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고등학교 국어교과서-1975년 본문
1975년부터 사용한 다음 국어 교과서의 차례를 올립니다.
국어 1 (1975년 발행 문교부)
국어 2 ( 〃 )
국어 3 ( 〃 )
인문계고등학교 국어 1
아름다운 청춘
1. 3월의 고향
박두진, 3월 1일의 하늘
이은상, 고지가 바로 저긴데
이수복, 봄비
2. 국어 교육의 목표 (이응백)
3. 청춘 예찬 (민태원)
4. 금당 벽화 (정한숙)
국어의 이해 (1)
5. 대가를 기다리며 (최현배)
6. 국어의 개념 (이희승)
7. 언어와 사회 (이숭녕)
반성과 감사
8. 글을 쓴다는 것 (김태길)
9. 신록 예찬 (이양하)
10. 깨어진 그릇 (이항녕)
깨어진 그릇 - 이항녕
광복(光復)전에,나는 경남(慶南)에서 군수(郡守)노릇을 한 일이 있다.광복이 되자 나는 그것이 부끄러워 견딜 수가 없었다.그래서 다소나마 속죄(贖罪)가 될까 하여 교육계(敎育界)에 투신(投身)
koahn.tistory.com
11. 감사 (임옥인)
12. 한 눈 없는 어머니 (이은상)
한 눈 없는 어머니/이은상
김 군에게 김 군이 다녀간 어젯밤에 나는 잠을 이루지 못했소. 김 군에게 보내는 이 편지는 쓰고 싶으면서도 실상은 쓰고 싶지 않은 글이오. 왜냐 하면 너무도 어리석을 일을 적어야 하기 때
koahn.tistory.com
13. 꽃넋의 노래
이병기, 난초
이호우, 개화
김해강, 가던 길 멈추고
가던 길 멈추고-김해강
골짝을 예는 바람결처럼 세월은 덧없이 가신 지 이미 천 년. 한(恨)은 길건만 인생은 짧아 큰 슬픔도 지내다니 한 줌 흙이러뇨. 잎 지고 비 뿌리는 저녁 마음 없는 산새의 울음만 가슴 아파
koahn.tistory.com
조종현, 나도 푯말이 되어 살고 싶다
14. 문학 축전에 붙임 (곽종원)
15. 청춘은 조국과 더불어 (유치진)
고전의 세계
16. 고시조
이조년, 이화에 월백하고 ~
최 영, 녹이 상제 살지게 먹여 ~
정몽주, 이 몸이 죽고 죽어 ~
원천석, 흥망이 유수하니 ~
길 재, 오백 년 도읍지를 ~
성삼문, 수양산 바라보며 ~
월산대군, 추강에 밤이 드니 ~
서경덕, 마음이 어린 후ㅣ니 ~
조 식, 삼동에 베옷 닙고 ~
한 호, 짚 방석 내지 마라 ~
황진이, 청산리 벽계수ㅣ야 ~
이항복, 철령 높은 봉에 ~
실명씨, 창 밖이 어른어른ㅎ거늘 ~
17. 동명일기 (연안 김씨)
18. 토끼 화상 (별주부전)
19. 시문 수제
주문공, 주문공의 권학문
24.명심보감 권학편(勸學篇)
24.명심보감 권학편(勸學篇) 朱文公勸學文 朱子曰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日月逝矣나 歲不我延 嗚呼老矣라 是誰之愆 주자가 말하였다. “오늘 배우지 않고 내일이 있다고
koahn.tistory.com
이 백, 자야오가
子夜吳歌(자야오가) - 李白(이백)
長安一片月 萬戶擣衣聲(장안일편월 만호도의성) . 秋風吹不盡 總是玉關情(추풍취부진 총시옥관정) . 何日平胡虜 良人罷遠征(하일평호로 양인파원정) . 장안 한 조각 달, 집집마다 다듬이질 소리
koahn.tistory.com
유종원, 강에는 눈만 내리고
두 목, 가을 산길
선인들의 지혜
20. 세시 풍속의 의미 (이두현)
21. 우리 민족의 풍습 (임동권)
22. 백자 2제 (김상옥)
학이 받쳐 든 술잔
알같이 생긴 연적
23. 선인들의 공예 (유홍렬)
국문학의 발달 (1)
24. 국문학의 발달 (1) (조윤제)
25. 옛 노래의 모습
충담사, 찬기파랑가
최치원, 가을 밤에 비 내릴 때
秋夜雨中(추야우중) - 崔致遠(최치원)
秋風惟苦吟(추풍유고음) 世路少知吟(세로소지음) 窓外三更雨(창외삼경우) 燈前萬里心(등전만리심) 스산한 갈바람은 가슴 아픈 나의 노래 이 세상엔 내 마음 알아줄 이 없어라. 밤 깊은 창 밖엔
koahn.tistory.com
을지문덕, 우중문에게 주는 시
미 상, 청산별곡
여러 선비, 한림별곡
미 상, 사모곡
정지상, 임을 보내며
送人(송인) - 鄭知常(정지상)
雨歇長堤草色多 送君南浦動悲歌.(우헐장제초색다 송군남포동비가)大同江水何時盡 別淚年年添綠波.(대동강수하시진 별루년년첨록파)비 갠 긴 언덕에는 풀빛이 짙은데, 남포에서 님 보내며 슬
koahn.tistory.com
26. 호원 (일연)
27. 진삼국사표 (김부식)
進三國史表(진삼국사표)/金富軾(김부식)
進三國史表 ▶왕명을 받은 김부식은 1145년 《삼국사기》의 편찬을 완수하고 인종에게 표(表)를 올렸는데, 이 글은 《삼국사기》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고 《동문선》 권44에 수록되어 있다. ▶아
koahn.tistory.com
자연과 인생
28. 낙엽과 문학 (이무영)
29. 홍도의 자연 (최기철)
30. 어떻게 살 것인가 (송명현)
어떻게 살 것인가 - 송명현
"어떻게 살 것인가?" 이 물음은 실천의 문제다. 그러므로 말하는 사람 자신이 그의 말대로 실천 궁행하지 않는 한 천만 어를 나열한다 해도 대답이 되지 않을 것이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koahn.tistory.com
31. 나의 기쁨 (박경수)
고향의 음성
32. 한국 연해의 해황 (정문기)
33. 갑사로 가는 길 (이상보)
갑사로 가는 길
갑사(甲寺)의 유래 갑사(甲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입니다. 계룡갑사(鷄龍甲寺
koahn.tistory.com
34. 나의 고향 (전광용)
나의 고향- 전광용
나의 고향은 함경도 북청이다. 북청이란 지명이 사람들의 귀에 익게 된 것은 아마도 '북청 물장수' 때문인 것 같다.수도 시설이 아직 변변하지 않았던 8.15 전의 서울에는 물장수가 많았었다.그런
koahn.tistory.com
35. 겨울의 언어
정 훈, 동백
김광림, 산
장순하, 고무신
김종길, 설날 아침에
36. 질화로 (양주동)
언어와 사회
37. 언어의 차이 (박창해)
38. 말의 힘과 책임 (이규호)
39. 언어의 창조와 정리 (김민수)
40. 토론과 보고 (정태시)
인문계고등학교 국어 2
나의 소원
1. 나의 소원 (김구)
2. 논설 두 편 (신채호)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청년학우회 취지서
청년학우회취지서
상(上)으로 선민(先民)의 유서(遺緖)를 속(續)하여 기(其) 단(短)을 기(棄)하고 기(其) 장(長)을 보(保)하며 하(下)로 동포(同胞)의 선구(先驅)를 작(作)하여 기(其) 험(險)을 월(越)하고 기(其) 이(夷)
koahn.tistory.com
3. 조국 (유치진)
국어의 이해 (2)
4. 국어의 특질 (허웅)
5. 우리말의 어원 (남광우)
6. 우리말이 걸어온 길 (김형규)
사색의 제목들
7. 그리운 우리 임
이육사, 광야
한용운, 알 수 없어요
정인보, 어머니 (자모사)
김소월, 진달래꽃
유치환, 울릉도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8. 일관성에 대하여 (김광섭)
9. 가난한 날의 행복 (김소운)
10. 슬픔에 관하여 (유달영)
고전의 세계
11. 조침문 (유씨부인)
12. 물 (박지원)
13. 집 떠나는 홍길동 (허균)
14. 페이터의 산문 (이양하)
고향
15. 고향
박목월, 나그네
노천명, 사슴
김동명, 파초
이병기, 고향으로 돌아가자
김상옥, 사향
16. 조국 순례 대행진에 붙임
17. 탈고 안 될 전설 (유주현)
18. 새마을 운동에 관하여 (박형규)
면학의 서
19. 면학의 서 (양주동)
20. 독서와 인생 (이희승)
21. 등신불 (김동리)
국문학의 발달 (2)
22. 국문학의 발달(2) (조윤제)
23. 악장
정도전, 신도가
상진, 감군은
권근, 상대별곡
24. '용재총화'에서 (성현)
25. 상춘곡 (정극인)
賞春曲(상춘곡)-丁克仁(정극인)
賞春曲에 관하여 원문 및 현대어 해석 紅塵에 뭇친 분네 이 내 生涯 엇더ᄒᆞᆫ고녯사ᄅᆞᆷ 風流ᄅᆞᆯ 미ᄎᆞᆯ가 ᄆᆞᆺ 미ᄎᆞᆯ가 天地間 男子 몸이 날만ᄒᆞᆫ 이 하건마ᄂᆞᆫ 山林
koahn.tistory.com
26. 고시조
유응부, 간밤의 부던 람 ~
김 구, 올 댤은 다리 ~
이현보, 농암에 올아 보니 ~
송 순, 풍상이 섯거 친 날에 ~
주세붕, 지아비 받 갈나 간 ~
이 황, 고인도 말 몯 보고 ~
이 이, 칠곡은 어드고 ~
정 철, 재 너머 셩 권롱 집의 ~
황진이, 어져, 내 일이야 ~
신 흠, 산촌에 눈이 오니 ~
박인로, 심산의 밤이 드니 ~
윤선도, 어부사시사
김천택, 풍진에 얽이여 ~
김수장, 한식 비 날에 ~
박효관, 뉘라겨 가마귀를 ~
안민영, ‘매화사’에서
매화사(梅花詞)
梅花詞-安玟英 梅花詞(매화사)1) - 安玟英(안민영)余於庚午冬 與雲崖朴先生景華 吳先生岐汝 平壤妓順姬 全州妓香春 歌琴於山房. 先生癖於梅 手栽新筍 置諸案上 而方其時也 數朶半開 暗香
koahn.tistory.com
만추의 서정
27. 만추
서정주, 국화 옆에서
이희승, 벽공
조지훈, 승무
정한모, 가을에
이태극, 낙조
28. 나의 명절 (김붕구)
29. 산정 무한 (정비석)
산정무한(山情無限)-정비석(鄭飛石)
이틑날 아침, 고단한 마련 해선 일찌감치 눈이 떠진 것은 몸에 지닌 기쁨이 하도 컸던 탓이었을까? 안타깝게도 간밤에 볼 수 없던 영봉(靈峰)들을 대면(對面)하려고 새댁같이 수줍은 생각으로 밖
koahn.tistory.com
30.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안톤 시나크)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 안톤 쉬낙 울고 있는 아이의 모습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정원의 한 모퉁이에서 발견된 작은 새의 시체 위에 초가을의 따사로운 햇빛이 떨어져 있을 때 대체로 가
koahn.tistory.com
국토와 역사
31. 국토 예찬 (최남선)
32. 민족 문화의 전통과 계승 (이기백)
33. 마고자 (윤오영)
마고자 / 윤오영
나는 마고자를 입을 때마다 한국 여성(韓國女性)의 바느질 솜씨를 칭찬(稱讚)한다. 남자(男子)의 의복(衣服)에서 가장 사치스러운 호사(豪奢)가 마고자다. 바지, 저고리, 두루마기 같은 다른 옷
koahn.tistory.com
34. 향약과 계 (손인수)
문학 이야기
35. 문학의 구조 (이상섭)
36. 수필 (피천득)
37. 문예 사조에 관하여 (조연현)
인문계고등학교 국어 3
자기의 발견
1. 기미 독립 선언문
2. 순국선열 추념문 (정인보)
殉國先烈追念文(순국선열 추념문) -鄭寅普(정인보)
우리 國祖[국조] 荊棘[형극]을 開除[개진]하시고 政敎[정교]를 베푸신 뒤로 綿延[면연]함이 거의 五千年[오천년]에 미치는 그 동안 興廢[흥폐]의 故[고]가 어찌 한두 번이리요마는 실상은 한 族類[
koahn.tistory.com
3. 유비무환 (박형규)
동서남북
4. 세계의 시정
박남수, 아침 이미지
조병화, 의자
워어즈워드, 추수하는 아가씨
프로스트, 가지 않은 길
고티에, 비둘기 떼
릴케, 가을날
타고르, 바닷가에
지셴, 배
5. 랑드 황원을 지나며 (손우성)
6. 한국의 사상 (박종홍)
국어의 이해 (3)
7. 훈민정음
8. '용비어천가'에서
9. '두시 언해'에서
절구
강남봉이구년
춘야희우
월야억사제
등악양루
114.登岳陽樓〈등악양루〉-杜甫(두보)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登岳陽樓〈岳陽樓에 올라서〉-杜甫(두보) 昔聞洞庭水 今上岳陽樓.옛날에 洞庭水를 들었는데 이제서야 악양루에 오르네.吳楚東南坼 乾坤日夜浮.吳와 楚는 동남
koahn.tistory.com
등고
촉상
망악
빈교행
8行類-1貧交行(빈교행)
가난할 적의 사귐(貧交行)-두보(杜甫) ▶ 貧交行 : 가난할 적 사귐을 노래함. 〈杜少陵集》 권2에 실려 있다. 翻手作雲覆手雨, 紛紛輕薄何須數? 손 제치면 구름이 되고 손을 덮으면 비가 되는데,
koahn.tistory.com
10. '소학 언해'에서
11. 개화의 등급 (유길준)
인간과 문화
12. 인간과 문화 (이광규)
13. 한국의 미 (김원룡)
14. 유월의 시
윤동주, 참회록
정완영, 조국
김춘수,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문학과 극
15. 한국의 현대시 (문덕수)
16. 단편 소설의 특질 (최인욱)
17. 연극과 영화 (오영진)
고전의 세계
18. 정과정 (정서)
19. 관동별곡 (정철)
20. '춘향전'에서
21. 학문 (베이컨)
국문학의 발달 (3)
22. 국문학의 발달 (3) (조연현)
23. '님이 침묵'과 그 해설 (송욱)
24. 빈처 (현진건)
문학과 인생
25. 인연 (피천득)
26. 매화찬 (김진섭)
27. 별 (도데)
28. 문학과 인생 (최재서)
창조의 길
29. 성취인의 행동 특성 (정범모)
30. 경제 개발 전략의 기조 (태완선)
31. 창조적 지도력의 역할 (이한빈)
온고의 정
32. 고인과의 대화 (이병주)
고인(古人)과의 대화(對話)-이병주
고인(古人)과의 대화(對話)를 하며 생각에 잠긴다는 것은 참으로 즐거운 일이다. 그 문향(聞香)의 동안이 얼마나 소담스러운가는 저 국보(國寶)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
koahn.tistory.com
33. 설 (전숙희)
34. 인간의 존엄성과 성실 (김태길)
'雜同散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던 길 멈추고-김해강 (1) | 2023.02.22 |
---|---|
pdf파일을 Text로 변환하는 방법 (0) | 2023.02.21 |
[SQL SERVER] 컬럼 자동 증가값(IDENTITY) 초기화 (0) | 2023.02.21 |
체력장과 학도호국단 (1) | 2023.02.21 |
立春(입춘)과 立春帖(입춘첩) (0) | 2023.02.12 |