 壇一黃犢太牢具,已祠盡瘞,而從祠衣上黃。」
담당 관리와 太史公 司馬談祠官 寬舒 등이 의논하여 아뢰었다.
천지신께 바치는 희생의 뿔은 누에고치나 밤처럼 작아야 합니다.
지금 폐하께서 친히 후토에 제사를 올리시려면 후토는 마땅히 못 속의 圜丘壇에 다섯 개의 제단을 설치하고각 제단마다 누런 송아지를 태뢰로 갖추어야 하고제사를 마친 뒤에는 모두 땅에 묻고제사를 지내는 사람은 모두 누런 옷을 입어야 합니다.”

后土: 토지의 신.

太史公 : 당시 太史令이었던 司馬遷의 아버지 司馬談.

繭栗 : 누에고치와 밤.

圜丘壇 : 하늘에 제사지내기 위하여 쌓은 .

黃犢 : 누런 송아지.

: 묻다.

從祠 : 제사를 지내는 사람.

: 과 같다.숭상하다.

 

 

於是天子遂東,始立后土祠汾陰脽上, 如寬舒等議。
이에 천자는 마침내 동쪽으로 행차하여처음으로 汾陰의 구릉에 후토의 사당을 세우고제사의례는 寬舒 등이 논의한 대로 집행하였다.

上親望拜,如上帝禮。
황제는 친히 멀리서 바라보며 제사를 올렸는데 상제에게 드리는 예법과 같았다.

禮畢,天子遂至滎陽而還。

祭禮를 마치자 천자는 滎陽을 거쳐서 돌아왔다.

過雒陽,下詔曰:

「三代邈絕,遠矣難存。
其以三十里地封周後為周子南君,以奉先王祀焉。」
雒陽을 지나다가 조서를 내렸다.
三代의 연대가 아득하여 제사가 끊어진 지 오래되어 그들의 후대에 보존되기 어렵구나.
30리의 땅을 주나라 후손에게 주어 周子南君으로 봉해 선왕의 제사를 받들도록 하라.”

是歲,天子始巡郡縣,侵尋於泰山矣。
이해에 천자는 군현을 순시하기 시작하여 점차 태산에 이르게 되었다.

汾陰 : 山西省 榮河縣 북쪽에 있던 현으로, 元鼎 4(기원전113)에 분음에서 寶鼎이 발견된 뒤, 漢武帝가 이곳에 后土의 사당을 세우고 직접 가서 后土神에게 제사하였다.

: 언덕. 일설에는 지명이라고도 한다.

望拜 : 멀리서 바라보며 제사를 지내다.

三代 : ,,三代.

: 아득하다. 멀다.

侵尋 : 점차~에 이르다. 은 이르다.

 

其春,樂成侯上書言欒大。
그해 봄(기원전113), 樂成侯 丁義가 글을 올려 欒大를 천거하였다.

欒大,膠東宮人,故嘗與文成將軍同師, 已而為膠東王尚方。

난대는 膠東王의 宮人으로 예전에 일찍이 문성장군과 한께 같은 스승에게 수학하였으며 그 후 교동왕의 尙方이 되었다.

而樂成侯姊為康王后,毋子。
낙성후의 누이는 膠東康王의 왕후였으나 아들이 없었다.

康王死,他姬子立為王。
교동강왕이 죽자 다른 희첩의 아들이 왕이 되었다.

而康后有淫行,與王不相中,相危以法。

康后는 음탕하고 새 왕과 뜻이 맞지 않아 법을 이용하여 서로를 해치려 하였다.

其春 : 武帝 元鼎 4(기원전113) 2.

樂成侯 : 漢高祖의 공신 丁禮의 증손 丁義.

欒大 : 樂成侯 丁義가 천거한 方士로 무제의 아우 膠東康王 劉寄를 섬겼다.

文成將軍 : 李少翁. 한나라 때의 方士. 제나라 사람으로 귀신을 부르는 방술로 무제의 총애를 받아 문성장군이 되었다.

宮人 : 군주의 일상생활의 사무를 관장하는 관직.

已而 : 그 후.

膠東王 : 膠東康王 劉寄.

전한의 제후왕으로 경제와 왕부인의 아들이다. 회남왕 유안이 모반을 준비한다는 말을 듣고서 사사로이 무기를 갖춰 유안이 반란을 일으킬 때를 준비하였다. 나중에 회남왕의 모반 사건을 조사하면서 유기에 대한 증언도 나왔다. 유기는 무제와 형제사이로 가장 친했으므로 마음에 상처를 입어 병이 나 끝내 죽었다.

尚方 : 약을 처방하고 제조하는 관직.

: 투합하다.

 

 

康后聞文成已死,而欲自媚於上, 乃遣欒大因樂成侯求見言方。
강후는 문성장군이 이미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황제의 환심을 사려고 난대를 보내서 낙성후를 들먹여서 황제를 뵙고 방술을 말하게 하였다.

天子既誅文成,後悔恨其早死,惜其方不盡, 及見欒大,大悅。
천자는 문성을 죽인 뒤 그를 너무 일찍 죽였음을 후회하며그의 방술을 다 쓰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고 있었는데마침 난대를 만나자 크게 기뻐하였다.

大為人長美,言多方略,而敢為大言, 處之不疑。

난대는 키가 크고 수려하게 생긴 데다 方略을 두루 이야기하였으며큰소리를 치면서도 망설임이 없었다.

自媚 : 남의 환심을 사려고 스스로 아첨하다.

: 주저하다. 망설이다.

 

 

大言曰:
난대가 무제에게 말하였다.

「臣嘗往來海中,見安期、羨門之屬。

신은 일찍이 바다를 왕래하며 安期生과 羨門高 등의 신선을 만났습니다.

顧以為臣賤,不信臣。

그들은 신을 천하다고 여길 뿐신을 믿지 않았습니다.

又以為康王諸侯耳,不足予方。
또 康王은 제후에 불과하여 방술을 전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여겼습니다.

臣數言康王,康王又不用臣。

신이 몇 번이나 강왕에게 말했지만 강왕 역시 신을 기용하지 않았습니다.

臣之師曰:
『黃金可成,而河決可塞, 不死之藥可得,僊人可致也。』
신의 스승께서 말씀하시기를
황금을 만들 수도 있고황하의 터진 둑도 막을 수 있으며불사약도 구할 수 있고신선도 불러올 수 있다.’라고 하셨습니다.

臣恐效文成,則方士皆掩口, 惡敢言方哉!」
신은 문성처럼 될까 두려우니그처럼 방사들의 입을 모두 틀어막으면어찌 감히 방술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

安期 : 安期生.

해변에서 약을 팔며 장수하여 千歲翁이라 한다. 진시황이 동쪽을 순시할 때 그와 사흘 밤낮을 이야기하고 금과 옥을 내렸으나 받지 않고, 뒷날 봉래산에서 찾으라 하고 떠났다고 한다.

羨門 : 갈석산에 있는 方士의 이름. 羨門羨文高라고도 한다

: 불과하다. ~할 뿐이다. 허사 참조

 

 

한문의 허사(虛詞) 顧

한문의 허사(虛詞) 顧 顧의 허사적 용법으로서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부사로서 “도리어”라는 뜻으로 쓰이고, 다른 하나는 접속사로서 “다만”의 뜻으로 쓰인다. (1) 顧는 부사로서 “오히

koahn.tistory.com

: 어찌.

 

 

上曰:
「文成食馬肝死耳。
子誠能修其方,我何愛乎!」
황제가 말하였다.
문성은 말의 간을 잘못 먹어 죽었을 뿐이다.
그대가 진실로 그의 방술을 거행할 수 있다면 내가 무엇을 아끼겠는가!”

大曰:
「臣師非有求人,人者求之。
陛下必欲致之,則貴其使者, 令有親屬,以客禮待之,勿卑, 使各佩其信印,乃可使通言於神人。
神人尚肯邪不邪。
致尊其使,然後可致也。」
난대가 말하였다.
신의 스승께서는 사람들에게 찾아가지 않았고 사람들이 스승을 찾아왔습니다.
폐하께서 기어이 신선을 부르고 싶으시다면신선의 사신을 귀하게 대우해야 합니다.
그의 친족도 거느리게 해주시고 빈객의 예로 대해주셔야지 업신여겨서는 안 되며사신에게 각종 信印을 지니게 해야만 비로소 신선에게 이야기를 전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신선이 만나줄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신선의 사신을 尊待한 연후에야 신선을 오게 할 수 있습니다.”

於是上使先驗小方,鬬旗,旗自相觸擊。
이에 황제가 작은 방술이라도 시범으로 보여 달라고 하자장기판 위의 말들이 서로 싸우는 놀이를 보여주었다.

馬肝 : 말의 肝臟. 말의 간은 독이 있어서 잘못 먹으면 죽는다고 한다.

: 과연. 진실로.

: 내놓기를 아까워하다.

: 업신여기다.

肯邪不邪 : ~을 하려고 하는지 않는지. 는 어기사. 와 같다.

致尊 : 가장 존귀하다.

鬬旗 : 鬪碁. 방사들이 하는 장기 놀이.

 

 

是時上方憂河決,而黃金不就,乃拜大為五利將軍。
이 무렵 황제는 마침 황하의 범람을 걱정하고 황금의 제련에 성공하지 못하자난대를 곧 五利將軍에 임명하였다.

居月餘,得四金印,佩天士將軍、地土將軍、大通將軍、天道將軍印。
한 달여 만에 네 개의 금인을 얻어 天士將軍,地士將軍,大通將軍,天道將軍의 도장을 얻었다.

制詔御史:

황제가 어사에게 칙명을 내렸다.

「昔禹疏九江,決四瀆。
옛날 우 임금은 九江을 소통시켰고, 4대강의 물길을 텄다.

閒者河溢皋陸,隄繇不息。
근래에 황하가 범람하여 육지까지 잠기니제방을 쌓는 일로 쉴 틈이 없었다.

朕臨天下二十有八年,天若遺朕士而大通焉。
짐이 천하를 통치한 지 28년에하늘이 만약 짐에게 방사를 보내주셨다면 난대는 하늘과 소통할 수 있을 터이다.

乾稱『蜚龍』,『鴻漸于般』,意庶幾與焉。
其以二千戶封地士將軍大為樂通侯。」
乾卦
나는 용이 하늘에 있다.’라고 하였고,
기러기가 반석에 나아가다.’라고 하였는데
생각해보니 아마도 난대를 주신 것을 말하는 듯하다.
마땅히 지사장군 난대에게 2천 호의 땅을 봉지로 주고 樂通侯로 삼아야 하겠다.”

黄金不就 : 황금을 제련하는데 성공하지 못하다.

制詔 : 황제의 칙명.

四瀆 : 장강,제수,황하,회수를 말한다. 은 큰 강(大河).

: 물길을 소통시키다.

閒者 : 근래.

皋陸 : 강가의 육지.

隄繇 : 제방을 쌓는 노역을 하다. 와 통용된다. 勞役

: 통치하다.

乾稱蜚龍: 飛龍在天利見大人 :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 즉 군주가 신하를 얻으면 이롭다는 뜻이다.<周易·乾卦>

鴻漸于般 : 신하가 군주를 얻음을 말한다. <周易·漸卦>53. 風山漸.

六二鴻漸于磐이라飮食衎衎하니하니라.(육이는 기러기가 반석에 나아감이다.마시고 먹음이 즐겁고 즐거우니 길하다.)”

: 생각해보니 아마도.

庶幾 : 어쩌면.

其以二千戶封地士將軍大為樂通侯 : 는 명령, 권고 등의 어기를 나타낸다. “하라” “하십시오허사 참조

 

 

한문의 허사(虛詞) 其

한문의 허사(虛詞) 其 其는 한문의 용법에서 가장 복잡한 글자 중 하나인 데다, 그 뜻도 갈래가 대단히 많다. 많은 용법이 옛날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고서를 읽을 때 이 글자에 대한 이해가

koahn.tistory.com

 

 

賜列侯甲第,僮千人。
그리고는 열후에게 주는 큰 저택과 1천 명의 하인을 하사하였다.

乘輿斥車馬帷帳器物以充其家。

황제가 타는 수레와 말을 나누어주고 휘장기물 따위로 그의 집을 가득 채우게 하였다.

又以衛長公主妻之,齎金萬斤, 更名其邑曰當利公主。
또 衛長公主를 아내로 삼게 하고 황금 1만 근을 보내주었으며그가 거주하는 읍의 이름을 當利公主邑으로 개명하였다.

天子親如五利之第。
천자가 친히 오리장군의 저택을 찾아갔다.

使者存問所給,連屬於道。
사자가 그의 안부를 묻고 물건을 下賜하니사람들의 행렬이 줄을 이었다.

自大主將相以下,皆置酒其家,獻遺之。
大長公主를 비롯하여 장군과 재상 이하 모두가 그를 집으로 초대하여 술자리를 베풀고 예물을 바쳤다.

甲第 : 큰 저택. 1등급의 저택.

乘輿 : 제왕이 타는 수레.

: 나누어 주다.

衛長公主 : 무제와 衛皇后사이에 낳은 장녀로, 戾太子 劉據의 누나이다.

: 아내로 삼다.

: 보내다. 증여하다.

: 가다.

存問 : 문안하다.위문하다.

連屬 : 연접하다. 서로 잇닿다.

大主 : 황제의 고모. 大長公主. 한 문제의 딸이며 무제의 고모.

 

 

於是天子又刻玉印曰「天道將軍」,使使衣羽衣,夜立白茅上,五利將軍亦衣羽衣, 立白茅上受印,以示弗臣也。
이에 천자는 天道將軍이라는 옥도장을 새기고사자에게 날개옷을 입고 밤중에 白茅위에 서게 하고오리장군도 날개옷을 입고 백모 위에 서서 도장을 받았으니 이는 신하가 아님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而佩「天道」者,且為天子道天神也。

天道라는 도장을 차는 것은 천자를 위해 천신을 인도한다는 뜻이다.

於是五利常夜祠其家,欲以下神。
이에 오리장군은 밤마다 자기 집에서 제사를 지내며 신령이 강림하기를 원하였다.

神未至而百鬼集矣,然頗能使之。
신령은 오지 않고 온갖 귀신들이 모여들었지만 난대는 제법 귀신들을 부릴 수 있었다.

其後治裝行,東入海,求其師云。
그 후로 난대는 행장을 꾸려 동해로 들어가서 그의 스승을 찾아보겠다고 하였다.

大見數月,佩六印,貴振天下, 而海上燕齊之閒,莫不搤捥而自言有禁方,能神僊矣。
난대가 황제를 알현한 지 몇 달 만에 여섯 개의 도장을 차고 존귀함을 천하에 떨치자연나라와 제나라의 바닷가 일대 방사들은 분해서 손목을 불끈 쥐지 않는 자가 없었으며자신들도 秘方이 있어 신선과 통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羽衣 : 날개옷. 道士의 옷.

白茅 : . 다년생 야생의 풀.

: 와 같다. 인도하다.

: 알현하다.

: 과 같다.진동하다.떨치다.

搤捥 : 손목을 불끈 쥐다. 과 같다. 손목.

禁方 : 秘方.

 

其夏六月中,汾陰巫錦為民祠魏脽后土營旁, 見地如鉤狀,掊視得鼎。
그해 여름 6월 중순에 汾陰의 무당 이 魏脽의 后土사당 옆에서 백성을 위해 제사를 올리다가땅 아래에 갈고리 같은 것을 발견하고 손으로 파냈더니 이었다.

鼎大異於眾鼎,文鏤毋款識,怪之,言吏。
정은 다른 정보다 유달리 컸고문양은 새겨져 있는데 款識는 없었으므로괴이하게 여겨 관리에게 말하였다.

吏告河東太守勝,勝以聞。
관리는 河東태수 에게 보고하였고승은 조정에 보고하였다.

天子使使驗問巫錦得鼎無姦詐,乃以禮祠, 迎鼎至甘泉,從行,上薦之。
천자가 사신을 보내 무당 이 정을 얻은 과정을 심문하여정을 얻음에 간사한 거짓말이 없음을 알고는곧 예를 갖추어 제사를 올리고을 감천으로 맞아들이려고 행차하여 상제에게 바치려 하였다.

至中山,晏溫,有黃雲蓋焉。
中山에 이르자 날씨는 맑고 따뜻했는데황색 구름이 피어올라 수레 차양을 덮었다.

有麃過,上自射之,因以祭云。

때마침 고라니가 지나가자 황제가 몸소 활을 쏘아 잡아서 제사에 썼다고 한다.

汾陰 : 山西省 榮河縣 북쪽에 있던 현으로, 元鼎 4(기원전113)에 분음에서 寶鼎이 발견된 뒤, 漢武帝가 이곳에 后土의 사당을 세우고 직접 가서 后土神에게 제사하였다.

魏脽 : 분음은 옛 나라에 속해 있었으므로 魏脽라고 한 것이다.

: 언덕. 일설에는 지명이라고도 한다.

: 사당주위의 땅.

: 손으로 흙을 파내다.

: 세개의 발이 달린 솥.

: 무늬.

: 새기다.

款識 : 석기 따위에 새겨진 문자. 는 적을’.

以聞 : 무제에게 보고하다.

晏温 : 날씨가 맑고 따뜻하다.

 

 

至長安,公卿大夫皆議請尊寶鼎。
장안에 도착하자공경대부들이 모두 의논하여 寶鼎을 받들 것을 청하였다.

天子曰:

「閒者河溢,歲數不登,故巡祭后土, 祈為百姓育穀。
今年豐廡未有報,鼎曷為出哉?」
천자가 말하였다.
근래에 황하가 범람하고 몇 해째 흉년이 들기 때문에순시를 나가 후토에 제사를 올리며 백성을 위해 곡식이 풍성해지기를 기원했었소.
올해는 오곡이 풍성한데도 아직 감사의 제사를 못 드렸는데어찌하여 정이 출현했단 말인가?”

: 풍작.

豐廡 : 五穀豐盛.

: 제사명. 농사가 끝난 후 社稷의 은혜에 답하는 제사.

曷為 : 어째서. . =爲何

 

 

有司皆曰:
담당 관리들이 모두 아뢰었다.

「聞昔大帝興神鼎一,一者一統, 天地萬物所系終也。
듣자 하오니옛날 太帝께서 神鼎을 하나 만드셨는데하나란 하나로 통일된다는 뜻으로 天地萬物이 모두 보정으로 귀결된다고 하였습니다.

黃帝作寶鼎三,象天地人也。

黃帝께서는 보정 세 개를 만드셨는데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을 상징했습니다.

禹收九牧之金,鑄九鼎,皆嘗鬺烹上帝鬼神。
우 임금께서는 九州의 황동을 거두어 九鼎을 주조하셨는데모두 제물을 삶아 상제와 귀신에게 제사지내는 데 사용하였습니다.

遭聖則興,遷于夏商。
성군을 만나면 정이 나타나서 하나라와 상나라에 전해졌습니다.

周德衰,宋之社亡,鼎乃淪伏而不見。
주나라의 덕이 쇠퇴해지고 송나라의 사직이 망하자 정은 사라져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頌云

『自堂徂基,自羊徂牛;
鼐鼎及鼒,不虞不驁,胡考之休』。
<시경> ‘에 이르기를,
당에서 내려와 문전으로 가서 양과 소를 살펴본 뒤에크고 작은 솥을 둘러보시네시끄럽지도 오만하지도 않으니 長壽의 복을 받으시리라.’라고 하였습니다.

大帝 : 전설상의 太昊 伏羲氏.

: 만들다.

: 연속하여 의지하여 따르다.

: 상징하다.

九牧 : 九州를 말한다. 은 주의 牧守.

: 황동.

鬺烹 : 삶다. 犧牲가축을 삶아 제사를 지내다.

: 출현하다.

: 토지신. 지신제 장소.

淪伏 : 잠복하다.

: 과 같다. 출현하다.

頌云 : <詩經·周頌·絲衣>를 말한다. 주 성왕 때 제사를 거행할 때의 정황을 묘사한 노래이다.

絲衣其紑,載弁俅俅.自堂徂基,自羊徂牛.鼐鼎及鼒,兕觥其觩.旨酒思柔,不吳不敖. 胡考之休.

제복은 산뜻하고,머리에 쓴 관은 의젓하기도 하네. 당에서 내려와 문전으로 가서, 양과 소를 살펴본 뒤에 크고 작은 솥을 둘러보시네. 구부정한 뿔잔에 맛나고 향기로운 술이 있고, 시끄럽지도 오만하지도 않으니 장수의 복을 받으시리라.”

: 문 옆의 방.

: 가다.

: 뜨락. 제사 전에 선비는 당에 가서 제기를 조사하고 뜨락에 내려와 보고를 한다.

自羊徂牛 : 제사용 犧牲을 살펴보다.

: 큰 가마솥.

: 작은 솥.

: 큰 소리로 떠들어 시끄럽다. 와 같다.

: 와 통용된다. 오만하다.

胡考 : 장수하다. 先考.

: . . 아름다운 것.

 

 

今鼎至甘泉,光潤龍變,承休無疆。
지금 이 감천궁에 이르러 용이 조화를 부린 듯 빛나니무궁한 복을 받은 것입니다.

合茲中山,有黃白雲降蓋,若獸為符, 路弓乘矢,集獲壇下,報祠大饗。
중산에 도착했을 때 황백색의 구름이 내려와 덮고고라니 같은 짐승이 나타나 상서로운 징조와 부합하며큰 활을 수레에서 쏘아 제단 아래에서 고라니를 잡아서천지신명께 성대한 제사를 올렸습니다.

惟受命而帝者心知其意而合德焉。

오직 하늘의 명을 받은 황제만이 그 뜻을 알 수 있으니황제의 덕이 그것에 합치하는 것입니다.

鼎宜見於祖禰,藏於帝廷,以合明應。」
정은 의당 종묘에 바치고 황궁에 간직하여 하늘이 밝히신 징조에 부합해야 하겠습니다.”

制曰:

「可。」
황제가 답하였다.
허락한다.”

: 부합하다.

: 하늘이 내리는 상서로운 징조.

路弓 : 큰 활.

: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

大饗 : 고대 일종의 祭禮. 조상의 신주를 遞遷하여 祧廟에서 함께 제사 지내는 일.

合德: 하늘과 사람의 덕이 합치되다. 하늘과 사람이 서로 감응하다.

祖祢 : 선조. 아버지가 살아계시면 라 하고, 죽으면 라 하고 묘에 들어가면 ()’라고 한다. 는 부친의 신주를 모신 묘당.

: 神明. 신령.

: 황제의 仁政에 하늘이 감응하여 나타난 길한 조짐

制曰 : 신하들이 주청하는 바가 있을 때 尙書令이 황제에게 이를 아뢰면, 황제가 有司에게 내리는 것을 라 하고, 황제가 답하여 허가하는 것을 라고 한다.

 

 

入海求蓬萊者,言蓬萊不遠,而不能至者, 殆不見其氣。
바다로 나가 봉래산을 찾던 자들이 말하기를 봉래산이 멀지 않는데도 갈 수 없는 것은아마도 그 봉래산의 기운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上乃遣望氣佐侯其氣云。

이에 황제는 기운을 잘 살피는 자를 보내어 그들을 도와 기운을 관측하게 하였다.

: 대개. 아마도.

: 관측하다.

 

 

其秋,上幸雍,且郊。
그해 가을천자가 옹현으로 행차하여 郊祀를 지내려 하였다.

或曰

「五帝,泰一之佐也。
宜立泰一而上親郊之」。
누군가가 말하였다.
五帝는 태일신의 보좌입니다.
마땅히 태일신의 사당을 세워 황상께서 친히 郊祀를 지내야 합니다.”

上疑未定。
무제가 주저하며 결정하지 못하였다.

齊人公孫卿曰:

「今年得寶鼎,其冬辛巳朔旦冬至, 與黃帝時等。」
제나라 사람 公孫卿이 말하였다.
금년에 寶鼎을 얻었는데 겨울 辛巳朔 아침인 동지이며이는 黃帝께서 보정을 얻은 절기와 같습니다.”

其秋 : 武帝 元鼎 4(기원전113) 가을.

: 郊祀. 교외에서 올리는 제사.

公孫卿 : 제나라 출신 方士.

: 음력 초하루.

: 아침. 해 돋을 무렵.

黃帝 : 黃帝 軒轅氏. 중국 신화의 帝王으로 三皇에 이어 중국을 다스린 五帝의 첫 번째 왕이다.

 

 

卿有札書曰:
공손경이 지닌 木簡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黃帝得寶鼎宛[朐],問於鬼臾區。
黃帝가 宛胊縣에서 보정을 얻은 후에 鬼臾區에게 물었다.

區對曰:

『帝得寶鼎神筴, 是歲己酉朔旦冬至,得天之紀,終而復始。』
귀유구가 대답하기를
黃帝께서 보정과 신책(神筴)을 얻으신 때가 그해 己酉朔 아침 동지로하늘의 인 曆數와 부합하여 끝났다가 다시 시작하는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於是黃帝迎日推筴,後率二十歲得朔旦冬至, 凡二十推,三百八十年。

이에 황제가 日月을 예측하여 曆數로 추산해보니 그 뒤로 대략 20년마다 초하룻날 아침에 동지가 순환되었고, 20번을 추산하니 380년이 되었다.

黃帝僊登于天。」

황제는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

: 木簡. 고대에 사용하던 글을 적은 나뭇조각.

鬼臾區 : 鬼容區. 黃帝의 신하로 전설상 의사이며 호는 大鴻이다.

: 고대에 蓍草로 점을 치는 것.

: 절기의 차례를 추산하다. 五紀다섯 가지 근본윤리를 말하며 星辰曆數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여기서는 曆數를 말하며 역수는 왕위나 조대가 바뀌는 순서를 말한다.

迎日推策 : 예측한 날을 역법으로 추산하다. 은 예측하다. ()은 점을 치는 데 쓰는 대나무 가지.

: 대체로. 대략.

 

卿因所忠欲奏之。
公孫卿이 所忠을 통해 이 일를 상주하려 하였다.

所忠視其書不經,疑其妄書,謝曰:
「寶鼎事已決矣,尚何以為!」
소충이 보기에 그 글은 정상이 아니어서터무니없는 글이라고 의심하고 사양하면서 말하였다.
보정의 일은 이미 끝났는데다시 무엇을 하겠다는 말인가?”

卿因嬖人奏之。
공손경은 황제가 총애하는 사람을 통해 이를 아뢰었다.

上大說,召問卿。
황제는 크게 기뻐하며 공손경을 불러 물었다.

對曰:
「受此書申功,申功已死。」
공손경이 대답하였다.
이 목간을 申功에게서 받았는데신공은 이미 죽었습니다.”

上曰:

「申功何人也?」
황제가 말하였다.
신공은 어떤 사람인가?”

所忠 : 황제의 근신.

: 정상. 經常

嬖人 : 총애를 받는 신하.애첩.

: 과 같다. 기뻐하다.

申功 : 제나라 사람으로 한나라 때 安期生과 친구였다.

 

 

卿曰:
공손경이 대답하였다.

「申功,齊人也。
신공은 제나라 사람입니다.

與安期生通,受黃帝言,無書,獨有此鼎書。

안기생과 왕래했고黃帝의 가르침을 이어받았는데다른 글은 남기지 않았고 오직 鼎書만 있을 뿐입니다.


『漢興復當黃帝之時。
漢之聖者在高祖之孫且曾孫也。
寶鼎出而與神通,封禪。
封禪七十二王,唯黃帝得上泰山封』。
그 글에 이르기를,
한나라의 흥성은 또한 黃帝 때의 曆日과 같다.
한나라의 성군은 고조의 손자 혹은 증손자 중에 있다.
보정이 출현하여 신선과 상통하려면 봉선을 행하여야 한다.
봉선을 행한 72명의 왕에黃帝만이 태산에 올라 봉선을 행하였다.’라고 하였습니다.

當黃帝之時) : 황제 때의 曆日과 같다. 즉 년도명,일명,冬至 등의 절기가 같다. 曆日(역일) : 달력으로 정해지는 날짜.

: 혹은. 허사 참조

 

 

한문의 허사(虛詞) 且

한문의 허사(虛詞) 且 且猶 ~조차 且又 또한 且는 부사, 접속사, 어기사, 대명사 등으로 쓰인다. 부사로서의 且는 당송시대에 “단지” “의연히” “겨우” 등의 새로운 뜻이 생겨났다. 접속사

koahn.tistory.com

 

 

申功曰:
신공이 말하였습니다.

『漢主亦當上封,上封則能僊登天矣。

한나라의 군주 또한 태산에 올라 봉선을 행하여야 하며태산에 올라 봉선을 하면 신선이 되어 하늘에 오를 수 있을 터이다.

黃帝時萬諸侯,而神靈之封居七千。
黃帝 때는 제후국이 1만 개였고신령에 제사하며 세운 封國이 7천에 달하였다.

天下名山八,而三在蠻夷,五在中國。
천하 명산 여덟 중 셋은 蠻夷에 있고다섯은 중원에 있다.

中國華山、首山、太室、泰山、東萊, 此五山黃帝之所常遊,與神會。
중원에는 華山·首山·太室山·泰山·東萊山이 있으며이 다섯 산은 黃帝가 늘 유람하며 신선과 회합했던 곳이다.

黃帝且戰且學僊。

黃帝는 전쟁하면서 한편으로 仙道를 배웠다.

患百姓非其道,乃斷斬非鬼神者。

백성이 그의 선도를 그릇되다고 여김을 싫어하여귀신을 비난하는 자들을 斬殺하였다.

百餘歲然後得與神通。
100여 년을 수련한 뒤에야 신선들과 서로 통할 수 있었다.

神靈之封 : 신령에 제사하며 세운 봉국.

: 점하다.

蠻夷 : 중원 지역 이외 사방의 소수민족.

中國 : 중원 지역.

: 반대하다.비방하다.

斷斬: 斬殺

 

 

黃帝郊雍上帝,宿三月。
黃帝는 옹현의 교외에서 상제에게 제사를 지내느라 석 달을 머물렀다.

鬼臾區號大鴻,死葬雍,故鴻冢是也。
鬼臾區는 大鴻으로 불렸으며죽은 뒤에는 옹에 장사를 지냈기 때문에 鴻冢이 바로 그의 무덤이다.

其後於黃帝接萬靈明廷。

그 후 黃帝는 明廷에서 일만 이상의 신령들을 영접하였다.

明廷者,甘泉也。

명정은 지금의 감천산이다.

所謂寒門者,谷口也。
이른바 寒門이란 곳은 지금의 谷口이다.

黃帝采首山銅,鑄鼎荊山下。
黃帝는 首山에서 銅鑛을 채굴하여 형산 근처에서 을 주조하였다.

鼎既成,有龍垂胡髯下迎黃帝。

이 만들어지자 긴 수염을 늘어뜨린 용이 내려와 황제를 영접하였다.

黃帝上騎,群臣後宮從上龍七十餘人,乃上去。
황제가 용을 올라타자 신하들과 후궁 70여 명도 뒤따라 용을 탔고용은 바로 하늘로 날아올랐다.

餘小臣不得上,乃悉持龍髯,龍髯拔, 墮黃帝之弓。
미처 오르지 못한 나머지 지위가 낮은 신하들이 모두 용의 수염을 잡고 늘어지는 바람에 용의 수염이 빠졌으며 황제의 활도 떨어졌다.

百姓仰望黃帝既上天,乃抱其弓與龍胡髯號。
백성은 黃帝가 승천하는 것을 우러러보다가 활과 용의 수염을 끌어안고 대성통곡하였다.

故後世因名其處曰鼎湖,其弓曰烏號。』」

이 때문에 훗날 그곳에 鼎湖라는 이름을 붙였고그 활을 烏號라 불렀다.’”

於是天子曰:
「嗟乎!吾誠得如黃帝,吾視去妻子如脫屣耳。」
이에 천자가 말하였다.
내가 참으로 黃帝처럼 승천할 수 있다면 짚신을 벗듯이 처자식을 떠날 터이다!”

乃拜卿為郎,東使候神於太室。
이에 공손경을 郎官에 임명하고 동쪽 太室山에 보내어 신선을 기다리게 하였다.

胡髯 : 턱에 난 수염.

: 대성통곡하다.

嗟乎 : . 감탄사.

: 짚신. 보잘것없는 것으로 여기다.

 

 

上遂郊雍,至隴西,西登空桐,幸甘泉。
무제가 옹현에서 교사를 드리고 隴西에 이르러 서쪽 空桐山에 오른 연후에 감천궁으로 돌아왔다.

令祠官寬舒等具泰一祠壇,壇放薄忌泰一壇,壇三垓。

사관 관서 등에게 태일신의 제단을 갖추되 제단은 박유기의 방법을 본떠 태일신의 제단을 만들고 3층으로 나누게 하였다.

五帝壇環居其下,各如其方,黃帝西南, 除八通鬼道。
五帝의 제단은 태일신의 제단 아래에 빙 둘러싸듯 배치했는데각기 주관하는 방위에 맞추었으며황제의 제단은 서남쪽에 두고 팔방으로 통하는 鬼道를 만들었다.

泰一所用,如雍一畤物,而加醴棗脯之屬, 殺一牦牛以為俎豆牢具。

태일단에 사용하는 것은 옹현의 에 올리는 것과 같았는데감주,대추,말린 고기 같은 것을 더하고 검정 소를 잡아 제기에 담는 犧牲으로 하였다.

而五帝獨有俎豆醴進。

그러나 오제에게는 희생과 단술만 올렸다.

: 준비하다.

: 모방하다. 본뜨다.

: 층계.

五帝 : 하늘에서 동북의 五方을 주재하는 . 동쪽에 蒼帝,남쪽에 赤帝,중앙에 黃帝,서쪽에 白帝,북쪽에 黑帝를 말한다.

: 方位.

: 건축하다.

: 단술.감주.

: 말린 고기.

牦牛 : 야크. 검정 소.

俎豆 : 제사용 희생을 담는 祭器.

 

 

其下四方地,為餟食群神從者及北斗云。
제단 아래 사방의 땅에는 群神을 따르는 신들과 북두성에게 술을 땅에 부어 제사를 올렸다.

已祠,胙餘皆燎之。

제사를 마치면 제사 지낸 고기 등은 전부 불에 태웠다.

其牛色白,鹿居其中,彘在鹿中,水而洎之。

제사용 소는 흰색으로 하여 사슴을 그 안에 넣었고,돼지를 사슴 안에 넣어 솥에 물을 붓고 담갔다.

祭日以牛,祭月以羊彘特。

태양신에게는 소로 제사를 올렸고달의 신에게는 양이나 돼지 한 마리로 제사를 올렸다.

泰一祝宰則衣紫及繡。
태일신의 제사를 담당하는 관리들은 수놓은 자색 옷을 입었다.

五帝各如其色,日赤,月白。
五帝의 祭官들은 각각의 방위의 색깔과 같게 하였고태양에 제사를 드릴 때는 붉은 색 옷을달에 제사를 올릴 때는 흰색 옷을 입었다.

() : 諸神祭座를 병설(倂設)하고 술을 땅에 부어 제사 지내다. 群神際.

: 제육.

() : 솥에 물을 붓다.

: 犧牲한 마리.

祝宰 : 祭官. 고대에 제사와 축수를 담당하는 관리.

 

 

十一月辛巳朔旦冬至,昧爽,天子始郊拜泰一。
11월 신사일 초하루 아침 동지 동틀 무렵천자는 태일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시작하였다.

朝朝日,夕夕月,則揖;而見泰一如雍禮。

이른 아침에는 태양신에게 제사 드리고저녁 무렵에는 달의 신에게 제사 드리며 절을 올렸으며태일신에게 제사할 때는 옹현에서 드리는 제사의 예법과 같았다.

其贊饗曰:

「天始以寶鼎神筴授皇帝,朔而又朔, 終而復始,皇帝敬拜見焉。」
제관이 贊饗하며 말하였다.
천신께서 처음으로 보정과 神筴을 황제께 내리시고 초하루가 지나가면 다시 또 초하루가 찾아오고 끝났다가 다시 시작하는 것이니황제께서는 공경스럽게 천신에게 절하고 삼가 뵙도록 하십시오.”

昧爽 : 미명. 동틀 무렵.

朝朝日 : 이른 아침 태양신에게 참배하다.

夕夕月 : 저녁 무렵 달의 신에게 제사지내다.

贊饗 : 제사지낼 때 신에게 축사를 바치고 음식을 권하다.

 

 

而衣上黃。
제사 예복은 황색을 입었다.

其祠列火滿壇,壇旁烹炊具。
제단에는 횃불을 가득히 밝히고 제단 옆에는 제사용 기구들을 놓았다.

有司云
祠上有光焉」。
담당관리가 말하였다.
제단 위에서 광채가 납니다.”

公卿言

「皇帝始郊見泰一雲陽,有司奉瑄玉嘉牲薦饗。
是夜有美光,及晝,黃氣上屬天。」
공경들이 말하였다.
황제께서 처음 雲陽宮에서 태일신에게 郊祀를 올릴 때 담당관리들이 큰 옥과 좋은 犧牲을 바쳤는데 그날 밤 아름다운 광채가 보이더니 이튿날 낮까지 지속되었고황색 기운이 하늘로 뻗어 올라갔습니다.”

瑄玉(선옥) : 제사 지낼 때 쓰는 커다란 으로 직경이 6치다.

 

 

太史公、祠官寬舒等曰:
「神靈之休,祐福兆祥, 宜因此地光域立泰畤壇以明應。
令太祝領,[秋]及臘閒祠。
三歲天子一郊見。」
태사공과 사관 寬舒 등이 아뢰었다.
신령이 내리는 아름다운 형상들은 복을 지키는 상서로운 조짐들이므로빛이 나는 곳에다 태일신의 제단을 세워 그 감응을 드러내야 마땅합니다.
太祝에게 매년 가을과 臘祭사이에 제사를 주관하게 하십시오.
천자는 3년에 한 번 郊祀를 올리도록 하십시오.”

: 아름다움.

() : 제사터.

太祝 : 제사를 관장하며 기도를 하는 관리.

: 섣달. 음력12월에 여러 신을 합동으로 치르는 제사.

 

 

其秋,為伐南越,告禱泰一, 以牡荊畫幡日月北斗登龍,以象天一三星, 為泰一鋒,名曰「靈旗」。
그해(기원전112가을南越을 토벌하기 위해 태일신에게 제사 드리며 고했는데가시나무를 깃대로 하고 깃발에는 해와 달북두칠성과 비룡을 그려놓아 天一三星을 상징토록 하여 泰一鋒으로 삼고 이름을 靈旗라고 하였다.

為兵禱,則太史奉以指所伐國。

출병하는 기도를 드릴 때는 太史가 靈旗를 들고 정벌하고자 하는 나라의 방향을 가리켰다.

牡荆 : 관목의 일종으로 깃대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 깃발. 앞에 세우는 깃발.

天一 : 별자리 이름. 紫微垣에 속한다.

為泰一鋒 : 태일신에게 제사지낼 때 가장 앞에 두는 깃발로 삼다. 은 최전방에 있는 깃발.

: 남월을 토벌하기 위해 출병하는 일을 말한다.

 

 

而五利將軍使不敢入海,之泰山祠。
당시 五利將軍은 사신으로서 감히 바다로 가 신선을 찾지 못하고 태산에 가서 제사를 지냈다.

上使人微隨驗,實無所見。

무제가 사람을 시켜 몰래 따라가 살피게 하였으나 실제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五利妄言見其師,其方盡,多不讎。
오리장군은 그의 스승을 만났다고 허튼소리를 했고그의 방술도 다하여 대부분 영험을 보이지 못하였다.

上乃誅五利。
마침내 무제는 오리장군을 죽였다.

五利將軍 : 欒大. 樂成侯 丁義가 천거한 方士로 무제의 아우 膠東康王 劉寄를 섬겼었다.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동해로 들어가서 그의 스승을 찾아보겠다고 했었다

: 영험하다.

 

 

其冬,公孫卿候神河南,見僊人跡緱氏城上, 有物若雉,往來城上。
그해 겨울공손경은 河南에서 신선을 기다리다 緱氏城위에서 신선의 발자국을 보았는데마치 꿩과 같은 神物이 성 위를 다닌 듯하였다.

天子親幸緱氏城視跡。問卿:
「得毋效文成、五利乎?」
천자는 몸소 구지성으로 행차하여 그 발자국을 보고 공손경에게 물었다.
설마 문성장군과 오리장군을 본받을 리는 없겠지?”


卿曰:
「僊者非有求人主,人主求之。
其道非少寬假,神不來。
言神事,事如迂誕,積以歲乃可致。」
공손경이 대답하였다.
신선은 군주를 찾는 일이 없고 군주가 신선을 찾아야 합니다.
그 방도를 너그럽고 넉넉하게 하지 않으면 신이 오지 않습니다.
신의 일을 말하는 것은 황당무계한 듯하니 세월을 쌓아야 비로소 불러올 수 있습니다.”

於是郡國各除道,繕治宮觀名山神祠所, 以望幸矣。
그리하여 군과 국에서 각각 길을 닦고 궁실과 명산의 神祠를 보수하고 수리해서 천자의 행차를 기다렸다.

其冬 : 武帝 元鼎 6(기원전111)겨울.

得毋 : 설마. 허사 참조

 

 

한문의 허사(虛詞) 得

한문의 허사(虛詞) 得 得微 ~이 아닌가? 得毋 ~은 아니겠지? 得無 ~이 아닌가? 得非 ~이 아닐까? (1) 得은 가능을 표시하며 동사 앞에 놓인다. 能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能은 주관적인 조건하에

koahn.tistory.com

文成將軍 : 李少翁. 한나라 때의 方士.

제나라 사람으로 귀신을 부르는 방술로 무제의 총애를 받아 문성장군이 되었다. 거짓 방술로 인해 무제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寬假 : 관용. 너그럽다.

迂誕 : 황당무계하다. 는 돌고 먼 것을 말하며, 은 큰소리치는 것이다

 

 

 

其年,既滅南越,上有嬖臣李延年以好音見。
그해(기원전111남월을 멸망시키고 나서무제가 총애하는 신하 李延年이 뛰어난 음률을 가지고 알현하였다.

上善之,下公卿議,曰:
「民閒祠尚有鼓舞之樂,今郊祠而無樂, 豈稱乎?」
무제는 그 음악이 좋다고 하면서 공경들에게 의논하라고 하며 말하였다.
민간 제사에도 북과 춤이 있는 음악이 있거늘 지금 郊祀에 음악이 없으니 어찌 어울리겠는가?”

公卿曰:
「古者祀天地皆有樂,而神祇可得而禮。」
공경들이 말하였다.
고대에는 천지 제사에 모두 음악이 있어서천신과 지신이 예법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或曰:
「泰帝使素女鼓五十弦瑟,悲, 帝禁不止,故破其瑟為二十五弦。」
누군가가 말하였다.
泰帝가 素女에게 50현의 거문고를 연주하게 했는데곡조가 슬퍼서 태제가 멈추게 하였으나 그치지 않았기 때문에 거문고를 부수어 25현의 거문고로 만들었습니다.”

於是塞南越,禱祠泰一、后土,始用樂舞, 益召歌兒,作二十五弦及箜篌瑟自此起。
이에 남월을 평정한 것에 대한 보답으로 태일신과 후토신에 제사를 올리면서 처음으로 노래와 춤을 사용했고 가수를 널리 모집하였으며, 25현의 거문고와 箜篌금슬 등의 제작이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李延年: 무제 때의 명가수. 부모와 그 자신과 형제자매들 모두가 이전에 歌舞人이었다. <史記列傳 125 佞幸列傳>

: 서로 걸맞다. 잘 어울리다.

神祗 : 天神地神.

素女 : 전설에서 음악에 정통하고 陰陽術房中術에 능하였다고 하는 선녀의 이름.

: 둘로 나누다. 분할하다.

: 보답하다. (신의 은혜를 갚기 위해) 제사를 올리다.

歌兒 : 가수.

箜篌 : 현악기. 21개의 줄을 매어 세워 놓고 뜯는 竪箜篌, 13개의 줄을 매어 눕혀 놓고 뜯는 臥箜篌, 공명통에 나무대를 가로 꽂아 거기에 13개의 줄을 매어 놓은 小箜篌 등이 있다.

 

 

其來年冬,上議曰:
「古者先振兵澤旅,然後封禪。」
이듬해 겨울무제가 의논하며 말하였다.
옛날에는 먼저 병기를 거둬들이고 군대를 해산한 연후에 봉선을 행하였다.”

乃遂北巡朔方,勒兵十餘萬, 還祭黃帝冢橋山,澤兵須如。

이에 무제는 북쪽으로 朔方을 순시하며 10여 만의 군사를 거느리고 돌아오는 길에 橋山에 있는 黃帝의 능묘에 제사 지내고 須如에서 군대를 해산하였다.

上曰:
「吾聞黃帝不死,今有冢,何也?」
무제가 말하였다.
내가 듣기에 黃帝는 죽지 않았다 하는데지금 여기에 무덤이 있으니 어찌 된 일인가?”

或對曰:
「黃帝已僊上天,群臣葬其衣冠。」
누군가가 대답하였다.
황제가 신선이 되어 승천 후에 신하들이 그의 의관을 묻었습니다.”

即至甘泉,為且用事泰山,先類祠泰一。

이어 감천궁에 이르러 태산에서 봉선을 행하기 위해 먼저 태일신에 제사하여 고하였다.

振兵澤旅 : 무기를 정돈하고 군대를 해산하다. 은 정돈하다. 과 통하여 해산하다.

: 통솔하다.

用事 : 행사. 제사를 지내다.

: ()와 통용된다. 제사명으로 군대 등에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하늘에 고하는 제사.

 

 

自得寶鼎,上與公卿諸生議封禪。
보정을 얻고 나서 무제는 공경 및 儒生들과 봉선에 대해 논의하였다.

封禪用希曠絕,莫知其儀禮, 而群儒采封禪尚書、周官、王制之望祀射牛事。
봉선을 거의 행하지 않았던 까닭에 제사가 끊어진 지 오래되어 그 의례를 아는 사람이 없었다이에 유생들은 <尙書와 <周官>의 王制편에 나오는 望祀와 射牛의 일을 봉선에 채용고자 하였다.

: ~때문에.

: 와 같다. 드물다.

曠絕 : 단절되다. 은 오래되다.

周官 : 周禮.

王制 : 禮祠 王制.

望祀 : 望祭. 고대 제사명으로 멀리서 산천을 바라보면서 산천의 신에게 지내는 제사.

射牛 : 고대 제왕이 천지나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웅장함을 보이려고 직접 활로 소를 쏘는 의식.

 

 

齊人丁公年九十餘,曰:
「封者,合不死之名也。
秦皇帝不得上封。
陛下必欲上,稍上即無風雨,遂上封矣。」
제나라 사람 丁公은 90여 세였는데 이렇게 아뢰었다.
태산에 올라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이란 것은 不死의 이름에 합당합니다.
진시황은 태산에 올라 封禮를 드리지 못했습니다.
폐하께서 꼭 오르시겠다면 조금씩 오르시다가 비바람이 없을 때 올라서 봉례를 드리십시오.”

上於是乃令諸儒習射牛,草封禪儀。

이에 무제는 유생들에게 射牛를 익히도록 명령하고봉선의 예의에 대한 초고를 작성하게 하였다.

數年,至且行。
몇 년 뒤 마침내 봉선을 거행할 때가 되었다.

天子既聞公孫卿及方士之言, 黃帝以上封禪,皆致怪物與神通, 欲放黃帝以嘗接神僊人蓬萊士, 高世比德於九皇,而頗采儒術以文之。

천자는 공손경과 방사들로부터 말을 듣기를황제 이전에 봉선을 행할 때 모두 괴이한 신물을 불러와 신과 상통하였다고 하였다.
이에 천자는 黃帝가 신선과 봉래 방사들을 맞이하는 방법을 본받고세속을 초탈해 九皇의 덕에 버금간다는 것을 보여주고자유가의 학술을 자못 채용하여 봉선의 글을 꾸미고자 하였다.

: 합당하다. 응당.

上封 : 태산에 올라 봉선을 하다.

封禪帝王이 천지에 제사지내던 의례로 최초로 봉선한 것은 秦始皇帝였는데 泰山의 산정에서 하늘에 제사지내는 것을 이라 하고, 부근의 작은 동산인 梁父山에서 땅에 제사지내는 것을 이라 하였다.

高世 : 세속을 초월하다.

九皇 : 전설상의 아홉 황제. 三皇天皇地皇泰皇이라 하였는데 이를 세분하여 前三皇中三皇後三皇으로 하여 구황이라 하였다.

: 자못.

: 수식하다.

 

 

群儒既以不能辯明封禪事,又牽拘於詩書古文而不敢騁。
유생들은 봉선 의식에 대해 분명히 밝혀내지 못했고 古文 <>, <>에 얽매여 자신들의 생각을 펼쳐내지 못하였다.

上為封祠器示群儒,群儒或曰 「不與古同」.

무제가 봉선에 사용되는 제사 용구를 유생들에게 보여주니그들 가운데 누군가가
고대의 것과 같지 않습니다.”라고 하였다.

徐偃又曰
「太常諸生行禮不如魯善」.
또 徐偃이 말하였다.
太常소속의 유생들이 행하는 의례는 노나라 것보다 못합니다.”

周霸屬圖封事,於是上絀偃、霸, 盡罷諸儒弗用。
周覇가 봉선에 관한 일을 모으려고 계획하자 주상은 서언과 주패를 물리치고 유생들을 모조리 등용하지 않았다.

古文 : 고대의 경서.

: 펼치다. 하고 싶은 대로 하다.

: 모으다.

: 물리치다.

 

 

三月,遂東幸緱氏,禮登中嶽太室。
3무제가 마침내 동쪽으로 행차하여 緱氏縣에 이르러 中嶽의 태실산에 올라 제사를 지냈다.

從官在山下聞若有言「萬歲」云。

이때 산 밑에 있던 수행 관리들이 만세!”라고 외치는 듯한 소리를 들었다.

問上,上不言;問下,下不言。

산 위에 있는 사람에게 물었으나 위에서는 외치지 않았다고 했고산 아래에 있는 사람에게 물었으나 아래서도 외치지 않았다고 하였다.

於是以三百戶封太室奉祠,命曰崇高邑。
이에 태실산에 300호를 봉하여 제사를 받들도록 하고 崇高邑이라 불렀다.

東上泰山,山之草木葉未生, 乃令人上石立之泰山顛。
동쪽으로 가서 태산에 올랐는데 초목에 잎이 나지 않아서사람들에게 비석을 산 위로 운반시켜 태산 정상에 세우게 하였다.

問上 : 산 위에 있는 사람에게 묻다.

不言 : 외치지 않았다.

上石 : 비석을 산 위로 운반하다.

: 정상.꼭대기.

 

 

上遂東巡海上,行禮祠八神。
무제가 동쪽 바닷가를 순시하며 예를 행하여 八神에게 제사를 올렸다.

齊人之上疏言神怪奇方者以萬數,然無驗者。

제나라 사람이 상소하여 신기하고 괴이한 방술을 말하는 자가 1만 명에 이르지만 영험한 자는 한 명도 없다고 하였다.

乃益發船,令言海中神山者數千人求蓬萊神人。
이에 배를 더 많이 내어 바다에 神山이 있다고 말하는 자들 수천 명에게 봉래산의 神人을 찾으라고 명하였다.

公孫卿持節常先行候名山,至東萊, 言夜見一人,長數丈,就之則不見, 見其跡甚大,類禽獸云。

공손경이 부절을 지니고 항상 먼저 가서 명산에서 신선을 기다렸으며동래에 이르러 말하기를밤에 키가 몇 장이나 되는 사람을 보았는데 다가가니 보이지 않았고足跡이 매우 커서 짐승인 듯하였다고 하였다.

八神 : 八方之神.

天主地主兵主陰主陽主,月主日主四時主 등 여덟 신을 말한다.

: 더하다.

: 접근하다.

: 발자국.

 

 

群臣有言見一老父牽狗,言「吾欲見巨公」, 已忽不見。
신하 중에 누군가 말하기를, ‘한 노인이 개를 끌고 가는 것을 보았는데노인이 말하기를 나는 巨公을 만나고 싶다.”라고 하며 곧 홀연히 사라져 보이지 않았습니다.’라고 하였다.

上既見大跡,未信,及群臣有言老父,則大以為僊人也。
무제가 큰 발자국을 보고도 믿지 않았으나신하들이 노인을 말하자그제야 크게 깨닫고 신선이라 여겼다.

宿留海上,與方士傳車及閒使求僊人以千數。
이에 바닷가에 머무르며방사에게 傳車와 密使를 주어 신선을 찾게 하니 모두 천 명이나 되었다.

巨公 : 무제(武帝)를 말한다.

傳車 : 고대 역참에서 파말마가 끄는 수레.

閒使 : =間使. 密使.

 

 

四月,還至奉高。
4돌아오는 길에 奉高縣에 이르렀다.

上念諸儒及方士言封禪人人殊,不經,難施行。
무제는 유생과 방사들이 말하는 봉선이 사람마다 다르고 도리에 맞지 않아 시행하기 어렵다고 여겼다.

天子至梁父,禮祠地主。
무제는 梁父山에 가서 地神에게 예를 갖추어 제사를 올렸다.

乙卯,令侍中儒者皮弁薦紳,射牛行事。
을묘일侍中벼슬에 있는 유생에게 명하여 皮弁을 쓰고 홀을 꽂은 관복을 입게 하고 射牛의식을 거행하였다.

封泰山下東方,如郊祠泰一之禮。

태산 아래 동쪽에 제단을 쌓고 태일신에게 지내는 의례대로 郊祠를 지냈다.

封廣丈二尺,高九尺,其下則有玉牒書,書祕。
제단의 넓이는 12척에 높이 9척이었으며그 아래에 玉牒書를 두었는데 글의 내용은 비밀에 부쳤다.

四月 : 武帝 元封 원년(기원전110) 4.

奉高 : 봉고현. 지금의 山東省 泰安市동쪽.

梁父 : 양보산. 땅의 太山 기슭에 있는 산.

皮弁 : 흰 사슴의 가죽으로 만든 모자.

薦紳 : 搢紳. 官服을 입을 때 을 큰 띠에 끼우는 일. ()百官들의 官服祭服에 갖추는 홀을 허리띠에 꽂는다는 뜻이고, 은 관복을 입을 때 매는 큰 띠를 말한다.

射牛 : 고대 제왕이 천지나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웅장함을 보이려고 직접 활로 소를 쏘는 의식

: 제단.

의 너비가 12이고 높이가 2이고 계단이 세 층계이며, 그 위에 封土함은 더욱 높이는 것이다.

玉牒 : 고대 제왕의 봉선을 행한 문서. 길이가 13이고 너비와 두께가 각각 5이며, 산 위에 보관하되 네모진 돌 세 개를 두 번 포개어서 쇠줄로 묶어 石泥로 봉함하였다.

 

 

禮畢,天子獨與侍中奉車子侯上泰山,亦有封。
를 마치자천자는 侍中 奉車 藿子侯만을 데리고 태산에 올라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其事皆禁。
그일은 모두 비밀에 부쳤다.

明日,下陰道。

다음날산의 북쪽 길로 내려왔다.

丙辰,禪泰山下阯東北肅然山,如祭后土禮。

병진일태산 기슭 동북쪽 肅然山에서 지신에 제사를 올렸는데후토신에게 올리는 제례와 똑같이 하였다.

天子皆親拜見,衣上黃而盡用樂焉。

천자는 모든 제사를 몸소 지냈는데황색 옷을 입고 모든 제사에 음악을 연주하였다.

江淮閒一茅三脊為神藉。

장강과 회수 일대에서 나는 三脊茅로 제단의 자리를 깔았다.

五色土益雜封。

오색토를 섞어 제단을 쌓았다.

縱遠方奇獸蜚禽及白雉諸物,頗以加祠。
먼 지방의 기이한 들짐승과 날짐승흰 꿩 등과 같은 동물들을 풀어 놓아 자못 제사의 분위기를 더하였다.

兕旄牛犀象之屬弗用。

외뿔소,야크,무소,코끼리 등속은 사용하지 않았다.

皆至泰山然後去。
태산에 이른 다음 모두 놓아 주었다.

封禪祠,其夜若有光,晝有白雲起封中。
봉선 제사 때는 밤에 마치 광채가 있는 듯하였고낮에는 흰 구름이 제단 가운데서 피어올랐다.

陰道 : 산의 북쪽 길. 은 산의 북쪽을 말한다.

: 산 기슭.

一茅三脊 : 장강과 회수 사이에서 생산된 띠풀 중에 세모꼴의 등이 있는 것.

: 깔개. 띠풀을 땅에 깔다.

白雉 : 흰 꿩.

: 외뿔소.

 

 

天子從封禪還,坐明堂,群臣更上壽。
천자가 봉선을 지내고 돌아와 明堂에 앉자 신하들이 번갈아 축수를 올렸다.

於是制詔御史:

이에 어사에게 칙명을 내렸다.

「朕以眇眇之身承至尊,兢兢焉懼弗任。
짐이 보잘것없는 몸으로 지존을 계승하여소임을 다하지 못할까 전전긍긍하며 두려워하였다.

維德菲薄,不明于禮樂。

짐은 덕도 변변하지 못하고 예악에도 밝지 못하다.

修祀泰一,若有象景光,屑如有望, 依依震於怪物,欲止不敢, 遂登封泰山,至於梁父,而後禪肅然。

태일신에게 제사 지낼 때 상서로운 빛의 징조가 있으면 편치 않게 바라보고기이한 신물을 보면 머뭇거리고 두려워 떨며 중도에 멈추고 싶었으나 감히 그러지 못했으며끝내 태산에 올라 봉선의식을 거행했고양보산에 이른 후에 숙연산에서 지신에게 제사를 올렸다.

: 祝壽. 장수를 기원하다.

制詔 : 황제의 칙명

眇眇 : 매우 작은 모양

兢兢 : 두려워하고 조심함.

: 語氣詞.

菲薄 : 얼마 되지 않아 변변하지 못함.

景光 : 상서로운 빛.

: 불안하다. 편하지 않다.

依依 : 머뭇거리다.

: 두려워 떨다.

 

 

自新,嘉與士大夫更始, 賜民百戶牛一酒十石, 加年八十孤寡布帛二匹。
짐은 자신을 새롭게 하고 힘써 사대부들과 다시 새롭게 시작하려 하니백성에게100가구 당 소 한 마리와 술 10석을 내리고, 80세 이상인 노인과 고아와 과부들에게는 베와 비단 두 필씩을 하사하라.

復博、奉高、蛇丘、歷城,毋出今年租稅。

박현봉고현사구현역성현의 요역과 금년의 세금을 면제하라.

其赦天下,如乙卯赦令。

천하에 사면령을 내리고 을묘년의 사면령과 똑같이 하라.

行所過毋有復作。
짐이 순행하여 지나간 지역에는 재범한 경범자를 처벌하지 마라.

事在二年前,皆勿聽治。」
2년 전에 범한 죄에 대해서는 모두 그 죄를 판결하지 않도록 하라.”

嘉與 : 장려하다. 힘쓰다.

更始 : 다시 새롭게 시작하다.

: 세금과 부역을 면제하다.

復作 : 재범한 경범죄자.

聽治 : 죄를 판결하다.

 

 

又下詔曰:
「古者天子五載一巡狩,用事泰山, 諸侯有朝宿地。
其令諸侯各治邸泰山下。」
또 조서를 내려 말하였다.
옛날 천자는 5년에 한 번 순수하고 태산에 제사를 올렸으며제후들에게는 조회를 위한 숙소가 있었다.
제후들은 각자 태산 아래에 관저를 지어라.”

 

 

天子既已封禪泰山,無風雨菑, 而方士更言蓬萊諸神山若將可得, 於是上欣然庶幾遇之,乃復東至海上望, 冀遇蓬萊焉。
천자가 태산에서 봉선하고 나서 바람이나 비 같은 재앙이 없으니방사들이 번갈아 말하기를봉래산의 여러 신선을 장차 만날 수 있겠다고 하였고천자는 기뻐하여 행여 신선을 만날까 여기고다시 동쪽으로 해상에 이르러 바다를 바라보면서 봉래산의 신선을 만나기를 고대하였다.

奉車子侯暴病,一日死。

奉車 霍子侯가 갑자기 병이 나서 하루 만에 죽었다.

上乃遂去,并海上,北至碣石, 巡自遼西,歷北邊至九原。
천자가 이에 그곳을 떠나 바닷가를 따라 북쪽 碣石山에 이르러 遼西로부터 순시하여 북쪽 변경을 거쳐 九原까지 이르렀다.

五月,返至甘泉。
5감천궁으로 돌아왔다.

有司言寶鼎出為元鼎,以今年為元封元年。

담당관리들이 아뢰기를보정이 나타났던 그해 연호를 元鼎이라고 하고금년을 元封 원년(기원전110)으로 하자고 하였다.

: 재앙. 진시황이 기원전 219년 태산에 올라 제사를 마치고 산을 내려오는데 갑자기 비바람이 몰아쳤었다. <사기 본기 권06. 진시황본기>

 

 

본기6. 秦始皇本紀1

본기6. 秦始皇本紀1 중국의 서쪽 일개 부락에서 발전하여 周나라 때 제후국의 하나였다가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진나라의 역사는 대부분 秦本紀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편에서는 그 중 진시황 이

koahn.tistory.com

庶幾 : 어쩌면. 혹시.

冀遇 : 만나기를 바라다.

: 과 같다. ~을 따라서.

: 지나다.

元鼎 : 한 무제의 다섯 번째 연호이다. 기원전116년부터 기원전111년까지 6년 동안 사용되었다. 무제는 기원전116년을 원년으로 연호를 元狩에서 元鼎으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원정이라는 연호는 기원전113(원정4)음력6월 토지신인 后土의 사당에서 寶鼎이 출토된 일에서 비롯되었다

元封 : 한 무제의 여섯 번째 연호이다.기원전110년부터 기원전105년까지6년 동안 사용되었다. 무제는 기원전110년을 원년으로 연호를 元鼎에서 元封으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원봉이라는 연호는 이 해에 무제가 泰山에서 封禪의식을 올린 것에서 비롯되었다.

 

其秋,有星茀于東井。
그해 가을혜성이 東井宿 구역에 출현하였다.

後十餘日,有星茀于三能。
10여 일 후 혜성이 三台구역에 출현하였다.

望氣王朔言:
「候獨見其星出如瓠,食頃復入焉。」
구름을 보고 점을 치는 王朔이 말하였다.
신이 관측하여 혼자 살펴봄에 그 혜성이 오이와 같은 모습으로 나타났는데잠깐사이에 다시 들어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有司言曰:

「陛下建漢家封禪,天其報德星雲。」
담당 관리가 아뢰었다.
폐하께서 한나라를 봉선하는 의식을 처음 거행하시니 하늘이 아마 보답으로 德星을 나타나게 한 것입니다.”

() : 혜성.

東井 : 星宿名. 東井宿. 井宿28수 중 남방 七宿의 하나로 治水를 관장하고, 법령을 주관한다. 왕이 된 자가 법을 적용함이 공평하면 井星이 밝고 단정하게 벌려 있다.

三能 : 三台. 삼태성. 와 통한다. 여섯 개의 별로 서쪽의 文昌星에 가까운 두 별을 上台星이라 하며 사람의 수명을 주관하고, 다음 두 별을 中台星이라 하며 宗室을 주관하고, 동쪽의 두 별을 下台星이라 하며 전쟁을 주관하여 덕이 있는 자를 표창하여 밝혀주고 왕명을 어기는 자를 정벌하여 막는다.

望氣 : 옛날 方士들이 구름을 보고 길흉을 점치던 방술이다.

: 관측하다.

: 오이.

食傾 : 잠시. 잠깐동안.

: 혹시. 아마.

德星 : 祥瑞의 징조로 나타나는 별. 木星을 말하기도 함.

 

 

其來年冬,郊雍五帝,還,拜祝祠泰一。
그 이듬해 겨울옹현에서 오제에게 郊祀를 올리고 돌아와 태일신에게 제사를 올리고 축원하였다.

贊饗曰:
「德星昭衍,厥維休祥。
壽星仍出,淵耀光明。
信星昭見,皇帝敬拜泰祝之饗。」
그 축사는 다음과 같다.
덕성이 찬란하게 빛났으니 그것은 아주 상서로운 일입니다.
壽星도 따라 나타나 빛을 널리 비추었습니다.
信星도 밝게 출현하였으니황제가 泰祝이 차려놓은 제사에서 신령에게 공경하게 절을 올리나이다.”

贊饗 : 제사지낼 때 신에게 축사를 바치고 음식을 권하다.

昭衍 : 빛을 환하게 밝히다.

: .

休祥 : 吉祥.

壽星 : 인간의 壽命을 관장하는 별. 老人星이라고도 한다.

: 따르다.

淵耀 : 널리 비추다.

信星 : 土星.

太祝 : 제사를 관장하며 기도를 하는 관리.

 

 

其春,公孫卿言見神人東萊山,若云「見天子」。
그해 봄공손경이 말하기를 동래산에서 신선을 만났는데마치 천자를 뵙고 싶다.”라고 말하였다고 하였다.

天子於是幸緱氏城,拜卿為中大夫。
천자는 이에 구지성으로 행차하고 공손경을 中大夫로 임명하였다.

遂至東萊,宿留之數日,毋所見,見大人跡。
이윽고 동래산에 이르러 며칠을 머물렀는데 아무것도 보지 못하고 단지 거인의 발자국만 보았다.

復遣方士求神怪采芝藥以千數。

다시 방사를 보내어 신기하고 기이한 것을 찾고 靈芝 선약을 캐어 오도록 하였는데 그 수가 천여 명에 달하였다.

見天子 : 봉선서에는 欲見天子로 기록되어 있다.

: 영지버섯. 먹으면 장생불사한다는 자주색의 靈芝.

 

 

是歲旱。
이해에 가뭄이 들었다.

於是天子既出毋名,乃禱萬里沙,過祠泰山。

천자가 출행할 명분이 없어서萬里沙에서 기도하고 지나오는 길에 태산에 제사를 올렸다.

還至瓠子,自臨塞決河,留二日,沈祠而去。
돌아오는 길에 瓠子에 이르러 몸소 황하가 터진 곳에 왕림하여 이틀을 머무르면서祭物을 황하에 던져 제사를 지내고 떠났다.

使二卿將卒塞決河,河徙二渠,復禹之故跡焉。

두 명의 상경에게 병졸을 거느리고 황하의 터진 둑을 막게 하고황하를 두 길로 흐르게 해서우임금 시대의 옛 자취를 회복시켰다.

萬里沙: 의 사당. 東萊 曲城縣에 있는데 백사장의 길이 300여 리이다.

沈祠 : 고대 水神에게 드리는 제사. 祭物인 백마를 강에 던져 넣었다.

二渠 : 河東渠龍首渠. “임금은 두 溝渠를 나누어서 황하를 인도하였다.” <史記 29. 河渠書

 

 

是時既滅南越,越人勇之乃言
「越人俗信鬼,而其祠皆見鬼,數有效。
昔東甌王敬鬼,壽至百六十歲。
後世謾怠,故衰秏」。
이 무렵 남월을 멸망시켰는데남월 사람 勇之가 아뢰었다.
월나라 사람은 귀신을 믿는 풍습이 있기에 제사 때마다 귀신을 볼 수 있고 효험도 자주 있습니다.
옛날 東甌王은 귀신을 공경하여 160살까지 살았습니다.
후세에 귀신에게 태만하였기 때문에 쇠약해진 것입니다.”

乃令越巫立越祝祠,安臺無壇,亦祠天神上帝百鬼,而以雞卜。
이에 남월 무당에게 祭臺는 세우나 제단은 없는 남월의 사당을 세우게 하여천신과 상제를 비롯하여 여러 귀신에게 제사를 올리게 했는데닭의 뼈로 점쳤다.

上信之,越祠雞卜始用焉。
천자가 이를 믿었기 때문에 남월 사당과 닭뼈 점이 쓰이기 시작하였다.

勇之 : 나라의 무당.

東甌王 : 나라의 東海王 搖. 越王 句踐의 후손으로 성은 騶氏이다.

한 혜제 때 가 한나라에 공로가 많고, 월나라 백성이 요를 따르므로 요를 동해왕으로 봉하고 東甌를 도성으로 정하게 하였다. 세속에서는 그를 東甌王이라고 일컬었다.<사기 권114. 동월열전>

謾怠 : 귀신에게 태만하다.

衰秏 : 쇠약하다. 쇠미하다.

以雞卜 : 월나라의 풍속은 닭을 사용하여 점을 친다. <史記正義>닭으로 점치는 방법은 닭 한 마리와 개 한 마리를 사용하는데, 산 채로 축원을 마친 다음 즉시 닭과 개를 잡아서 삶아 또다시 제사하고, 제물 중에 오직 닭의 두 눈 주위의 뼈만 채취한다. 이때 뼈 위에 저절로 구멍이 생기는데, 찢어진 것이 사람과 물건의 형태와 비슷하면 길하고, 찢어진 것이 부족하면 흉하다.” 하였다.

: 채용하다.

 

 

公孫卿曰:
「僊人可見,而上往常遽,以故不見。
今陛下可為觀,如緱氏城,置脯棗, 神人宜可致。
且僊人好樓居。」
공손경이 말하였다.
신선을 보실 수 있으나 폐하께서 너무 분주하게 왕래하기 때문에 볼 수 없었습니다.
지금 폐하께서 道觀을 건립하시고 구지성처럼 말린 고기와 대추 등을 차려놓으시면 신선이 마땅히 나타날 터입니다.
또 신선들은 누대에 거처하기를 좋아합니다.”

於是上令長安則作蜚廉桂觀, 甘泉則作益延壽觀,使卿持節設具而候神人, 乃作通天臺,置祠具其下,將招來神僊之屬。
이에 천자는 장안에 蜚廉觀과 桂觀을 짓도록 하고감천궁에 益延壽觀을 짓게 하고공손경에게 부절을 지니고 제사 도구를 갖추고 신인을 기다리게 했으며또한 通天臺를 지어놓고 그 아래에 제사 도구를 갖추고 신선들을 불러오게 하였다.

於是甘泉更置前殿,始廣諸宮室。

이어 감천궁에 前殿을 고쳐 짓고 궁실을 넓히기 시작하였다.

公孫卿 : 제나라 출신 方士.

: 분주히.

: 누각. 道觀

蜚廉 : 蜚廉神鳥로 바람과 구름을 불러올 수 있다 하며, 몸은 사슴과 같고 머리는 참새와 같고 뿔이 있으며, 뱀의 꼬리이고 문채는 표범 무늬와 같다 한다. 무제가 구리로 蜚廉의 상을 주조해서 누각의 위에 두고 蜚廉觀이라고 이름하였다.

桂觀 : 蜚廉觀桂觀은 모두 장안성 안에 있었으며 北宮과 가까웠다.

通天臺 : 甘泉宮에 있었으며 높이가 백여 이어서 마치 하늘에 닿을 듯하였으므로, 이름을 通天이라 한 것이다. 위에 承露盤仙人掌이 있는데, 옥잔을 받들어 구름 위에 있는 이슬을 받게 하였다.

益延壽觀 : 누각명.

: 넓히다.

 

 

夏,有芝生殿防內中。
여름감천궁의 방 안에서 영지가 자라났다.

天子為塞河,興通天臺,若有光雲, 乃下詔曰:

「甘泉防生芝九莖,赦天下,毋有復作。」
천자가 황하의 터진 둑을 막고 통천대를 세우고 하늘에서 상서로운 빛 같은 것이 나타나자 이에 조서를 내렸다.
감천궁의 방에서 영지 아홉 줄기가 자라났으니 천하에 사면령을 내리고 재범자를 노역시키는 형벌을 면제하도록 하라.”

: <봉선서>에는 으로 되어 있다.

芝九莖(지구경) : 지초(芝草)가 감천궁(甘泉宮)의 재계하는 방에서 나왔는데,아홉 줄기의 잎이 이어져 있었다.

復作 : 노역하는 죄수를 풀어줌을 말한다.

詔令으로 사면령을 내려서 항쇄와 죄수복을 제거하였다가 다시 죄를 범하면 徒刑을 시키되, 평민과 똑같이 할 수 없으므로 다시 관청에서 노역을 시켜 그 본죄의 연월일을 채우게 하였으니, 법률에서 이것을 이름하여 復作이라 하였다.

 

 

其明年,伐朝鮮。
그 이듬해(기원전108), 朝鮮을 정벌하였다.

夏,旱。
여름에 가뭄이 들었다.


公孫卿曰:
「黃帝時封則天旱,乾封三年。」
공손경이 아뢰었다.
황제 때는 封禮를 거행하면 날씨가 가물어서 제단의 봉토를 3년 동안 마르게 했습니다.”


上乃下詔曰:「天旱,意乾封乎?
其令天下尊祠靈星焉。」
무제가 곧 조서를 내렸다.
날이 가문 것은 짐작컨대 봉토한 흙을 말리려는 것 아닌가?
천하에 명하니 靈星을 받들어 기우제를 올려라.”

伐朝鮮 : 원봉 3(기원전108) 장군 楊僕荀彘를 보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朝鮮을 정벌하게 하였다. <사기열전 권115. 朝鮮列傳>

乾封三年 : 3년 동안 비가 오지 않아 제단의 봉토가 마르다.

靈星) : 농사를 관장하는 별.

 

 

其明年,上郊雍,通回中道,巡之。
그 이듬해천자가 옹현에서 郊祀를 지내고 回中의 도로를 통해 순시하였다.

春,至鳴澤,從西河歸。
봄에 鳴澤에 이르렀고西河에서 장안으로 돌아왔다.

 

 

其明年冬,上巡南郡,至江陵而東。
그 이듬해 겨울천자가 南郡으로 순시하여 江陵에 이른 다음 동쪽으로 갔다.

登禮潛之天柱山,號曰南嶽。
潛縣의 天柱山에 올라 제사지내고 그 산을 南嶽이라 불렀다.

浮江,自尋陽出樅陽,過彭蠡,祀其名山川。
장강에 배를 띄워 尋陽에서 樅陽으로 가는 도중에 彭蠡를 지나면서 명산대천에 제사를 올렸다.

北至瑯邪,并海上。

북쪽으로 琅邪에 이르러 바다를 따라 올라갔다.

四月中,至奉高修封焉。
4월 중순에 奉高에 이르러 封禪을 거행하였다.

登禮 : 산에 올라 제사를 지내다.

浮江長江 위에 배를 띄우다.

 

 

初,天子封泰山,泰山東北阯古時有明堂處, 處險不敞。
당초 천자가 태산에서 봉선을 거행할 때 태산 동북쪽 산기슭에 옛날의 明堂터가 있었는데옛터의 지세가 험준하고 좁았다.

上欲治明堂奉高旁,未曉其制度。

천자가 봉고 주변에 명당을 짓고자 했으나 그 구조나 크기를 잘 몰랐다.

濟南人公玊帶上黃帝時明堂圖。
濟南사람 公玉帶가 황제 때 명당의 도면을 바쳤다.

明堂圖中有一殿,四面無壁,以茅蓋, 通水,圜宮垣為複道,上有樓,從西南入, 命曰昆侖, 天子從之入,以拜祠上帝焉。

명당의 도면에는 殿堂이 하나 있었으며사방에 벽이 없고 띠풀로 지붕을 덮었으며전당 주변에 물을 통하게 하였고궁의 담장을 둘러싸고 구름다리를 만들었으며전당의 위로는 누각이 있었는데 서남쪽을 향해 전당으로 들어갈 수 있었으며 이 길을 昆侖이라고 불렀는데천자는 이 길을 따라 전당에 들어가서 상제에게 제사를 지내게 되어 있었다.

明堂 : 天子가 하늘의 명을 받아 백성을 다스린다는 중국 고대의 정통적 정치사상을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를 담은 건물. 朝會,祭祀,慶賞,選士,敎學 등 중요 의식이 행해졌다.

: 건축물의 형상과 구조.

: 척도.

公玊帶 : 人名. 公玉複姓이고 는 이름이다.

四面無壁以茅蓋 : 明堂圖 가운데 한 궁전이 있는데, 사면에 벽이 없음은 통달함을 취한 것이고, 띠풀로 지붕을 덮음은 정결함을 취한 것이다.

通水 : 도랑을 만들어 물을 통하게 해서 궁의 담장을 둘러쌌다.

: 둘러싸다.

復道 : 天橋를 말한다. 이층 구름다리

 

 

於是上令奉高作明堂汶上,如帶圖。
이에 천자는 奉高의 汶水 가에 명당을 공옥대의 도면과 똑같이 지으라고 명하였다.

及五年修封,則祠泰一、五帝於明堂上坐, 令高皇帝祠坐對之。
5년 후 봉선을 거행하고 태일신과 오제를 명당의 상좌에 앉히고 제사를 올렸으며高皇帝의 신주와 마주보게 하였다.

祠后土於下房,以二十太牢。

아랫방에서는 후토신에게 제사를 올렸으며 犧牲을 각 20마리로 하였다.

天子從昆侖道入,始拜明堂如郊禮。
천자는 昆侖道를 따라 들어가 처음으로 郊祀의 예법과 같이 명당에서 제사를 올렸다.

禮畢,燎堂下。

제사가 끝나자 당 아래에서 燎祭를 지냈다.

上坐 : 존귀한 자리. 윗자리. 와 같다.

祠坐 : 신주의 위패.

太牢 : 太牢의 음식. 三牲을 모두 사용한 요리. 또는 중에서 쇠고기를 사용한 요리를 지칭하기도 한다.

: 나무섶 위에 犧牲을 올려놓고 불태워 하늘에 제사지내다

 

 

而上又上泰山,有祕祠其顛。
또 천자는 태산에 올라 태산의 정상에서 비밀리에 제사를 올렸다.

而泰山下祠五帝,各如其方, 黃帝并赤帝,而有司侍祠焉。
태산 아래에서 오제에게 제사를 올렸는데각각 방위에 따라 제사를 지냈는데 黃帝와 赤帝를 나란히 두고 담당 관리들이 제사를 올렸다.

泰山上舉火,下悉應之。

태산 위에서 횃불을 들면 산 아래에서도 모두 그에 호응하여 횃불을 들었다.

黃帝 : 황제 黃帝 軒轅氏.

중국 신화의 帝王으로 三皇에 이어 중국을 다스린 五帝의 첫 번째 왕이다.

五帝 : 하늘에서 동북의 五方을 주재하는 .

동쪽에 蒼帝, 남쪽에 赤帝, 중앙에 黃帝, 서쪽에 白帝, 북쪽에 黑帝를 말한다.

 

 

其後二歲,十一月甲子朔旦冬至, 推歷者以本統。
그로부터 2년 뒤 11월 갑자일 초하룻날 아침은 동지였는데역법을 추산하는 자가 이 날을 한 해의 시작으로 삼는 것이 정통한 방법이라 하였다.

天子親至泰山,以十一月甲子朔旦冬至日祠上帝明堂,每修封禪。

천자가 친히 태산에 이르러 11월 갑자일 초하룻날 동지일에 명당에서 상제에게 제사를 올렸으며봉선은 행하지 않았다.

其贊饗曰
天增授皇帝泰元神筴,周而復始。
皇帝敬拜泰一。」
그 축문은 다음과 같았다.
하늘이 皇帝에게 하늘의 역법을 내려주시니 주기가 다시 시작하는 것입니다.
皇帝는 태일신께 경건하게 제사를 올립니다.”

東至海上,考入海及方士求神者, 莫驗,然益遣,冀遇之。
천자가 동쪽으로 바닷가에 이르러 바다로 나간 이들이나 신선을 찾으려는 방사들을 살펴보았는데어떠한 효험도 얻지 못했지만 사람을 더 많이 내보내 신선을 만나길 바랐다.

推歷 : 역법을 추산하다.

以本統 : 夏曆 11월 초하룻날 동지를 역법으로 추산하여 기점으로 삼는 것이 정통한 방법이다. 한나라는 진나라 때부터 이어진 顓頊曆을 사용해서, 음력10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고 있었다.

: <봉선서>에는 로 기록되어 있다. 봉선은 5년에 한 번 거행하기로 하였기 때문에 2년이 지났으므로 봉선을 행하지 않은 것이다.

贊饗 : 제사지낼 때 신에게 축사를 바치고 음식을 권하다.

泰元 : 하늘의 별칭.

: 고대에 蓍草로 점을 치는 것. 점대. 역법을 말한다.

冀遇 : 만나기를 바라다.

 

 

十一月乙酉,柏梁災。
11월 을유일柏梁臺에 화재가 발생하였다.

十二月甲午朔,上親禪高里,祠后土。

12월 갑오 초하룻날천자가 몸소 高里山에서 후토신에게 제사를 올렸다.

臨渤海,將以望祠蓬萊之屬,冀至殊庭焉。
渤海 연안에 도착해 봉래와 같은 仙山에 望祠를 지내고 신선이 사는 곳에 이를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柏梁 : 柏梁臺. 장안성 북쪽 대궐 안에 있었다. 향기로운 측백나무를 사용하여 궁전의 들보를 만들어 향기가 10리 안에 풍겼다.

高里 : 산 이름으로 泰山 아래에 있다.

望祀 : 望祭. 고대 제사명으로 멀리서 산천을 바라보면서 산천의 신에게 지내는 제사.

殊庭 : 신선이 사는 곳. 異域.

 

 

上還,以柏梁災故,朝受計甘泉。
천자가 장안으로 돌아왔고백량대의 화재 때문에 감천궁에서 조회하면서 보고를 받았다.

公孫卿曰:
「黃帝就青靈臺,十二日燒,黃帝乃治明庭。
明庭,甘泉也。」
공손경이 말하였다.
黃帝는 靑靈臺를 지으신 후 12일 만에 불에 타자 곧 明庭을 지으셨습니다.
명정이란 곧 甘泉입니다.”

方士多言古帝王有都甘泉者。

방사들도 고대의 제왕 가운데 감천에 도읍한 사람이 많다고 말하였다.

其後天子又朝諸侯甘泉,甘泉作諸侯邸。

그 뒤 천자는 또 감천궁에서 제후들의 조회를 받았고감천에 제후들의 저택을 지었다.

: 각 제후국에서 올리는 보고서.

: 완성하다.

 

 

勇之乃曰:
「越俗有火災,復起屋必以大,用勝服之。」
이에 勇之가 아뢰었다.
나라의 풍속에 따르면 화재 후 집을 다시 지을 때는 반드시 더 크게 지어서 재앙의 기운을 복속시킵니다.”

於是作建章宮,度為千門萬戶。

이에 建章宮을 지었는데천 개의 큰 문과 만 개의 작은 문의 규모였다.

前殿度高未央,其東則鳳闕,高二十餘丈。

前殿의 규모는 未央宮보다 높았으며그 동쪽은 鳳闕로 높이가 20여 장이었다.

其西則唐中,數十里虎圈。
그 서쪽은 唐中苑으로 수십 리나 되는 호랑이 우리가 있었다.

勝服 : 극복하다.

: 규모.

: 반쪽 문.

未央 : 미앙궁.

鳳闕 : 궁궐명. 지붕 위에 구리로 만든 봉황이 있으므로 鳳闕이라 이름하였다.

唐中 : 唐中苑. 궁중의 정원 이름.

虎圈 : 호랑이 우리.

 

 

其北治大池,漸臺高二十餘丈,名曰泰液池, 中有蓬萊、方丈、瀛洲、壺梁,象海中神山龜魚之屬。
그 북쪽에는 큰 연못을 만들었는데연못 가운데 높이 20여 의 漸臺가 있으니 이름을 泰液池라고 하였고연못 가운데 蓬萊·方丈·瀛洲·壺梁이라는 바다의 神山과 거북물고기 등의 형상을 배치해 놓았다.

其南有玉堂、璧門、大鳥之屬。

그 남쪽에는 玉堂·璧門·大鳥 등의 조각상이 있었다.

乃立神明臺、井幹樓,度五十餘丈, 輦道相屬焉。

또한 神明臺와 井幹樓를 세웠는데 높이가 50여 장의 규모였으며천자의 수레가 다닐 수 있는 길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漸臺 : 누대 이름. 가 못 가운데 있어서 물속에 잠겼으므로 漸臺라 이름하였다.

泰液池 : 음양의 진액을 받아 못을 만들었음을 말한 것이다. 일설에 진액이 적셔주어 미치는 바가 넓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玉堂 : 궁명. 玉堂의 터가 未央宮의 앞 전각과 같아서 땅에서 12쯤 떨어져 있다.

璧門 : 궁문명. 璧玉을 붙였으므로 인하여 璧門이라 이름하였다.

神明臺 : 위에 아홉 개의 방이 있어서 항상 九天道士 100명을 거처하게 하였다.

井幹樓 : 나무를 쌓아 높게 를 만들어서 井幹의 모습과 같게 하였다. 정간은 우물 위의 나무 난간으로 그 형태가 혹은 4각이고 혹은 8각이다.

輦道 : 천자의 수레가 왕복할 수 있는 궁중 내의 길.

 

 

夏,漢改歷,以正月為歲首,而色上黃, 官名更印章以五字。
여름한나라는 역법을 개정하여 정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삼았으며 색은 황색을 숭상하고 관명의 도장은 다섯 글자로 바꾸었다.

因為太初元年。
그런 까닭에 이해를 太初 원년으로 정하였다.

是歲,西伐大宛。
이해에 서쪽의 大宛을 정벌하였다.

蝗大起。
메뚜기 떼가 기승을 부렸다.

丁夫人、雒陽虞初等以方祠詛匈奴、大宛焉。

丁夫人과 낙양 사람 虞初 등이 방술로 匈奴와 대완을 저주하는 제사를 올렸다.

以正月為歲首 : 한나라는 진나라 때부터 이어진 顓頊曆을 사용해서, 음력10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고 있었으나 새로 개정된 太初曆에서는 夏曆과 마찬가지로 음력 1월을 한 해가 시작하는 달로 보았다.

太初 : 무제의 일곱 번째 연호(기원전104~101). 무제는 기원전104년을 원년으로 연호를 元封에서太初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태초 연간인 기원전104(태초1) 음력5월 무제는 曆法체계를 바꾸었다.

更印章以五字 : 官印5글자로 바꾸다. 한나라는 土德의 시대로 인식하여 색깔은 황색을 숭상하고 의 수인 5를 사용하였다.

: 그러므로, 그런 까닭에.

: 정하다.

: 저주하다.

 

 

其明年,有司言雍五畤無牢熟具,芬芳不備。
이듬해(기원전103), 제사를 담당하는 관리들이 옹현의 五畤의 제사에는 익힌 제사용 가축의 음식과 향기 나는 제물을 올리지 않았다고 아뢰었다.

乃命祠官進畤犢牢具,五色食所勝, 而以木禺馬代駒焉。
이에 무제는 사관에게 명하여 오치에 삶은 송아지를 희생으로 바치게 하고제물의 색깔은 오행의 상생 원리에 따라 배치하고제사용 망아지는 나무로 만든 말로 대체하라고 하였다.

獨五帝用駒,行親郊用駒。

오직 오제의 제사와 친히 행차하여 교사를 올릴 때는 망아지를 사용하였다.

及諸名山川用駒者,悉以木禺馬代。
또한 천자는 모든 명산대천의 제사 때 사용하던 망아지는 모두 나무로 만든 말로 대체하게 하였다.

行過,乃用駒。

천자가 순행했던 곳의 제사에는 비로소 망아지를 사용하게 하였다.

他禮如故。

다른 의례는 옛날과 같았다.

五畤 : 五帝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

牢熟具 : 익힌 犧牲祭物. 는 제사용 가축. 희생은 제사용으로 사용되는 가축.

: 음식. 祭物을 말한다.

芬芳 : 향기. 祭物의 향기.

五色食所勝 : 제사용 가축의 색을 오행 상생의 원리에 따라 배치하다.

木禺 : 나무 인형. 와 통용된다.

 

 

其明年,東巡海上,考神僊之屬,未有驗者。
이듬해천자가 동쪽 바닷가를 순시하며 신선 등에 관한 일을 살펴보았으나 효험을 본 자가 없었다.

方士有言
「黃帝時為五城十二樓,以候神人於執期, 命曰迎年」。

어떤 방사가 아뢰었다.
黃帝때에 5개의 과 12개의 樓臺를 짓고執期 땅에서 신선을 기다렸으므로 그 누대 이름을 迎年이라 했습니다.”

上許作之如方,名曰明年。

천자는 그가 말한 대로 누대를 짓도록 하고 누대 이름을 明年이라고 하였다.

上親禮祠上帝,衣上黃焉。
천자가 친히 그곳에 가서 상제에게 제사의 예를 올렸는데 예복은 황색을 입었다.

執期 : 地名.

迎年 : 누대명. 새해를 맞이하다. 풍년을 기원하다.

明年 : 누대명.

 

 

公玊帶曰:
「黃帝時雖封泰山,然風后、封鉅、岐伯令黃帝封東泰山,禪凡山合符, 然後不死焉。」
公玊帶가 아뢰었다.
黃帝때는 비록 태산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냈으나 風后,封鉅,岐伯 등이 황제에게 東泰山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凡山에서 지신에게 제사 지낼 것을 권했는데상서로운 징조가 서로 합치된 연후에 불로장생할 수 있었습니다.”

天子既令設祠具,至東泰山,東泰山卑小,不稱其聲,乃令祠官禮之,而不封禪焉。

천자는 제사 준비를 갖추라는 명을 내리고동태산에 왔으나 동태산은 너무 왜소하여 그 명성에 걸맞지 않으므로 사관에게 제사를 지내라고 명하고그곳에서 봉선은 행하지 않았다.

公玊帶 : 人名. 公玉複姓이고 는 이름이다. 濟南사람으로 黃帝때의 명당의 도면을 무제에게 바쳤었다.

風后 : 黃帝때의 신하.

封鉅 : 黃帝의 스승.

岐伯 : 黃帝太醫.

凡山 : 朱虛縣에 있다.

合符 : 상서로운 징조가 서로 합치되다.

卑小 : 왜소하다.

 

 

其後令帶奉祠候神物。
그 후 공옥대에게 명하여 그곳에서 제사를 지내며 신령을 기다리게 하였다.

夏,遂還泰山,修五年之禮如前, 而加禪祠石閭。

여름에 천자는 태산으로 돌아와, 5년에 한 번씩 행하는 봉선을 이전처럼 행하고별도로 石閭山에서 지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石閭者,在泰山下阯南方,方士多言此僊人之閭也,故上親禪焉。
석려산은 태산 남쪽 기슭에 있었는데방사 대부분이 그곳이 신선이 사는 곳이라고 말하였기 때문에천자는 친히 그곳에 가서 지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僊人之閭 : 신선들이 거주하는 곳.

 

 

其後五年,復至泰山修封,還過祭常山。
5년이 지난 후다시 태산에 가서 봉선을 거행하고돌아가는 길에 常山에서 제사를 지냈다.

 

今天子所興祠,泰一、后土, 三年親郊祠,建漢家封禪,五年一修封。
지금의 천자가 건립한 사당에는 泰一과 后土가 있으며매 3년마다 한 차례씩 천자가 친히 郊祀를 지내고한나라에서 시작한 봉선의 제도는 5년에 한 차례씩 거행하였다.

薄忌泰一及三一、冥羊、馬行、赤星,五, 寬舒之祠官以歲時致禮。

박유기의 제의로 건립된 太一및 三一,冥羊,馬行,赤星 등의 다섯 사당은 사관 寬舒등이 주관해 매년 때에 맞추어 제사를 지냈다.

凡六祠,皆太祝領之。

후토를 포함한 이상의 여섯 제사는 모두 太祝이 주관하였다.

至如八神諸神,明年、凡山他名祠, 行過則祀,去則已。
그밖에 八神 등의 신들과 明年凡山 등 다른 이름의 제사는 천자가 행차할 때 제사 지내고 그냥 지나치면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薄忌: 薄誘忌가 태일신의 사당을 짓도록 상주하였었다. 자치통감에는 지방사람 謬忌로 되어있다.

泰一 : 전설에서의 하늘 최고의 신. 太乙神또는 太一神이라고도 한다.

三一,冥羊.馬行,赤星 : 사당의 이름.

寬舒 : 黃錘縣佐吏.

八神 : 八方之神. 天主地主兵主陰主陽主,月主日主四時主등 여덟 신을 말한다.

 

 

方士所興祠,各自主,其人終則已,祠官弗主。
방사들이 건립한 사당은 각자가 주관했고,그 사람이 죽으면 제사를 끝내고 사관은 주관하지 않았다.

他祠皆如其故。

그 밖의 제사는 모두 이전의 관습에 따랐다.

今上封禪,其後十二歲而還,於五岳、四瀆矣。

지금의 천자가 봉선을 시작한 후부터 12년 동안을 되돌아보면 五嶽·四瀆을 일주하며 제사 지냈다.

而方士之候祠神人,入海求蓬萊,終無有驗。
방사들은 신선에게 제사 지낸 뒤 봉래산을 찾으러 바다로 갔으나 결국 아무런 효험이 없었다.

 

 

而公孫卿之候神者,猶以大人跡為解,無其效。
공손경과 같이 신선을 기다린 방사는 그래도 거인의 발자국을 본 것으로 변명했지만 효험이 없었다.

天子益怠厭方士之怪迂語矣, 然終羈縻弗絕,冀遇其真。

천자는 갈수록 방사들의 황당한 말이 심해지자 싫증과 권태를 느꼈으나그들의 농락이 끊이지 않으므로진정한 방술을 지닌 신선을 만나기를 고대하였다.

自此之後,方士言祠神者彌眾,然其效可睹矣。

그 후로도 방사들 중에 신선과 제사에 대해 말하는 자가 더욱 많아졌으나그 효험이 어떠할지 눈에 보이는 듯하였다.

羈縻 : 농락하다.속박하다.

: 더욱.

: 보다. 분간하다.

 

 

太史公曰:
태사공은 말한다.

余從巡祭天地諸神名山川而封禪焉。
나는 황제를 따라 순행하면서 천지의 여러 신과 명산대천에 제사 지내고 봉선에도 참여했었다.

入壽宮侍祠神語,究觀方士祠官之言, 於是退而論次自古以來用事於鬼神者, 具見其表裏。
壽宮에 들어가서 제사에 참여해 신에게 올리는 축문도 들었으며방사와 사관들의 말을 관찰하며 연구하였고물러나서 옛날부터 귀신 섬겼던 일을 차례대로 논술하였으며제사에 관한 형식과 내용을 모두 밝혀 두었다.

後有君子,得以覽焉。
후세의 군자가 살펴보면 그 정황을 훤히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至若俎豆珪幣之詳,獻酬之禮,則有司存焉。
祭器인 俎豆제사용 옥그릇과 비단에 관한 상세한 내용과 獻酬의 제례의식은 담당 관리들이 보존하고 있다.”

論次 : 차례대로 논하다. 차례대로 엮다.

至若 : ~에 관해서는.

俎豆 : 제사용 희생을 담는 祭器.

珪幣 : 고대 제왕이나 제후가 조회나 제사를 거행할 때 사용하는 제사용 옥그릇과 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